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명고전집 2 교감표점

명고전집 2 교감표점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서형수 (지은이), 이규필, 장성덕, 이승현 (옮긴이)
성균관대학교동아시아학술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1,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명고전집 2 교감표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명고전집 2 교감표점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91155504444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0-12-31

책 소개

영조~순조 시대를 살아간 문신 서형수의 시문집. 시(詩)와 서(書)를 비롯해 소(疏)와 계(啓) 등이 수록되어 있는데 특히 시 <명고팔영>은 저자가 살았던 명고정사(明皐精舍)의 주변 전경을 묘사한 명시이고 <무산십이봉>은 중국 연경에 갔을 때 무산 풍광을 보고 묘사한 뛰어난 작품이다.

목차

凡例

明臯全集 卷七

明臯全集 卷八


明臯全集 卷九
敍例

明臯全集 卷十
題跋

明臯全集 卷十日
題跋

明臯全集 卷十二
策問・對策

明臯全集 卷十三
祭文

明臯全集 卷十四


明臯全集 卷十五
行狀

明臯全集 卷十六
碑銘・墓誌銘・墓表

明臯全集 卷十七
講義

明臯全集 卷十八
講義

저자소개

서형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749(영조25)∼1824(순조24).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유청(幼淸)․여림(汝琳), 호는 명고(明皐)이다. 대제학 서명응(徐命膺)의 둘째아들로 태어나 숙부 서명성(徐命誠)에게 입양되었다. 35세(1783, 정조7)에 증광 문과에 급제하고 이듬해 홍문록에 들어 부수찬(종6품)이 되었으며 그해 12월 초계문신(抄啟文臣)에 선발되었다. 내외 관직을 두루 거쳐 57세(1805, 순조5)에 경기 감사에 올랐으며, 51세에 진하겸사은부사(進賀兼謝恩副使)로 중국에 다녀왔다. 《군서표기(群書標記)》․《규장각지(奎章閣志)》 등 많은 국가 편찬 사업에 참여하였다. 숙부 서명선(徐命善)이 정조의 즉위 과정에 세운 공으로 인해 특별한 지우(知遇)를 받은 한편, 정조의 즉위를 방해하려던 홍계능(洪啟能\)의 제자라는 이유로 출사 전후에 몇 차례 탄핵을 받기도 했다. 1805년 김달순(金達淳)의 발언으로 인해 이듬해 불거진 옥사에 연루되어 1824년(76세) 별세할 때까지 19년 동안을 유배지에서 지냈다.
펼치기
이규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한문학과 교수 현재 경북대학교 한문학과에서 한문학과 고전번역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와 교육에 종사하고 있다. 대산臺山 김매순金邁淳의 학문과 산문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고, 이후 경학과 문학의 접점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한문고전 번역에 관심을 가지고 언해와 현토에 대한 몇 편의 논문을 발표한 적이 있으며, 『국역 무명자집』, 『국역 인평대군 연행시』, 『국역 묵자간고』 등의 번역서를 펴냈다. 아울러 『논어』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논어 번역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등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이승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9년 경북 포항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번역교육원 연수과정을 졸업하였다. 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번역 및 편찬에 참여하였고, 현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권역별거점번역연구소협동번역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번역서로 《창계집》, 《명고전집》, 《승정원일기》, 《동천유고》, 《고산유고》, 《역주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 교점서로 《교감표점 승정원일기 인조41》, 《교감표점 창계집1》, 편찬서로 《한국문집총간편람》, 《한국문집총간해제8․9》, 논문으로 〈초의 의순의 시문학 연구〉, 〈기리총화 연구〉, 〈김시습의 장량찬의 이면〉, 〈서형수의 명고전집 시고를 통해 본 원텍스트 훼손〉 등이 있다.
펼치기
장성덕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7년 경북 봉화에서 태어났다. 충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경상대학교 한문학과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을 수료하였다.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연구원을 지냈으며, 2020년 현재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번역서로 《향산집 5, 7》, 《월사연보》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