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상어가 빛날 때

상어가 빛날 때

(푸른 행성의 수면 아래에서 만난 경이로운 지적 발견의 세계)

율리아 슈네처 (지은이), 오공훈 (옮긴이)
푸른숲
18,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650원 -10% 0원
920원
15,730원 >
16,65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665원
14,985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720원 -10% 780원 13,360원 >

책 이미지

상어가 빛날 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상어가 빛날 때 (푸른 행성의 수면 아래에서 만난 경이로운 지적 발견의 세계)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해양생물
· ISBN : 9791156754404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3-11-08

책 소개

스스로 빛나는 상어와 영원히 죽지 않는 해파리, 그리고 자신의 이름을 짓는 돌고래까지. 세계적인 여성 해양생물학자 율리아 슈네처가 바닷속에서 발견한 경이로운 생물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10개의 장에 걸쳐 각각의 주요 해양생물에 관한 최신 연구 주제를 흥미롭게 풀어나간다.

목차

들어가는 말

1 수수께끼로 가득 찬 바다: 해양생물학
2 상어가 빛날 때: 형광 단백질
3 대단히 오래된 피조물: 노화
4 돌고래의 언어: 소통
5 플라스틱 행성: 오염
6 카페의 상어: 발견
7 심해 구름: 생태계의 기원
8 해양 곤충의 세계: 유전
9 물고기의 눈: 인지와 착시
10 바이러스의 모든 것: 진화

나오는 말
참고 문헌

저자소개

율리아 슈네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5년 뮌헨에서 태어났다. 독일에서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드문 심해 생물을 연구하는 여성 과학자다. 퀼른에서 생물학을 전공했고, 캘리포니아대학교와 스미소니언 열대 연구소에서 연구 활동을 했다. 브레멘에 위치한 야콥스대학교와 플라스틱에 의한 해양 오염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막스 플랑크 연구소에서 해양 미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7년부터 220년까지 독일 해양 연구 컨소시엄에 참여해, 국제 순회 전시회에서 과학 코디네이터를 역임했다. 현재 바다에서 미생물 및 육안으로 보이는 유기체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오공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를 졸업했다. 문화 평론가와 출판사 외서 기획자를 거쳐 현재는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상어가 빛날 때』, 『머리를 비우는 뇌과학』, 『뇌는 탄력적이다』, 『정상과 비정상의 과학』, 『손의 비밀』, 『어디서나 가장 강한 여성은 바로 당신이다』, 『기독교 콘서트』, 『내 안의 그림자 아이』, 『보헤미아의 우편배달부』, 『여름으로 가는 문』, 『한평생』, 『포퓰리즘의 세계화』, 『아돌프 로스의 건축예술』, 『센세이션』, 『현실주의자의 심리학 산책』, 『별빛부터 이슬까지』, 『내 안의 돼지개 길들이기』, 『과학편집광의 비밀 서재』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는 물속에서 숨을 쉴 수 없기 때문에 아무리 최신 기술을 활용하더라도 아주 잠깐 동안만 심해 세계에 몸을 담글 수 있다. 빛은 물기둥의 상단 200미터까지만 침투할 수 있다. 그 아래로는 빛이 통과할 수 없어 온통 암흑이다. 게다가 수심 1미터마다 압력이 약 0.1바bar씩 증가한다. 전 세계 바다에서 수심이 약 1만 1000미터로 가장 깊은 마리아나해구의 압력은 1100바에 달한다. 이는 성인 코끼리 두 마리가 인간의 새끼발가락에 올라갔을 때의 압력과 같다. 그러므로 최첨단 기술 장비 없이 심해로 들어가면 사람은 말 그대로 ‘평평하게’ 될 것이다. _1. 수수께끼로 가득 찬 바다: 해양생물학


한편 분광광도계가 장착된 현미경으로 이들 상어의 눈을 관찰했을 때 상어의 눈에서 색소를 발견했다. 이 색소는 440~540나노미터 범위의 광파를 흡수한다. 이 말은 상어가 이 범위에 속하는 파장의 빛을 볼 수 있다는 뜻이다. 그리고 이는 상어의 살갗의 빛이 청색 형광에서 녹색 형광으로 바뀌는 파장 범위와 정확히 일치한다. 상어는 망막에 있는 간상세포로 빛을 아주 잘 감지하고 빛이 열악한 상황에 완벽하게 적응한다. 하지만 상어의 눈에는 간상세포만 있다. 이는 결과적으
로 상어가 색맹이라는 뜻이다. 그럼에도 상어는 이 색소 덕분에 녹색 형광빛을 볼 수 있다. _2. 상어가 빛날 때: 형광단백질


차가운 물, 느린 신진대사, 깊은 수면은 오래 살아남기 위한 필수 조건인 듯하다. 아주 천천히 그리고 차갑게 늙어가는 것은 다소 지루하고 불쾌하게 들리기도 한다. 아주 조그마한 해파리인 홍해파리Immortal jellyfish, Turritopsis dohrnii는 그렇게 살고 싶은 마음이 없다. 홍해파리는 이탈리아와 마요르카섬을 둘러싼 따뜻한 지중해에 살고 있는데, 이곳은 독일인도 아주 편안하게 여기는 곳이다. 홍해파리는 “죽음 따위는 완전히 과대평가되었어!”라고 외치는 듯한 특별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이 메커니즘은 홍해파리를 영원히 늙지 않게 할 뿐 아니라 죽음을 튕겨 버리고 생물학적인 불사불멸을 누리게 만든다. _3. 대단히 오래된 피조물: 노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