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동양사일반
· ISBN : 9788961879071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2-07-25
책 소개
목차
■ 책머리에_4
1장 세계화와 문화 제국주의•임동욱
문화의 생성과 교류・17|문화교류 또는 문명충돌?・18|세계화와 세계시장, 자본
주의의 재구조화・22|문화소비와 문화충돌, 제국주의와 문화 제국주의・26|문화
의 세계화와 문화상품의 소비・31|문화 제국주의와 국가의 역할・35
2장 중국 민족주의와 한중 문화충돌•박정수
중국은 왜, 한국과 역사와 문화로 갈등할까?・41|민족주의와 민족・43|민족주의
와 문화갈등・47|중국 민족주의의 부상・49|중화 민족주의(中華民族主義)와 중화
민족(中華民族)・53|한족(漢族)의 다른 이름, 중화민족・56|중화민족 만들기・60|
중화민족 만들기와 대중 민족주의・63|중화민족 만들기와 동아시아 문화갈등・65
|중국의 방어적 민족주의의 위험성・68
3장 한중 문화교류와 충돌, 단오절 논쟁 어떻게 볼 것인가?•박영환
현대 중국, 왜 유교 열풍일까?・73|중국 문화부 차관, 단오 논쟁에 불붙이다・77|
중국인들은 한국이 단오문화 강탈한다고 오해・80|강릉단오제 등재와 중국의 반성
과 자각・88|한중 간 문화쟁탈 논쟁으로 확대・94|한류 열풍 대륙에서 사라지다・
99|전통명절보호법안 제정과 중국 단오절 등재 성공・101|서구적 문화 종교관의
중국 유입 차단・108|『런민일보』, 단오 논쟁의 선봉에 서다・111|음수사원(飮水思
源)의 중화 중심적 사고・115|중국이 단오 논쟁을 통해 얻고자 한 것은・119
4장 중국의 한류 수용과 저항 태도•윤경우
한류의 발원지, 중국・125|이론적 접근방법과 분석의 틀・127|중국의 외래문화 수
용 전통・129|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문화수용 태도・132|시진핑 시기 중국의 문화
수용 태도・137|중국의 한류 수용 태도・142|중국의 한류 저항 태도・152|우환의
식(憂患意識)에서 발원한 초조함・162
5장 시진핑 정부의 문화정책과 한중 문화충돌•김인희
공산당을 반대하면 문화허무주의자・169|중국몽의 실현과 문화자신・172|야만과
문명의 기준, 문화・175|문화로 교화하다・179|이데올로기 투쟁 도구, 문화・181
|인류운명공동체 실현과 전파공정・186|시진핑 시기 한중 문화충돌 원인은?・190
6장 중국 중추절의 신라 기원설과 ‘문화발명권’•신종원
서로 다른 달(月)・199|신라의 추석 풍속・200|중국인들이 본 신라의 추석・209|
일본승 엔닌(圓仁)이 본 신라 유민의 추석・213|신라인의 추석 음식, 박돈・217|중
국과 일본 학계의 추석 기원 논쟁・225|문화발명권과 관련하여・229
7장 글로벌 시대 문화다양성의 가치와 문화유산•권혁희
‘문화유산’이라는 글로벌 현상・235|초기 인류학을 통해 본 중국의 문화 기원 논
쟁-전파론의 한계・238|역사・사회・문화적 실천으로서 문화유산-단오와 김치의
사례・242|민족 정체성 경합의 장으로서 문화유산-파오차이・한푸 논쟁・251|문
화다양성의 가치와 문화유산・255
8장 한국과 중국은 왜, 문화로 충돌할까?•김인희
문화 제국주의와 한중 문화충돌・261|중국 애국주의와 한중 문화충돌・268|중
화주의와 한중 문화충돌・272
■ 미주_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