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군사전략/무기
· ISBN : 9791156341314
· 쪽수 : 620쪽
· 출판일 : 2016-02-29
책 소개
목차
서문 4
제 I 권 군주의 길
제1장 군주의 일상 21
제2장 학문의 목적(철학의 위치) 21
제3장 학문의 목적(베다학의 위치) 23
제4장 학문의 목적(경제학과 통치학의 위치) 25
제5장 경륜 높은 스승의 가르침 27
제6장 감각 기관의 통제(여섯 가지의 적) 28
제7장 감각 기관의 통제(덕망 있는 군주의 생활) 30
제8장 장관의 임명 31
제9장 총리와 제사장의 임명 34
제10장 장관의 자질 검증 35
제11장 한 곳에 상주하는 밀정 38
제12장 상주하지 않는 밀정 40
제13장 백성의 동태 파악 43
제14장 적대국의 백성과 집단의 포섭 46
제15장 장관회의 49
제16장 외교사절 운용 53
제17장 군주의 신변에 대한 안전 56
제18장 군주의 눈 밖에 난 왕자 61
제19장 군주의 임무 63
제20장 왕족 거주 지역에 관한 규정 65
제21장 군주에 대한 개인 경호 68
제2권 정부 관료의 의무
제1장 마을의 설립 73
제2장 토지의 분배 77
제3장 성채 건설 79
제4장 수도의 윤곽 82
제5장 재무장관의 책무 86
제6장 국세청장 88
제7장 회계 서류의 유지 91
제8장 세금을 횡령하는 공무원에 대한 조치 97
제9장 공무원의 행위에 대한 조사 101
제10장 칙서의 발령 105
제11장 금고에 입고되는 고가품의 검사 110
제12장 광물의 채취와 가공 112
제13장 귀금속 관리 책임관 117
제14장 번화가에서 국가에 고용된 금세공인의 책무 120
제15장 창고 관리 감독관 123
제16장 상업부 장관 129
제17장 임산물 장관 132
제18장 조병창장 133
제19장 계측 장관 138
제20장 공간과 시간의 측정 143
제21장 세관 책임관 148
제22장 통행세 징수 규정 151
제23장 직물 감독관 152
제24장 영지 책임관 154
제25장 주류 감독관 158
제26장 동물 보호와 도축 관리관 162
제27장 창부 감독관 163
제28장 선박 감독관 167
제29장 국영 목장 감독관 170
제30장 말 관리관 174
제31장 코끼리 감독관 179
제32장 코끼리의 조련 182
제33장 전차 사령관; 보병 사령관 그리고 총사령관 184
제34장 통행증 책임관 186
제35장 지역 행정관의 책무 : 가장과 상인, 수행자로 위장한 밀정 187
제36장 수도를 관리하는 시장의 책무 189
제3권 사법제도
제1장 계약의 효력 195
제2장 결혼 200
제3장 부인의 의무 204
제4장 남녀 간 애정 행각 및 도주 208
제5장 유산의 분배 212
제6장 재산의 특별한 분배 215
제7장 아들의 구분 218
제8장 건물 223
제9장 부동산의 매매 및 소유권 225
제10장 부동산 관련 위해 행위 처벌 229
제11장 부채의 상환 234
제12장 공탁 239
제13장 노예와 노동자에 대한 규정 244
제14장 노동자와 협동조합 249
제15장 구매와 판매의 무효 253
제16장 증여의 반환과 소유권 분쟁 255
제17장 강도 259
제18장 명예훼손 261
제19장 폭행 263
제20장 도박과 내기 그리고 사소한 범법행위 267
제4권 민생과 치안
제1장 장인의 보호 273
제2장 상인의 보호 279
제3장 국가의 재난 구제 281
제4장 사악한 사람의 활동 억제 285
제5장 밀정을 활용한 도적떼 검거 288
제6장 범죄 혐의자 또는 현장범의 체포 290
제7장 급작스런 죽음의 조사 296
제8장 재판과 고문에 의한 자백 299
제9장 정부 모든 부처의 방호 302
제10장 벌금 대신에 신체 절단 308
제11장 고문 후 또는 고문 없는 사망 310
제12장 여자의 순결 313
제13장 사회 정의 위반에 대한 처벌 316
제5권 신하 관리
제1장 보상과 처벌 323
제2장 재화의 보충 329
제3장 공무원의 생계유지 336
제4장 신하로서의 행동 340
제5장 군주에 대한 봉사와 결별 343
제6장 왕국과 절대 통치권의 강화 346
제6권 국가의 원천
제1장 국가의 구성 요소 353
제2장 세력궤도론(만다라 이론) 356
제7권 국가전략의 유형
제1장 6가지 유형의 외교정책(6면 정책) 363
제2장 동맹의 본질 368
제3장 평화조약의 체결 조건 371
