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문 에세이
· ISBN : 9791156342823
· 쪽수 : 278쪽
· 출판일 : 2018-05-15
책 소개
목차
이 책의 특징 4
추천사 16
제1부 수필과 詩
지리산 바래봉 철쭉 여행 22
경화초등학교 개교 100주년 기념 여행 29
순천 갈대밭, 송광사 여행 37
부산 여행 45
남해 여행 54
순천만 정원박람회 60
장성 축령산, 백양사 여행 73
청량산 협곡열차 여행 82
화성(華城) 탐방기 98
영통정의 봄 110
인문학과 정책 113
세월호 참사의 원인과 대책(진단과 처방) 117
태백산 눈꽃축제 여행 120
유당마을 방문기 125
남한산성을 오르며 128
광교호반 예찬 136
장사도 여행 140
서울 투어 148
소록도, 금당도 여행 152
동해 기행 166
동.남해 기행 182
남해 보리암, 여수 향일암, 금오도 여행 190
제2부 詩와 음악
성가(聖歌) 201
하늘의 길, 영원한 길 204
사계절 노래 206
아름다운 우리나라 208
아름다운 우리 민나 210
봄노래 212
강남의 달밤 218
꽃게탕 220
삶(人生) 222
백암산 223
아나타(雅那妥) 224
나의 사계절 227
제3부 소설과 詩
1. 사랑의 슬픔 241
2. 사랑의 기쁨 262
저자소개
책속에서
조시인, 조선 시대 학자들의 간단한 시가 돌에 새겨져 있다.
송강 정철(1536~1593) 선생의 詩도 있다.
어버이 살아실제 섬길 일을 다 하여라
지나간 후면 애닯다 어이하리
평생에 고쳐 못할 일이 이뿐인가 하노라
또한, 조선 중기 문신인 삼학사 윤침(1606~1637) 선생의 詩도 있다.
성루에 올라보니 천지가 끝없는데
변경 밖 오랑캐군이 한눈에 들어오네
장부의 큰 뜻을 이제 어디에 쓰리
영웅의 마음으로 칼 어루만지며 저녁 바람을 맞네.
장부(丈夫)의 기상을 읊은 것 같은데 김종서 장군의 시가 생
각났다.
삭풍은 나무 끝에 붙고 명월은 눈 속에 찬데
만 리 변성에 일장검 짚고 서서
긴파람 큰 한소리에 거칠 것이 없으라.
그러나 무(武)로써 뜻을 펼치겠다니 용장(勇將)이나 영웅은 될지언정 덕장(德將)은 아닌 것 같다. 君子나 大丈夫라면 德將이 되어야지! 德으로써 천하의 용장인 항우를 물리치고, 천하
를 평안케 한 한고조 유방의 대풍가(大風歌)가 생각난다. 그리고 나의 기상(氣象)을 노래해 본다.
太風起兮雲飛楊(태풍기혜운비양)
淸風明雨洗風塵(청풍명우세풍진)
吾爲五常平天下(오위오상평천하)
큰 바람 일어나니 구름 드날리네
맑은 바람 맑은 비로 풍진 때를 씻어내고
우리들 *오상의 덕으로써 세상을 편안하게 하리라!
*五常: 仁·義·禮·智·信
산성으로 올라가는 길옆에는 벚꽃, 산수유, 개나리, 복사꽃 등이 어우러져서 무릉도원(武陵桃源)을 이루고 있다. 계곡에는 냇물이 졸졸졸 흐르고, 조그만 소(沼, 연못)에는 복사꽃(도
화유수묘연거 桃花流水杳然去) 대신 작은 물고기들이 한가롭게 놀고 있다. 붉은 철쭉, 분홍빛 자색 철쭉은 꽃처럼 예쁜 봉오리를 내밀고, 조그만 연초록 작설 같은 단풍잎들은 미풍(微風) 속에서 아기 손처럼 깜찍하게 한들거리고 있다. 새하얗고, 맑게 빛나는 조팝꽃도 탐스럽게 피었고, 행운은 주는 까치도 밝고 힘차게 노래한다.
‘남한산성을 오르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