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56121633
· 쪽수 : 740쪽
· 출판일 : 2020-03-31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며
한국 불교사의 이해를 위하여
연표
1부 삼국시대-불교의 수용
1. 선사시대 이래의 토착신앙
2. 불교의 전래와 수용
3. 고구려 사회와 불교
4. 백제 사회와 불교
5. 신라 사회와 불교
6. 사원 운영과 불교문화
2부 통일신라-불교사상과 신앙의 정립
1. 통일신라와 발해의 불교
2. 중대 교학불교의 발달
3. 신앙의 실천과 불교문화
4. 사원과 교단 운영
5. 선불교의 수용과 신라 불교의 변화
6. 불교의 대외교류
3부 고려 전기-사상의 다양성과 불교
1. 고려 전기 귀족불교
2. 선교 융화
3. 교단 운영과 신앙의례
4. 대장경과 교장
5. 사원의 운영과 사원경제
4부 고려 후기-사회변동과 불교
1. 고려 후기 불교계의 변화
2. 수선사와 백련사
3. 재조 대장경과 인쇄문화
4. 불교신앙과 불교문화
5. 성리학의 수용과 척불론
5부 조선 전기-성리학 사회와 불교
1. 불교 교단의 위축
2. 불교신앙의 지속과 의례
3. 불서 간행의 성행
6부 조선 후기-산사 불교의 독자성
1. 문파 형성과 삼문 수학
2. 조사선의 추구와 강학의 성행
3. 산사의 정착과 불교문화의 확충
7부 일제의 국권 침탈과 불교 근대화
1. 조선 말기의 불교
2. 일제강점기의 불교
3. 근대의 선풍
8부 현대 한국 불교-산업사회 시대 불교의 지향
글을 마치며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불교는 처음 시작될 때부터 다른 종교를 배척하기보다 상호 조화를 도모하는 경향이 강했다. 불교는 다른 사상이나 종교와 달리 새로운 지역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전통사상이나 종교와 크게 마찰을 일으키지 않아 ‘순교殉敎’ 사실을 찾아보기 어렵다.
지눌은 직접적인 깨달음을 추구하는 선이 가장 뛰어난 체계이기는 하지만, 이론적 토대를 마련해주는 교학도 무시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그런 모색의 결과 지눌이 교학과 선을 융합하여 정립한 정혜쌍수론은 동아시아 불교사상에서 손꼽히는 사상체계로 정립되었다.
한국 불교사에서 위와 같은 조건을 갖춘 종파는 7세기부터 등장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의상이 이끈 화엄종華嚴宗이다. 의상은 화엄사상을 체계화하고 부석사 등에서 수행하며 미타신앙과 관음신앙 등을 실천했고, 제자들과 일반인들에게 지속적으로 계승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