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55810934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6-12-20
책 소개
목차
[이 책을 읽기에 앞서] 왜 지금 바둑을 배워야 하는가 … 손종수
[머리말] 가장 단순하고 가장 지적인 게임을 하는 법 … 효도 도시오
1장 도쿄대학 교양학부 전 학년 체험 세미나 ‘바둑으로 키우는 사고력’이란? (효도 도시오)
1. 왜 ‘바둑으로 키우는 사고력’을 개강하게 되었나?
2. 바둑 수업을 개발하여 얻고자 한 것들
3. 바둑 강의의 실질적 효과 8가지
4. ‘바둑으로 키우는 사고력’ 수업의 단계별 내용
개요 | 제1회 가이던스 | 수업의 특징 | 제2회 돌메우기 바둑 | 돌메우기 바둑의 효용 | 패 해설 | 제3회 6×6 바둑판에서의 바둑 | 제4, 5회 9×9 바둑판에서의 규정 바둑 | 제6회 일본 기원 견학 | 제 7, 8, 9회 19×19 바둑판을 이용한 규정 바둑 | 규정 바둑의 장점 | 정석 다루기 | 제10회 재계 인사의 강연 | 제11, 12회 | 바둑의 마음가짐 | 바둑의 마음가짐의 예 | 제13회 9점 접바둑 지도
5. 이 책 사용법
텍스트의 구성 | 바둑의 도구 | 바둑판의 명칭 1 | 바둑판의 명칭 2
2장 바둑의 규칙을 배우고 6×6 바둑판을 이용해 돌메우기 바둑 두기 (요시하라 유카리)
1. 바둑의 규칙
[칼럼] 도쿄대학 수업에서는 왜 6×6 바둑판, 9×9 바둑판, 19×19 바둑판을 사용할까?
연습 문제
[칼럼] 바둑을 공부하는 방법
2. 돌메우기 바둑
연습 문제
3. 돌메우기 바둑의 실전
연습 문제
[칼럼] 일본 바둑의 역사
4. 바둑의 규칙 복습
[칼럼] 바둑 대국의 흐름과 매너
5. 6×6 바둑판의 바둑
6. 6×6 바둑판의 규정 바둑
연습 문제
[칼럼] 전 세계 바둑 인구
3장 9×9 바둑판에서의 모범 포석과 규정 바둑 (이시쿠라 노보루)
1. 9×9 바둑판에서의 모범 포석
[칼럼] 종국
2. 9×9 바둑판의 규정 바둑
[칼럼] 흑돌과 백돌을 결정하는 방법과 대국에서의 핸디캡
연습 문제
[칼럼] 기울이기를 발견하는 방법
연습 문제
4장 19×19 바둑판에서의 호선 대국 (이시쿠라 노보루)
1. 19×19 바둑판에서의 호선 대국
[칼럼] 프로 기사
2. 규정 바둑을 통해서 강해진다
[칼럼] 위기십결(圍碁十訣)
연습 문제
5장 19×19 바둑판에서의 9점 접바둑, 17점 접바둑 (이시쿠라 노보루)
1. 19×19 바둑판에서의 9점 접바둑
2. 9점 접바둑에서 지지 않는 방법
[칼럼] 돌을 두는 순서
3. 17점 접바둑 권유
연습 문제
[부록] 바둑 용어 해설 … 이시쿠라 노보루
[감사의 말] 강의를 마치며… 효도 도시오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류가 만들어낸 가장 이지적인 게임, 바둑. 그 역사는 무려 5,000년에 이른다. 그중에서 신화와 전설의 요순시대를 걸러내고 실제 역사에 기록된 사실만 따져도 2,500년이 넘는다. 그까짓 역사가 뭐 그리 중요하냐고? 중요하다. 게임 즉, 놀이도 인류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오랜 세월 변함없이 지속된 하나의 문화는 우리 삶에, 우리가 의식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강력한 영향을 끼친다. -<왜 지금 바둑을 배워야 하는가> 중에서
바둑이 대중문화로 깊이 뿌리내릴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바둑이 ‘승부’라는 게임의 속성으로만 끝나지 않고, 인생 전반의 이야기로 확장된다는 데 있다. 이것은 다른 게임과 차별되는 대단히 중요한 가치다. 동양의 장기나 서양의 체스는 누가 다루어도 전쟁이 모티프라는 사실을 바꾸지 못한다. 장기나 체스는 각각 중국의 초한전과 중세 유럽의 영토 전쟁을 차용한 게임이다. 보드에 놓이는 기물들은 각각의 명칭이 있고 그 명칭에 해당하는 수행의 역할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전쟁터 그 이상으로 확장될 수 없는 닫힌 세계다. -‘바둑의 진정한 가치’ 중에서
바둑은 매우 단순하면서도 추상적인 최고의 지적 게임이다. 도구는 가로세로 19줄씩 선이 그어진 바둑판과 흑백 두 종류의 돌로, 돌을 바둑판의 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번갈아가며 둔다. 돌은 어디든 둘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집’을 많이 확보한 쪽이 이긴다. 이처럼 규칙은 매우 간단한데도 바둑은 어려운 게임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지나치게 단순해서 자유롭게 둘 수 있으므로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고 어디에 돌을 두어야 좋을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데에 있을 것이다. -<가장 단순하고 가장 지적인 게임을 하는 법> 중에서
바둑의 가장 강력한 기능이 소통이라면 바둑의 가장 큰 가치는 성찰이다. 한 판의 바둑은 우리 삶과 유사하면서도 인생과 달리 얼마든지 복기(復棋, 끝난 바둑을 처음부터 다시 놓아보는 것)가 가능하다. 그렇게 되돌아본 성찰을 담아 새로운 바둑을 둘 수 있다는 재활의 기능이야말로 우리 삶을 바르게 이끌어주는 나침반의 역할을 한다. -‘바둑의 진정한 가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