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56122104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22-01-19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1부 이상백과 한국 사회학의 제도화
1. 이상백에 대한 선행 연구
2. 이상백과 한국 사회학의 제도화
3. 이상백이 구상한 사회학
4. 이상백과 동시대의 사회학자들
5. 이상백이 한국 사회학을 제도화 할 수 있었던 이유
6. 이상백의 일본 체육계 활동이 갖는 의미
7. 이상백의 학문적 유산
8. 이상백과 그의 후예들
2부 배용광과 대구·경북의 사회학
1. 대구·경북 사회학의 창건자 배용광
2. 배용광과 한국 사회학의 제도화
3. 배용광의 학문적 자세
4. 배용광의 학문적 성과
5. 배용광의 사회적 활동
6. 배용광 사회학의 비판적 계승
3부 이만갑과 아카데믹 사회학의 형성
1. 이만갑과 한국 사회학
2. 이만갑의 지적 형성 과정
3. 일본 사회학에서 미국 사회학으로
4. 이만갑 사회학의 전개
5. 이만갑의 사회 활동
6. 이만갑 사회학의 비판과 계승
4부 이해영과 아카데믹 사회학계의 형성
1. 이해영의 사회학사적 위치
2. 이해영의 지적 성장 과정
3. 이해영 사회학의 전개
4. 이해영의 사회적 활동
5. 이해영 사회학의 비판적 계승
5부 김경동과 아카데믹 사회학의 주류화
1. 아카데믹 사회학의 대표, 김경동
2. 김경동 사회학의 내부 구성
3. 김경동의 삶과 글쓰기
4. 김경동 사회학의 기여와 한계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국대안에 대한 반대투쟁이 심해지자 …… 이런 급박한 상황 속에서 이상백은 …… 1947년 7월 19일 여운형이 암살당한 후 정치 활동을 접고 사회학과의 창설에 집중했다. …… 김필동에 따르면 “상백의 진단학회 활동은 해방 후 상백이 경성대학 및 서울대학교 교수가 되고, 서울대학교에 사회학과를 창설하는 데 결정적인 배경이 되었다. 왜냐하면 진단학회 출신들이 문리과대학 문학부의 교수진 구성의 중심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는 제자들을 격려하고 장학금을 마련해주고 유학을 주선하면서 출중한 후속 세대 학자들을 양성했다. …… 이상백의 제자들 가운데 최재석, 김채윤, 한완상, 김경동, 강신표, 신용하, 김진균 등이 개인적으로 그를 회고하는 글을 남겼다.
그가 남긴 사회사 연구는 최재석, 신용하, 김영모 등 2세대 학자를 거쳐 박명규, 김필동, 정근식, 안호용 등 3세대 학자로 이어졌으며 그 연구의 흐름은 ‘한국사회사학회’라는 독자적인 흐름으로 계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