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91156121015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7-11-0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중국은 왜 한국인이 치우의 후손이기를 바라는가
타이완에서 날아온 이메일 한 통|타이완의 유심성교|체육관에서 거행된 중화민족연합제조대전|귀곡자 계시로 한국의 역대 제왕도 제사|그들은 왜 한국인이 치우의 후손이기를 바라는가|치우는 누구의 조상인가
2장 청동 원료 확보를 위한 황제皇帝와 치우의 전쟁
-상나라에서 서주시대(기원전 1600~기원전 771)
갑골문에서 ‘치蚩’자와 ‘우尤’자의 의미|치우에 관한 최초의 기록|서주시대의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여형呂刑〉|치우를 정벌한 황제皇帝는 주나라 소왕|창강 이남에 거주한 묘민과 치우|청동무기를 제작하여 스스로 천자가 된 치우|청동 원료의 확보를 위해 치우를 정벌한 황제皇帝
3장 황제黃帝와 치우의 기주대전-춘추시대(기원전 770~기원전 476)
전국시대 고문헌자료에 나타난 황제黃帝와 치우|황제皇帝를 대신하게 된 황제黃帝|어정비 명문을 통해 본 춘추시대 황제와 치우|황제와 치우의 전쟁|치우와 황제가 전쟁을 한 기주는 어디인가|패권을 둘러싼 중원 국가와 초나라의 대결, 기주대전
4장 화이변경華夷邊境의 확대와 탁록대전-한나라시대(기원전 202~220)
한나라시대 치우 관련 자료|한나라의 성립과 대일통 사상의 확립|중국 제왕의 시조가 된 황제|화이변경의 확대와 탁록대전|정의가 사악함을 이긴 전쟁|전쟁신으로 다시 부활한 치우
5장 소금호수에서 벌어진 치우와 관우의 전쟁-당나라에서 송나라시대(618~1279)
치우의 피를 찾아서|인류의 생존과 소금|염지의 소금 개발과 번성 그리고 쇠락|염지에서 벌어진 치우와 관우의 전쟁|황제를 넘어, 모든 악의 근원이 된 치우
6장 혁명파의 황제 숭배와 치우의 재소환-청나라 말에서 민국 초기(1800~1930)
자만이 불러온 화|청나라의 몰락|몰락하는 제국을 ‘한족’의 발명으로 구원하리라|한족의 구심점 ‘황제’의 발명|‘황제’의 타자로 다시 소환되는 치우
7장 이하동서설과 치우 동이족설의 등장-(1940년대~현재)
치우는 과연 동이족인가|역사상 존재한 두 개의 동이족|치우 동이족설은 고고학적으로 근거가 있는가|문헌자료의 자의적 선택과 해석에 의한 왜곡|중국 각지에 분포하는 치우 유적|산둥성 화상석의 괴수는 치우인가|이하동서설과 치우 동이족설의 등장
8장 치우를 이용한 먀오족의 고대사 만들기-(1980년대~현재)
《먀오족간사》의 발행과 치우를 둘러싼 치열한 논쟁|먀오족 지식인의 치우 조상 만들기|먀오족은 동이족인가|일반 먀오족은 치우가 조상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을까|황제 후손들의 선공, 염황열炎黃熱|염황열에 맞불을 놓은 치우열蚩尤熱|먀오족을 단합시킬 영웅이 필요하다
9장 중화민족 만들기와 중화삼조당 건립-(1990년대~현재)
탁록대전의 전장 줘루현을 찾아서|삼조문화론의 등장과정|학자들에 의한 삼조문화론 이론화
과정|삼조문화론의 허구성|삼조문화론이 등장한 정치적 배경|전설이 역사가 되다
10장 한국의 치우 연구와 조상 만들기-(1990년대 말~현재)
한국 학자들의 치우에 관한 연구 성과|애꾸눈 왕의 역사 읽기|황제가 없다면 치우도 없다|귀면와는 한국에만 있는가|귀면와는 치우가 아니다|중국의 논리에 갇힌 한국의 치우 연구|중화삼조당의 건립은 동북공정과 관련이 있는가|한국인은 중화민족인가
11장 중국, 먀오족, 한국의 신민족주의와 치우 역사병
각자 마음 내키는 대로 쓰는 심사心史|집단기억의 강화와 구조적 망각을 통한 역사 만들기|역사의 과잉은 인류를 파멸로 이끌 것이다|치우 역사병의 발병 원인|역사병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
부록: 중국 고문헌자료 원문과 번역
주석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치우는 한국과 중국에서 역사기억의 선택적 강화와 구조적 망각, 재구성이라는 과정을 통하여 집단기억을 새롭게 창조해낸 ‘고대사 만들기’의 전형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재앙을 상징하는 ‘치蚩’자와 욕심을 상징하는 ‘우尤’자를 결합하여 ‘치우’라는 말이 등장하는 것은 서주西周시대에 이르러서인데, 이는 서주시대에 치우집단이 세력을 형성하고 역사무대에 등장했음을 뜻한다. …… 치우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상서.주서.여형尙書.周書.呂刑》편에 실려 있는데, 여형呂刑을 제정하면서 악독한 형벌의 기원을 설명하는 과정에 등장한다.
서주는 무기와 예기를 제작하는 데 필수품인 청동 원료를 확보하고, 제후로서 예를 다하지 않는 초나라를 덕을 실행한다는 명목으로 정벌했는데 이러한 내용이 〈여형〉편에 황제가 치우를 정벌한 이야기로 기록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