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10년 후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생산과 소비

10년 후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생산과 소비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카이스트(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생산과 소비의 혁명 소위원회, 미래창조과학부 (지은이)
지식공감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350원
14,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10년 후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생산과 소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10년 후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생산과 소비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미래학
· ISBN : 9791156222682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7-04-14

책 소개

2015년부터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미래준비위원회와 KISTEP, KAIST가 힘을 모아 대한민국을 변화시킬 중요 미래 이슈를 분석하여 출간해온 ‘10년 후 대한민국’ 시리즈의 다섯 번째 책이다.

목차

발간사 4
머리말 8

제1장 생산과 소비의 혁명이란? 17

1절 4차 산업혁명 시대 생산과 소비의 융합 19
2절 ‘생산과 소비의 혁명’ 의미와 미래전략의 필요성 25
3절 주요국의 대응 현황 35

제2장 생산과 소비의 변화 전망 41

1절 생산과 소비 혁명의 동인 45
2절 생산과 소비 혁명의 주요 트렌드 63
3절 미래 생산과 소비의 혁신 사례 81

제3장 생산·소비 변화의 흐름 속에서 우리의 위치 89

1절 우리의 현주소 91
2절 주요 산업 분야별 전망과 현황 107

제4장 생산과 소비의 혁명 시대를 주도하는 미래전략 129

1절 미래형 비즈니스 모델의 구축 133
2절 생산·소비 영역의 혁신 창출 역량 제고 151
3절 제도와 인프라의 마련 165
4절 새로운 문화와 윤리의 확립 181

맺음말 195
참고문헌 201

부록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이슈 보고서 요약본-한글판 211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이슈 보고서 요약본-영문판 225


그림, 표 차례
제1장

<그림 1-1> ‘제조 혁명’ 이슈와 핵심기술과의 연관 관계 22
<그림 1-2> 산업혁명의 역사적 전개 26
<그림 1-3> ‘생산과 소비의 혁명’ 의미 28
<그림 1-4> 생산과 소비 프로세스의 변화 30
<그림 1-5> 가치사슬의 변화 31
<그림 1-6> ‘생산과 소비의 혁명’ 미래전략 마련의 필요성 33

제2장

<그림 2-1> ‘생산과 소비 혁명’의 동인과 미래상 43
<그림 2-2> 생산과 소비에 영향을 미칠 과학기술 46
<그림 2-3> 디지털 데이터의 급격한 증가 49
<그림 2-4> 사이버-물리 시스템(CPS) 사이클 52
<그림 2-5> 생산과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3
<그림 2-6> 국가 소득 수준별 도시화 현황 및 전망 54
<그림 2-7> UN의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 57
<그림 2-8> 선진국과 신흥국의 잠재성장률 전망 58
<그림 2-9> 소비자 가격 100달러 상품이 글로벌 협업을 통해 완성되는 과정(예시) 60
<그림 2-10> 생산과 소비 혁명의 주요 트렌드 64
<그림 2-11> 시장 및 고객의 요구와 밀접해지는 미래의 생산 67
<그림 2-12> 소비의 다양화와 개인 맞춤형 생산 확대의 사례 68
<그림 2-13> 미국의 신기술 수용 현황 69
<그림 2-14> 제조와 서비스 분야의 결합 사례 74
<그림 2-15> 미래 생산과 소비의 혁신 사례 86

제3장

<그림 3-1> 국가별 4차 산업혁명 준비 정도 평가 결과(UBS) 93
<그림 3-2> 한국의 4차 산업혁명 준비 정도 항목별 순위 94
<그림 3-3> 우리나라 산업구조변화지수의 변화 95
<그림 3-4> 2015년도 한국 13대 품목의 수출 증가율(%, 전년 대비) 98
<그림 3-5> 국가별 1인당 국민총소득 및 ICT발전지수 102
<그림 3-6> 한국의 GDP 성장(1960~2015년) 105
<그림 3-7> 4차 산업혁명의 파급력과 한국의 준비도 108
<그림 3-8> 주요 산업 분야별 전망과 현황 109



제4장

<그림 4-1> 생산과 소비의 혁명을 주도하는 미래전략 132
<그림 4-2> 생산과 소비 프로세스의 단계별 혁신 137
<그림 4-3> 스마트공장 주요 요소 제품의 국내 기술 수준 178
<그림 4-4> 디지털 경제에서 기업이 관리해야 할 요소 185
<그림 4-5> 순환경제 시스템 내 자원 흐름 189

제3, 4장

[표 3-1] 제조업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품목별 비중 97
[표 3-2] 주요국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 분야 시가총액 연평균 증가율(2006~2015년) 100
[표 4-1] 스마트공장의 수준별 구현 형태 179

저자소개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엮은이)    정보 더보기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미래전략연구센터(원장/센터장 이광형) 국내 최초의 미래학 연구 및 교육기관이다. 과학적인 미래학 연구를 바탕으로 국가 발전과 인류 행복에 기여하는 미래전략 수립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미래의 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창조해가는 미래전략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의 미래전략 연구 교육 기관으로 발돋움하고자 한다. 현재 인재양성은 물론 전 지구적 미래위기와 시대변화에 선도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국가미래전략 보고서를 매년 발간하고 있다.
펼치기
생산과 소비의 혁명 소위원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책속에서

4차 산업혁명은 특히 기존의 생산·제조 시스템에 소비자의 요구를 결합하고 융합해서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빅데이터, 인공지능, 클라우드, 사물인터넷에 의해 데이터가 흐르고 축적되며 처리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비 성향이 생산에 직접 반영되고, 제조가 서비스로 확대되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게 됩니다. 그럼으로써 생산과 소비가 결합되는 변화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생산과 소비의 혁명’은 신흥국과의 경쟁에서 위기감을 느낀 선진국에서 촉발되고 있다. 중국, 인도 등의 신흥국들은 풍부한 자원과 저임금 구조에 힘입어 빠르게 산업을 발전시켜 온 반면, 일부 선진국들은 고비용화, 고령화, 노동력 부족 등의 영향으로 산업 경쟁력이 점차 쇠퇴하는 추세였다. 선진국들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신흥국에 비해 우위를 갖는 과학과 기술에 기반하여 생산과 소비의 패러다임을 바꾸고자 하고 있다.


미국의 스타트업(startup) 기업 솔스(SOLS)는 고객이 스마트폰 앱으로 찍어 보낸 발 사진을 받아 맞춤형 깔창을 3D 프린터로 제작하여 배송해 준다. 로컬모터스(Local Motors)는 3D 프린터로 개인 맞춤형 전기자동차를 만들어주는 세계 최초의 기업으로, 고객의 주문을 받아 차량을 새로 디자인하고 제작하는 데 7일 이내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