제4장 관망과 군사행동 375
제5장 적 공격의 우선순위와 명분 380
제6장 평화협정 체결과 이중 행위자의 처리 385
제7장 전쟁과 평화의 양면 정책 390
제8장 우방국에 대한 지원과 피지원 395
제9장 우방국 선택의 기준 400
제10장 영토를 매개로 하는 평화조약 405
제11장 지루한 협정 408
제12장 저비용 고효율의 과업 추진 412
제13장 배후에서 공격하는 적에 대한 고려 416
제14장 상실된 국력의 회복 421
제15장 농성전과 항복 후 군주의 행동 425
제16장 적대 국가의 정복과 처리 429
제17장 협정의 체결과 인질 434
제18장 세력궤도 내 국가의 관리 438
제8권 국가 위기관리
제1장 국가 구성 요소의 상대성 447
제2장 국가 위기 시 군주의 선택 452
제3장 군주의 탐닉 : 사냥, 도박, 여자, 술 455
제4장 재난과 국가의 재정 위기 460
제5장 군과 우방국에 대한 신뢰의 문제 466
제9권 전쟁 준비와 계획
제1장 공격 시점 판단(상대적 힘, 장소, 시기, 피아의 강·약점) 473
제2장 유형별 군사력의 동원과 충원 478
제3장 원정 간 후방 지역의 안정 도모 483
제4장 전쟁으로 달성하는 이익에 대한 고려 488
제5장 국가 위기 유발 세력에 대한 조치 491
제6장 반역자 및 적과 내통하는 자 494
제7장 부와 해악의 구분과 전략적 대안의 적용 500
제10권 전쟁 수행
제1장 숙영지 편성 509
제2장 전장으로 이동 510
제3장 비공식 전쟁과 군의 사기 진작 513
제4장 부대 유형별 전투 수행 518
제5장 군종별 전력 할당과 배치 520
제6장 기본 전투 대형과 적용 525
제11권 제후국과 협동조합의 관리
제1장 분열 유도와 처벌 531
제12권 강력한 적에 대한 책략
제1장 특사의 임무 539
제2장 암살 전략 542
제3장 적의 총사령관 제거와 주변 세력의 선동 546
제4장 적의 전쟁 수행 능력 약화 550
제5장 적 무력화와 완전한 승리를 위한 계략 553
제13권 성채 획득을 위한 방책
제1장 적 내부의 분란 조성 559
제2장 적을 성채 밖으로 유인하는 계책 562
제3장 적을 약화시키기 위한 밀정의 역할 567
제4장 포위 작전 572
제5장 정복 지역의 안정 회복 578
제14권 신비스러운 수단
제1장 적을 해치는 수단 583
제2장 경이로운 수단과 방법 590
제3장 의약과 주문 595
제4장 부상자 치료 603
제15권 본 논문의 구성
제1장 본 책자의 구성과 내용 서술의 기법 607
카우틸랴(쟈나끼야)의 일생 615
책속에서
백성들의 기쁨이 군주의 기쁨이며 백성들의 복지가 군주의 복지이다. 군주는 자신의 만족이 아니라 백성들의 만족을 최고의 선으로 인식하고 정무를 살펴야 한다.
따라서 군주는 항상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경제 활동을 관리해야 한다. 풍요의 근원은 활발한 경제 활동이며, 경제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면 물질적 고충을 겪게 된다. 경제적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활동이 없다면 현재의 번영이 지속될 수도 없고 미래의 성장도 이룩할 수 없다. 군주는 생산적이고 활발한 경제 활동을 통해 풍요를 가져올 수 있고 요망하는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
-군주의 임무 중에서-
현명한 군주는 국가를 구성하는 요소가 참담한 상태에 있을지라도 이를 회복시켜 행복과 번영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사악한 군주는 최상의 상태에 있는 국가의 구성 요소들을 파괴시켜 왕국을 위험에 처하게 한다. 이런 연유로 불공정한 성격과 사심에 가득 찬 군주는 그가 비록 황제라 할지라도 자신의 신하들이나 적들의 분노의 표적이 되고 희생물로 전락할 것이다.
반면에 현명한 군주는 비록 작은 영토를 통치하더라도 정치를 잘하게 되어, 국가의 구성 요소를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어느 누구에게도 패배를 당하지 않고 온 세상을 정복할 수 있는 것이다.
-국가의 구성 요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