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학 일반
· ISBN : 9791156100058
· 쪽수 : 172쪽
· 출판일 : 2014-02-17
책 소개
목차
한국 독자들에게 보내는 서문
Foreword to the Korean edition of the book
역자 서문
01 새로운 물 패러다임을 도입해야 하는 이유와 사명
02 물과 자연에서의 물 순환
2.1 물의 4가지 환경
2.2 물과 열에너지
2.3 물의 대순환
2.4 물의 소순환
2.5 물 순환의 균형
03 물의 순환과 태양에너지의 변환에서 식물의 역할
3.1 태양에너지의 땅 위에서의 흐름과 분배
3.2 식물, 물, 그리고 열의 분배
3.3 빗물 버리기와 식생의 제거가 열의 방출에 미치는 영향
04 물 순환에서 토지개발의 영향
4.1 산림
4.2 농경지
4.3 수계의 물
4.4 도시
05 물의 소순환에서 수량이 감소한 결과
5.1 물의 소순환에서 수량의 감소가 극한 기후 발생 증가에 미치는 영향
5.2 물의 소순환에서 수량의 감소가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
5.3 물의 소순환에서 수량의 감소가 세계적 긴장감 고조에 미치는 영향
06 물에 대한 과거의 패러다임과 새로운 패러다임
6.1 물에 대한 과거의 패러다임
6.2 새로운 물 관리의 패러다임
07 빗물 사용을 위한 제도적 지원
7.1 역사 속의 빗물의 보존 사례
7.2 땅에서 빗물관리의 원칙과 방법, 그리고 이점들
7.3 시민 영역에서 할 일들
7.4 경제 영역에서 할 일들
7.5 공공 영역의 기관에서 할 일들
7.6 재정적 비용과 여러 시나리오들의 평가
08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