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전기(개국~임진왜란 이전)
· ISBN : 9791156122388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2-11-29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성종 연보
1. 낡은 정치를 혁파하다
1장 치열하게 공부하다
‘혼맥’에 힘입은 불안한 출발|조선 임금 중 최다 경연 참가자
2장 적폐 청산의 시금석, ‘현석규 탄핵 사건’
권력의 하수인이 된 언론|임사홍의 농간, 권력 다툼의 신호탄?
3장 왕비를 폐하다
피해의식에 젖은 투기|국왕을 해치려 하다|후일의 발호를 경계하다|만세를 염려하여 결단하다
4장 풍속을 교화하다
어우동 사건의 파장|교화의 그늘
5장 우방과 협력하다
중화공동체 전략의 지속|우여곡절 건주위 정벌|일본에 통신사를 파견하다
6장 유신을 단행하다
참된 인재를 구하려 고심하다|좌초된 ‘승출의 법’의 의의
7장 법전을 완성하다
《경국대전》의 시행과 교정|유교적 법치
8장 권신을 제어하다
실세 한명회 극복하기|‘가지치기’로 힘을 빼다
2. 포용하고 통합하다
9장 왕의 남자, 김종직
훈구대신들과도 원만한 관계|신진 사림의 구심점이 되다|각자도생하는 제자들
10장 문화정치를 추구하다
활기 띤 활자 주조와 문집 간행|서적의 보급과 사가독서
11장 조선의 무위를 보이다
성종 22년의 북정|조선의 군사적 자주권
12장 대신과 대간을 중재하다
개전인가, 경계인가|마음의 선악을 문제 삼는 정치|대신과 대간의 불화
13장 언론을 활성화하다
태평과 폭정의 갈림길|비판적 지지의 확보
14장 간쟁하는 신하 채수와 ‘열린’ 성종
사가독서에서 파직까지|복직, 광망, 칩거
15장 실패한 후계자 교육
세자의 학습 부진|끝내 풀지 못한 숙제
에필로그
마치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자산군은 예종과 마찬가지로, 정계의 실권자인 한명회의 딸과 혼인하였고, 그를 정치적 후견인으로 두고 있었기 때문에 왕이 될 수 있었다. 아버지가 임금이 아니었고 본인이 적장자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혼맥을 통해서 왕이 될 수 있었던 성종은 어쩌면 조선왕조 역사상 최대의 행운아가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성종은 25년 동안 집권하면서 성리학을 바탕으로 도학정치를 실현하기 위해 학문에 심혈을 기울였다. 잡직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야별로 습독관제도를 두고 관련 분야의 책을 집중적으로 읽고 토론하도록 했으며, 독서당제도를 마련하여 문신들에게 특별휴가를 주어 독서를 권장하였다.
성종은 조강․주강․석강․야대를 정기적으로 실시한 것 외에도 수시로 경연을 실시함으로써 조선조 역대 제왕 중 가장 왕성한 학구열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탐구정신은 유학을 기본이념으로 삼고 ‘성현의 가르침을 본받아 나라를 다스리는’ 이상적인 국가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의 근간이 되었다. 조선왕조가 건국 후 100년이 지난 성종 대에 이르러 통치체제가 완성된 것도 경연의 활성화에서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