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세계의 신화와 전설 > 세계의 신화와 전설 일반
· ISBN : 9791156623571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8-03-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강 중동신화의 요체: 신화·서사시를 보는 시각
중동신화여행을 떠나며
세계의 신화 서사시, 이를 바라보는 시각
신화전승의 제1층위와 제2층위: 제주도의 사례를 구실삼아
중동신화와 서사시의 특징과 갈래
세계 중세서사시의 사례 비교
제2강 이집트 오시리스신화: 죽음과 부활의 신화
한국의 ‘죽음과 부활의 신화’
이집트 고왕조의 구분과 특징
이집트 도시: 헬리오폴리스, 헤르모폴리스, 멤피스, 테베
이집트 만신전
이집트의 오시리스 신화
이집트 오시리스신화의 의의와 가치
제3강 수메르 엔키신화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수메르
수메르신화와 엔키
엔키신화의 실상
엔키신의 신화적 의미와 신화사적 위상
제4강 저승여행을 다녀 온 여신, 이난나
메소포타미아의 여신 이난나
사라진 여신을 찾아서
이난나와 관련된 신화 판본
이난나의 저승 여행
이난나신화의 확장과 변화
제5강 길가메시 이야기: 죽음과 허무를 이기는 도시문명
수메르신화와 <길가메시 이야기>
<길가메시 이야기>12개의 토판
<길가메시 이야기>의 의미
제6강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바빌로니아의 <에누마 엘리쉬>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역사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특징
바빌로니아 창세신화 <에누마 엘리쉬>
<에누마 엘리쉬>의 설화적 성격
제7강 페르시아신화 <쿠쉬나메> 서사시
이란의 프로파일-타임라인
페르시아 문화와 <쿠쉬나메>
제8강 삶과 죽음, 여신의 두 얼굴
‘봄의 제전’과 신화
대지의 생명력과 신성혼
대지의 여신 데메테르신화
달과 여신
물과 여신
이난나 혹은 이슈타르
아름다움과 생명의 여신, 비너스의 탄생
달의 삼위일체
여신의 양면성: 이슈타르와 에레슈키갈
‘일곱 개의 베일의 춤’
아프로디테와 페르세포네, 그리고 아도니스 숭배
여신의 양면성: 이집트와 인도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아주 오래된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자료, 그것은 아마도 중동신화와 서사시가 아닌가 합니다. 중동신화와 서사시에 대해서는 일반인들은 잘 모르고, 설사 아시는 분들도 대부분 피상적으로밖에 알지 못하고 있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_1강 ‘중동신화의 요체: 신화·서사시를 보는 시각’ 중에서
신화에는 여러 종류가 있죠. 세상이 어떻게 생겨났는지를 알려주는 창세신화가 가장 오래되었을 거라고 이야기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게 성경의 <창세기>로, 신화학자들이 보기에는 그것도 신화입니다. 창세신화의 다음 단계는 사람들이 무엇을 먹고 사나, 어떤 옷을 입나, 불은 어떻게 생겨난 것인가 등 인간의 문화를 설명하는 문화기원신화 혹은 문화영웅신화입니다. 세 번째로 인류가 잉여산물을 축적하게 되면서 권력의 집중화가 이루어지고 영토를 확장하면서 국가를 세우는 과정을 보여주는 건국신화가 등장합니다. 이 세 번째 단계가 신화로서는 거의 마지막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_2강 ‘이집트 오시리스신화: 죽음과 부활의 신화’ 중에서
수메르신화가 다양하고 분량도 굉장히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이난나신화>와 함께 <길가메시 이야기>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사람들에게 흥미를 주고 있습니다. 지금 읽어도 이런 이야기가 다 있었구나, 거듭 감탄하게 하는 훌륭한 신화입니다. 한편으로 어떤 사람들은 이것이 신화인가 의구심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길가메시 이야기>는 여러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저는 죽음과 대면하는 인간의 이야기, 그리고 죽음 앞에 섰을 때 자신이 누구인지, 어떻게 살아야 했는지 되돌아보는 이야기라는 점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_5강 ‘길가메시 이야기: 죽음과 허무를 이기는 도시문명’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