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문화/예술
· ISBN : 9791156332084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8-08-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교육연극이란 무엇인가
1 교육연극이란 무엇인가
(1) 교육연극의 개념
(2) 교육연극의 종류
(3) 과정이 중요한 드라마
(4) 교육연극 수업의 흐름
(5) 창의성 함양이 곧 민주시민교육
2 교육연극을 적용한 수업 계획
(1) 웜업은 수업의 시작
(2) 본 활동
(3) 이야기 만들기
(4) 팔로우업
3 수업 중 연극에 도움 되는 드라마 기법
(1) 마음을 살피는 ‘빈 의자’
(2) 핫시팅
(3) STOP/PLAY
(4) 역할 속 교사
(5) 타블로와 즉흥극
(6) 말풍선과 앞으로 한마디
(7) 코러스
(8) 인간지도
(9) 살아 보기
2 문학 텍스트로 연극하기
사례 1 <운수 좋은 날>
근대적 시공간 속으로 들어가 보기
사례 2 <금 따는 콩밭>
나에게 가장 소중한 보물은?
시례 3 <노은사>
인물과 상황을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사례 4 <사랑손님과 어머니>
가족의 기능과 의미를 탐구하기
사례 5 <성북동 비둘기>
시의 주제를 넘어 사회문제를 바라보다
사례 6 <여승>
시를 소재로 드라마 만들기
3 영화와 애니메이션으로 연극하기
사례 7 <인사이드 아웃>
청소년기의 정서적 경험을 구현하기
사례 8 <타이페이 카페 스토리>
이런 카페를 차리면 어때요?
사례 9 고담시티 르네상스 프로젝트
현재 자신이 살고 있는 세상을 아름답게 바꾸기
사례 10 <문라이즈 킹덤>
부모와의 관계 모색하기
4 좀 더 복잡한 의미를 생성하는 수업
사례 11 <선녀와 나무꾼>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보기
사례 12 해변의 추억
학생들의 친밀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사례 13 외국인 노동자
타자를 이해하고 배려하기
사례 14 <아우를 위하여>
불안한 청소년기를 지혜롭게 보내기
5 내면 성찰, 진로교육, 인성교육을 위한 수업
사례 15 환상카페 : 내 장점을 내놓을게
자신의 장점을 파악하라
사례 16 불행이 어떤 힘도 쓸 수 없는 곳
행복과 불행의 경험 나누기
사례 17 사랑 노래는 아름답지만 슬프다
우리가 바라는 사랑, 우리가 바라는 일상의 삶
사례 18 선택의 기로
나의 선택은 어떤 결과를 가져올까?
사례 19 롤러코스터 시간여행
미래의 불안을 극복하려면 어떻게 할까?
사례 20 정약용의 <목민심서>
역사적 사건과 인물 소환하기
사례 21 근자열 원자래(近者悅 遠者來)
내가 살고 싶은 나라는?
부록
책속에서
교육연극은 연극을 교육에 적용하는 방법론이라고 요약할 수 있습니다.
교실연극은 짧은 시간에 시작-중간-마무리 과정이 모두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어야 합니다. 선생님들이 교육연극의 일반적 구조인 웜업-본 활동-팔로우업의 순서에 맞추어 작은 활동을 계획하고 쉽게 실행하기 위해서는 각 순서를 잘 짜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가의 망토와 역할 속 교사는 함께 작동하는 방식이 될 수 있습니다. 어떤 전문가 집단을 불러 어떤 문제를 해결하게 할지를 관련 교과 교사들의 회의를 통해 정하고 스토리라인을 만들면 교사들이 각기 역할 속 교사로서 활동하면서 학생들을 전문가로 활약하게 하는 등 다양한 수업이 가능해집니다. 이 역시 자유학기제 통합교과 프로그램으로 적용하기에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