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고대사(선사시대~진한시대)
· ISBN : 9788961876452
· 쪽수 : 315쪽
· 출판일 : 2021-07-30
책 소개
목차
■ 책머리에_4
제1장_중국 애국주의와 고대사 연구•김인희_13
1. <하상>의 방영과 톈안먼 사건_15 ┃ 2. 허무주의 비판과 애국주의 등장_16 ┃ 3. 애국주의와 고대사 만들기_20
제2장_중국 고고 역사 이론의 재정립•배현준・이유표_25
1. 고문헌 기록에 대한 시각 변화_27 ┃ 2. 중국식 문명, 국가 개념의 정립_39
제3장_중화문명의 시작, 염제•배현준_47
1. 왜, 염황인가?_49 ┃ 2. 염제와 신농에서 염제신농으로_53 ┃ 3. 고고 유적과 염제의 역사화_59 ┃ 4. 현대 사회 속의 염제_68 ┃ 5. 염제의 역사화와 한계_76
제4장_황제, 역사인가? 신화인가?•김인희_79
1. 역사인가, 신화인가_81 ┃ 2. 『상서』 「여형」의 문헌적 가치_83 ┃ 3. 황제의 초기 모델은 주나라 왕_89 ┃ 4. 역사의 신화화와 황제_98
제5장_허무주의 극복과 황제의 중화민족 공통 조상 만들기•김인희_101
1. 허무주의 출현과 염황열(炎黃熱)_103 ┃ 2. 황제의 역사화와 역사허무주의 극복_108 ┃ 3. 황제의 신화화와 민족허무주의 극복_116 ┃ 4. 절반의 성공_132
제6장_요순우의 본향 산시성, 그 오도된 역사 만들기•심재훈_135
1. 요순우의 본향 산시성_137 ┃ 2. 현존하는 산시성의 요순우 사적 개요_142 ┃ 3. 선진 출토 문헌상의 요순우_153 ┃ 4. 『좌전』에 명시된 요의 흔적과 산시성_161 ┃ 5. 『한서』 「지리지」에 나타난 산시성의 요순우_168 ┃ 6. 『원화군현지』와 『태평환우기』에 나타난 산시성의 요순우_173 ┃ 7. 『산서통지』의 요순우_178 ┃ 8. 중국 전통시대 역사 만들기의 한궤적_188
제7장_중국 첫 번째 왕조 하나라의 창건자, 우임금•이유표_193
1. 얼리터우와 하문화 _195 ┃ 2. 우·하 전승의 형성 과정_197 ┃ 3. 얼리터우는 하문화 유적인가?_214 ┃ 4. 고고학으로 역사를 밝힐 수 있을까?_234
제8장_중화민족 공동체론과 신시대 고고학•김인희_241
1. 신화가 역사가 되다_243 ┃ 2. 중국 연구자의 문헌고고방법론에 대한 비판_255 ┃ 3. 중화민족 공동체론과 신시대 고고학_257
■ 부록_261
1. 신농, 염제, 염제신농 관련 주요 문헌 자료와 번역・배현준_262 ┃ 2. 황제 관련 고문헌 자료와 번역(춘추시대~한나라)・김인희_271
■ 찾아보기_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