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55504109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20-05-1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서론: 광주항쟁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2장∥ 리미널리티, 커뮤니타스, 사회극
1.리미널리티 2.커뮤니타스 3.사회극
3장∥ 구조로부터의 분리와 리미널리티 진입
1.강요된 분리 2.전이: 리미널리티 안으로
4장∥ 변혁의 리미널리티
1.최소 목표: 민주화와 항쟁 정당화 2.최대 목표
3.비극적 최후의 급진성과 변혁성
5장∥ 항쟁-재난의 커뮤니타스
1.광주 커뮤니타스 2.재난의 커뮤니타스, 항쟁의 커뮤니타스 3.항쟁-재난 커뮤니타스의 생성, 그리고 역동적인 변화 4.커뮤니타스의 힘
6장∥ 해방광주(1): 자기통치의 커뮤니타스
1.자치의 커뮤니타스 2.대안권력 및 항쟁지도체의 갈등적 형성 3.시민군
7장∥ 해방광주(2): 재난의 커뮤니타스, 의례-연극의 커뮤니타스
1.장례·추도·치유공동체로서의 재난 커뮤니타스 2.의례-연극의 커뮤니타스: 시민궐기대회
8장∥ 해방광주(3): 비폭력 저항의 커뮤니타스, 항쟁-재난의 커뮤니타스
1.협상: 평화적 해결을 위한 끈질긴 노력 2.죽음의 행진: 비폭력 저항의 커뮤니타스 3.최후의 항전: 항쟁-재난 커뮤니타스의 재등장
9장∥ 광주 사회극
1.위반과 위기 2.교정(1): 항쟁 기간 3.교정(2): 항쟁 이후 4.재통합 혹은 분열 5.광주 사회극의 특징들: 요약
10장∥ 항쟁 이후의 광주 사회극(1): 5월공동체의 형성
1.영원한 상처 2. 유가족, 부상자, 구속자, 그리고 광주 사람들 3.국내와 국외의 양심적 지지자들 4.패배의 역설
11장∥ 항쟁 이후의 광주 사회극(2): 반전과 종막(終幕)
1.대전환 2.공고화, 신화화, 세계화 3.통합 국면으로의 이행: 사회극의 종언 4.여진(餘震)
12장∥ 5·18과 4·19: 비교연구
1.리미널리티 2.커뮤니타스 3.사회극
맺음말
5·18 타임라인
주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수록 도판 크레디트
저자소개
책속에서
김준태 시인은 1980년 5월의 광주 학살극을 “6?25 이후 가장 참혹한 민족사의 비극”으로 묘사한 적이 있다. 민주주의를 향한 한국 현대사의 상처투성이 역정(歷程)에서, 이 학살극은 가장 격렬했던 민중항쟁 사건이기도 했다. 하여 그 “학살과 항쟁과 해방의 10일”은“ 민족사의 분수령”(서중석)이 되었다. 필자는 1980년 당시 ‘서울의 봄’에 흠뻑 빠져든 대학 신입생이었다. 휴교령 며칠 후 광주의 비극을 처음 접했을 때 걷잡을 수 없이 밀려왔던 격렬한 충격과 분노의 느낌이 지금도 생생하다.
― 「머리말」 중에서
1980년 5월 광주에 파견된 계엄군도 바로 이 ‘국민군/시민군’이어야 했다. 그러나 그곳에서는 또 하나의 ‘시민군’이 등장했다. 그리하여 ‘가짜 시민군’ 대 ‘진짜 시민군’ 사이의 대결이 벌어졌다. ‘가짜 시민군’은 소수 정치군인들의 사병(私兵)이자 권력 장악 수단으로 전락해버린 광주의 계엄군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우리는 ‘시민군’이라는 명명이 갖는 혁명적 함의, 근대 국민국가 군대에 고유한 특징인 시민성(市民性), 그리고 ‘시민군’이라는 용어가 독특하게 광주적인 맥락에서 사용되는 역설적인 상황에 주목해야 한다.
― ‘시민군’, 「해방광주(1): 자기통치의 커뮤니타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