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향이 뭐길래

고향이 뭐길래

한명희 (지은이)
해드림출판사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11,700원 -10% 2,500원
0원
1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9,9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향이 뭐길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향이 뭐길래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56345510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3-08-15

책 소개

한명희 수필집 『고향이 뭐길래』에서 고향을 소재로 한 작품들은 3부 ‘호수에 잠든 내 고향’에 들어 있다. 이 수필들은 작가가 자신의 고향 '분원' 마을에 대한 기억과 감정을 공유하고 있다. 작가는 이곳이 자신의 부모님 산소에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음을 언급하며, 이곳의 아름다운 경치와 중요한 역사를 묘사한다.

목차

작가의 말 : 물에 묻힌 내 고향 분원마을 | 4

1. 기름집 아들
어린 영혼 12
기름집 아들 16
빛바랜 사진첩 20
흰 고무신 25
생일맞이 성묘 30
외로운 섬, 아버지 35

2. 달빛의 신비한 치유력
시간이 오고 가는 것인가 42
총죽지교(葱竹之交) 44
환경미화원 식사 초대 49
달빛의 신비한 치유력 54
그림자를 집에 두고 산에 간다 59
그러려니 그냥 받아들이세요 63

3. 호수에 잠든 내 고향
고향이 뭐길래 70
호수에 잠든 내 고향 광주(廣州) 분원(分院) 75
물에 묻은 내 고향 분원 78
팔당호에 묻힌 소내 나루 82
원두막을 팔당호에 묻고 87
우천도(牛川圖)와 소내(苕川) 92
분원리 사옹원 감관 선정비 97
내 고향 분원(分院)과 하재일기 102

4. 개밥지기
드러누워 보는 세상 111
참을 걸, 베풀 걸, 즐길 걸 115
하늘을 보라! 120
개밥지기 125
배꼽 129
어처구니 있다 135
보리 풋바심 139
나 144

5. 다시 서 보고 싶은 교단
조는 학생, 자는 학생 151
무너지는 교권, 흔들리는 학교 155
매를 맞겠다고 합니다 160
십자인대 파열 사건 165
선생님, 정년퇴임 하셔야죠 170
다시 서 보고 싶은 교단(敎壇) 175

6. 임종체험
가상 유언장 181
암(癌) 센터 185
안락사(安樂死) 190
고독사(孤獨死) 194
사전연명의료의향서 198
임종(臨終)체험 203

저자소개

한명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분원리(1939년생) 분원초·성동고·성균관대 졸업, 경희대·연세대 교육대학원 수료 분원조·분원중 교사, 가원중·영등포고 교장 서울시 교육연구원장·학생교육원장 문교부 윤리편수관(연구관)·사회과학 편수관(장학관)·편수국장 강원대, 동국대, 성균관대, 동덕여대 강사. 용인대 겸임 교수 한국교육삼락회총연합회 상임 부회장 전, 구리문인협회장·서울교원문학회장·월간 『문학저널』 편집위원 월간 『문학저널』에 「마음을 여는 수필」 146회 연재(2007~2021년) 현, 경기도문인협회·한국문인협회 자문위원 대통령 표창, 국민훈장 석류장, 홍조근정훈장 수훈 경기도문학상 본상, 좋은문학 문학상 본상 수상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공감낭독경연대회(2016) 대상 수상 * 수필집 : 「드러누워 보는 세상」, 「참을걸 베풀걸 즐길걸」, 「하늘을 보라」, 「개밥지기」, 「보리 풋바심」 * 수필선집 : 「어처구니 있다」, 「고향이 뭐길래」 * 시집 : 「배꼽」, 「나」
펼치기
한명희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시간이 오고 가는 것인가

우리는 누구나 시간 속에 살고 있다. 그런데 그 시간은 보이지도 않고 볼 수도 없다. 도리 없이 마음으로 시간을 보고, 시간의 흐름을 깨닫고, 시간의 길이를 재단한다.
햇볕이 쨍쨍 내리쬐고 바람 한 점 없는 여름날, 할 일 없이 앉아 있으면 그 하루는 참으로 지루하고 길다. 말 그대로 일각(一刻)이 삼추(三秋)와 같다.
영화를 보면 일 분도 안 되는 짧은 시간에 파란 잎이 돋아나고, 누렇게 보리가 익어가고, 단풍이 울긋불긋 산하를 수놓고, 하얀 눈이 파란 솔가지에 소리 없이 내리면 일 년이 순식간에 지나간다. 참으로 일 년은 짧다.
어린아이가 아장아장 걸음마를 떼어놓고, 젊은 청년이 스포티(sporty) 한 차림으로 강가를 힘차게 내닫고, 노인이 강가에 서서 지는 해를 배웅하는 모습이 보이면 수십 년이, 일생이 찰나처럼 지나간다.
그래서 나는 ‘하루는 길고, 일 년은 짧고, 일생을 찰나와 같다.’라고 주장을 할 때가 있다. 시간의 존재는 물론 시간의 흐름, 시간의 길이는 느낌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어떤 때는 시간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기도 하고, 시간에 길이와 흐름이 있다는 사실을 관념적 오류라고 지적을 하기도 한다.
때로는 ‘시간이 오고 가는 것인가?’ 아니면 ‘인간이 오고 가는 것인가?’라는 의문의 늪에 빠져 허우적거리기도 한다. 시간은 영겁의 세월 항상 제자리에 머물고 있는데, 인간들이 흘러가면서 제자리를 지키고 있는 시간을 향하여 오고 간다고 하는 게 아닌지, 마치 강물이 흘러가면서 제자리를 지키고 있는 산을 보고 흘러간다고 억지를 부리는 것과 무엇이 다른지, 혼란스럽다.
시간이란 것이 정말로 존재하는 것인가, 시간이 존재한다면 제 자리에 머무른 것인가, 아니면 흘러가는 것인가, 그 흐름에 따라 인간의 노화(老化)가 이루어지는 것인가? 시간의 구속에서 벗어나는 길은 정녕 없는 것인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