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55658956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5-11-30
목차
저자서문 6
제 1 편‘울산 600년’의 내력변천 13
서 장 ‘ 울산이라는 이름은 어떻게 변해 왔나 14
제1장 ‘ 울산’이라는 이름 탄생 이전 17
1. 이름을 알 수 없는 시기 - 구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 17
1) 울산은 선사 유적의 보고(寶庫)
2) 청동기시대
3) 반구대 암각화 - 항구도시 울산의 원점
2. 신라시대 29
1) 태화강과 동천강 수계의 도시
2) 회야강 수계의 도시
3) 이름을 잊어버린 동천강 수계의 중산동과 달천 문명
3. 고려시대 ‘- 흥려부’와‘ 울주’ 41
1) 흥려부와 치소성인 계변성(신학성)
2) 성종의 울산 행차와 현종의 울주성 축조
3) 고읍성 축조
제2장 조선시대 -‘ 울산’이라는 이름의 탄생 67
1‘. 울산’이라는 고을 이름이 생기다 67
2. 왜를 막는 최 일선 도시 울산 70
1) 울산군성으로 축조된 경상좌도 병마도절제사영성
2)경상좌병영의 울산 이전과 병영성 축성
3) 좌병영의 합포 이전과 울산군 치소(고읍성)의 관계
4) 좌병영 합포 이전과 복귀
5) 울산 병영성의 위치와 규모
6) 병영성의 여러 시설
3. 울산읍성 축성 - 조선스타일로 변하는 지방도시 86
4. 지도로 본 조선시대 울산 94
1) 해동지도
2) 경주도회 좌통지도
3) 여지도
4) 지승
5)광여도
6) 비변사인 방안지도
7) 경상도읍지 지도
8) 학성각면산천도로총도
제 2 편‘울산 600년’의 주요 공간과 장소 125
제1장 조선시대 울산의 주요시설 126
1. 울산도호부의 주요시설 126
2. 울산 신읍성과 주요시설 140
1) 울산읍성 축조
2) 울산읍성의 위치
3. 객사와 동헌 146
1) 울산객사 학성관(鶴城館)
2) 울산도호부 동헌과 관아
4. 향교와 서원 158
1) 울산향교
2) 구강서원
5. 조선 시대 울산 본부장 162
6. 조선 스타일이 사라지다 - 구 제도 혁파와 울산 164
제2장 20세기의 도시변화 166
1. 일제강점기의 도시변화 - 남아 있는 도시시설 166
1) 일제강점기의 인구
2) 1914년 이전의 동네
3) 남아 있는 도시 시설
(1) 도로
(2) 태화강 제방과 도시변화
(3) 교량
(4) 학성공원
(5) 상수도
(6) 중구 구시가지 상점가
(7) 상설시장
(8) 새로 생긴 성남시장
(9) 교육기관
(10) 울산우체국
(11) 종교시설
2. 다른 곳으로 옮겨진 시설 215
1) 철도역
(1) 성남동 경편철도 역
(2) 학성동 역
2) 울산경찰서
3. 사라진 시설 223
1) 울산읍사무소
2) 울산비행장
3) 학성동 간이농업학교
4) 울산간이도서관
5) 울산극장
6) 울산신사
7) 금융조합과 은행
8) 도살장
9) 화장장
10) 울산상사주식회사
제3장 해방 후의 울산 도시변화 235
1. 기반시설변화 235
1) 도로 및 교량
2) 도시개발
3) 공원개발
2. 주요시설 변화 248
1) 태화강정비
2) 체육시설 정비
3) 공공기관
4) 교육 및 문화시설
5) 영화관, 언론사 등
6) 상업시설
7) 연구개발 시설
3. 옮겨간 시설 263
1) 철도역 및 시외버스 터미널이전
2) 중구청사
3) 중구보건소
4) 중부경찰서
5) 울주군청
6) 학교이전
4. 사라진 시설 267
1) 영화관
2) 상업시설
제4장 울산 중구의 문화유적 271
1. 지정문화재 273
2. 기타 문화유적 281
부록 295
울산광역시 중구 역사연대표 296
참고문헌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