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고려시대
· ISBN : 9791156121473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19-07-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해상海上무역사 복원의 기초적 문제
동아시아의 계절풍
송대 사료에 나타나는 범선의 계절풍 이용 기록
《고려사》에 나타나는 범선의 입출항 기록
고려와 남중국 사이의 계절풍
송.원대 동아시아의 선박
송.원대 중국의 선박
송.원대 고려와 일본의 선박
고려선과 중국 첨저선의 항해시간
송.원대 각국 상인에 대한 국적 판별의 근거
송상의 경우
외국 해상의 경우
… 외국 해상의 경우
… 고려 해상의 경우
공빙제도의 문제점
2부 해상海商 왕래의 실태
무역에 대한 송나라의 태도와 고려해상의 활동
무역에 대한 송조 중국의 태도
신법당新法黨 정부의 무역정책 전환과 고려
… 신법당 정부의 무역정책 전환
… 두 나라 수교修交와 무역 문제
고려 문종의 수교 이후 고려 해상의 활동
… 북송시대의 경우
… 남송시대의 경우
송도강 탁영과 서덕영의 정체
송 쪽 사료에 기록된 고려강수高麗綱首 탁영과 서덕영
북송 원풍 8년(1085) 법령의 성립과 삭제
남송 초 황악黃鍔의 주장과 고려 강수
서덕영 행적의 재구성
고려 도강都綱을 이용한 해상무역
도강의 의미와 성격
… 도강의 의미
… 객상의 활동과 운선업
《고려사》 세가에 나타나는 송도강
고려 도강과 해상무역
3부 고려의 무역품과 은 무역
고려와 남중국 사이의 무역품
송.원대 남중국과 동남아시아 사이의 무역품
송.원대 고려와 남중국 사이의 무역품
… 고려의 수출품
… 고려의 수입품
원조 중국의 은銀 무역과 고려은의 유출
남중국과 동남아시아 사이의 은 무역
은 유출의 결과
육로를 통한 고려와 중국 사이의 은 무역
… 육로무역과 은의 유출
… 고려은의 유출과 은 가격의 상승
… 은 유출의 결과
에필로그
참고논문
주석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고려 예성항에서 남중국 명주로 가는 경우, 7월→8월→9월 순으로 가을철의 빈도가 높고, 2월과 3월 사이의 봄철에도 있었다. 먼저 여기서 확인되는 점은 범선들이 고려에서 ‘겨울철’에 북풍을 이용해 남중국으로 갔을 것이라는 종래의 통념은 사실무근이라는 것이다. 오히려 ‘봄’과 ‘가을’에 고려에서 남중국으로 가는 경우가 많았다.
오잠의 문집에 따르면, “고려에는 선박을 건조할 만한 소나무나 삼나무가 없고, 선박이 있다고 하더라도 단지 ‘잡목雜木’으로 만들어진 것에 지나지 않으며, 쇠못을 사용하지 않고, 국경 근처에서 왕래하며 매매하는 데 사용되므로, 먼 바다를 건널 수 없다”고 적고 있다.
송나라 사신 진정은 산동반도 등주의 팔각해구八角海口에서 백사유가 타고 있던 ‘해선海船’과 고려 수공水工을 발견하여, 곧바로 이 배를 타고 사흘 만에 고려의 옹진 해안에 도착했다고 한다. 이를 통해서 고려 사절이 산동반도의 등주로 갈 때나 예성항으로 되돌아올 때 이용했던 배는 고려선임을 알 수 있다. 이 항로는 이미 신라 말 장보고 시대부터 이용되어왔던 것이다. 따라서 고려선박을 타고 황해를 횡단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