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56057208
· 쪽수 : 310쪽
· 출판일 : 2019-12-31
목차
1부 서론
1장 이정덕|창조도시론의 등장과 흐름 15
1. 머리말 16
2. 제조업의 쇠락과 정신산업의 부상 16
3. 네 종류의 창조성 18
4. 창조산업적 창조도시 23
5. 인본주의적 창조도시 28
6. 문화예술적 창조도시 30
7. 서울의 대량복제적 문화산업과 전주의 수공업적 문화산업 33
2장 송도운|전주, 제조업에서 문화창조도시로 44
1. 머리말 45
2. 제조업의 쇠락과 전통문화도시로의 전환 45
3. 전통문화의 산업화 50
4. 무형문화·예술의 산업화 55
5. 나가는 말 59
3장 이상미|전주도심의 쇠락과 대응 63
1. 머리말 64
2. 20세기 전반 전주한옥마을의 변화 64
3. 20세기 후반 전주도심의 쇠락 66
4. 전통문화에 기반한 도시발전전략의 채택 70
5. 한옥마을의 체계적 개발 74
6. 나가는 말 81
2부 문화창조활동과 한옥마을 활성화
4장 양지영|축제를 통한 전주한옥마을의 활성화 87
1. 머리말 88
2. 산조예술제와 풍남제 89
3. 대사습놀이와 소리축제 94
4. 전주국제영화제와 한옥마을 98
5. 기타 축제와 행사 그리고 한옥마을 100
6. 나가는 말 103
5장 이수영|한옥마을 문화예술 창조집단의 유입과 확산 106
1. 머리말 107
2. 문화예술창조집단의 유입요인과 과정 108
3. 문화예술창조집단의 이탈 혹은 확산 110
4. 문화예술창조집단의 유입시기에 따른 특성 115
5. 나가는 말 125
6장 이선희|시민의 창조성 확대를 위한 전주시의 지원정책 128
1. 머리말 129
2. 전주의 창작활동 지원현황 및 정책배경 129
3. 전주형 공동체 지원사업 “온두레공동체” 133
4. 사회혁신사업 137
5. 문화매개인력 양성사업 140
6. 나가는 말 142
7장 이흰나, 정현숙, 이정덕|전주한옥마을과 문화적 사회적 기업 145
1. 머리말 146
2. 관련 연구들 148
3. 한옥마을에서 문화단체들의 역할 151
4. 문화단체에서 문화적 사회적 기업으로의 변화 152
5. 한옥마을에서 문화적 사회적 기업의 역할 158
6. 나가는 말 162
8장 엄태양|전주의 음식을 통한 도시활성화 165
1. 머리말 166
2. 전주의 음식창의도시란? 166
3. 전주 한옥마을의 먹거리 169
4. 한옥마을과 남부시장, 야시장, 객리단길 173
5. 음식창조도시로서의 전주 177
3부 관광객의 체험과 영향
9장 김미라|관광객의 전주한옥마을 체험활동과 의미부여 185
1. 머리말 186
2. 창조도시 전주에서의 전통문화활동 186
3. 관광객들의 의미부여 202
4. 나가는 말 207
10장 김동영|관광객의 전주 한옥마을 거리이용 패턴 211
1. 머리말 212
2. 연구방법 212
3. 사람들이 머무르는 장소 215
4. 거리이용패턴 222
5. 나가는 말 229
11장 이영욱, 이정훈, 김여명|관광객의 한옥마을 너머로의 확산과 영향 232
1. 머리말 233
2. 관광객 유입의 흐름 분석 233
3. 남부시장 청년몰, 동문예술거리, 서학동 예술촌 236
4. 관광객 확산과 그 영향 242
4부 전주의 변화
12장 박선주|전주한옥마을 주민의 참여와 저항 249
1. 머리말 250
2. 한옥마을 주민구성의 역사와 현재 250
3. 한옥마을을 대상으로 시행된 정책과 주민참여 253
4. 관광지가 된 한옥마을에서의 주민 갈등 257
5. 나가는 말 260
13장 진명숙|전주한옥마을 관광화와 결사체 정치 263
1. 머리말 264
2. 전주한옥마을 형성의 역사 266
3. 시기별 결사체 유형과 특성 269
4. 전주한옥마을 관광화와 결사체 정치의 양상 274
5. 나가는 말 287
14장 김동영|전주 도시성격의 변화 291
1. 머리말 292
2. 문화주도 도시활성화전략과 전주한옥마을 292
3. 전주시 도시개발의 역사적 변천 과정 296
4. 구도심 활성화와 도시재생 프로젝트 298
4. 전주시의 창조산업전략 301
5. 나가는 말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