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백성성립 (일본 근세 농민의 위상과 농가 경영)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일본문화
· ISBN : 9791155502266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7-05-31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일본문화
· ISBN : 9791155502266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7-05-31
책 소개
동아시아 자료총서 20권. 일본 근세 백성의 위상과 농가경영을 이해하고, 동아시아 차원에서 농민의 위상과 촌락사회를 비교사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연구서이다. 이 책은 후카야 가쓰미의 <백성성립(百姓成立)>(1993)을 번역한 것이다.
목차
한국어판 발간에 즈음하여
서문-백성성립에 대하여
Ⅰ 근세 백성의 위치
1. 부담(負擔)과 구제(御救)
1) 백성(御百姓)이라는 존재
2) 농경에 전념하고 연공(年貢)을 바치는 백성
3) 농민에 대한 영주의 대여
4) 백성 상호 간의 구제
5) 백성 부담의 변용
나가며
2. 토지와의 관계
들어가며
1) 백성 신분의 형성과 역의(役儀)
2) 토지소유의 층위(層位)
3) 신분 공동조직의 상호관계
나가며
3. 촌락과 가족
들어가며
1) 촌락의 기구와 기능
2) 가족의 ‘성립’
3) ‘유이(結)’와 고용노동
나가며
Ⅱ 근세 백성의 실태
4. 백성의 인격
들어가며
1) ‘인간’으로서의 몸가짐
2) 가직(家職)과 공의역의(公儀役儀)
3) 부귀와 덕
4) 조상[祖靈]·마을신[氏神]에 대한 예배
5) 신분의 관계의식
나가며
5. 농경과 겸업
들어가며
1) 겸업을 통한 보충
2) 여업관(余業觀)과 여작(余作)의 확대보급
3) 새로운 여작론(餘作論)과 겸업[諸稼ぎ]의 인간상
나가며
6. 상업적 농업의 기술
들어가며
1) 상업적 농업의 옛 형태
2) 농서·비료·작물·가공
3) 특산지와 가족생산
나가며
Ⅲ 근세의 시대적 위상
7. 근세 사회의 형질
들어가며
1) 공적·사적·공동적
2) 위력의 교체
3) 지방의 자각
4) 난관의 타개
나가며
맺음말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