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식품영양학/조리
· ISBN : 9791156925231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22-02-25
책 소개
목차
1장 식품위생의 개념
1.1 식품위생의 정의
1.2 식품의 위해요인
1.3 식중독의 분류 및 발생현황
1.4 식중독의 역학조사
1.5 식중독지수
1.6 식품의 안전성 평가
1.7 식품위생행정
2장 식품과 미생물
2.1 식품위생관련 미생물의 종류
2.2 미생물의 증식
2.3 미생물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2.4 미생물에 의한 식품의 오염
2.5 식품의 오염지표미생물
2.6 소독과 살균
3장 식품의 변질과 부패
3.1 식품의 변질
3.2 미생물 오염과 부패현상
3.3 부패미생물 번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3.4 식품군별 부패미생물
4장 세균성 식중독
4.1 식중독의 분류
4.2 식중독 발생시 관리대책
4.3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
4.4 감염형 식중독
4.5 독소형 식중독
4.6 감염독소형 식중독
4.7 기타 세균성 식중독
4.8 바이러스 식중독
4.9 감염병과 식중독
4.10 식중독 예방법
5장 자연성 식중독
5.1 식물성 자연독 식중독
5.2 동물성 자연독 식중독
6장 곰팡이독
6.1 곰팡이독(mycotoxin)
6.2 누룩곰팡이(Aspergillus)속이 생산하는 독소
6.3 푸른곰팡이(Penicillium)속이 생산하는 독소
6.4 맥각(麥角) 중독
6.5 붉은곰팡이(Fusarium)속이 생산하는 독소
6.6 기타 곰팡이독소
7장 화학적 식중독
7.1 잔류농약
7.2 항생물질 및 합성항균제
7.3 중금속
7.4 유해성 식품첨가물
7.5 기구, 용기, 포장재에서 용출되는 유독성분
7.6 식품제조, 조리 및 물소독 과정에서 혼입되는 유독성분
7.7 환경호르몬
8장 식품과 감염병
8.1 감염병의 분류
8.2 경구감염병
8.3 인수공통감염병
9장 기생충과 위생동물
9.1 개 요
9.2 채소류가 매개하는 기생충
9.3 어패류가 매개하는 기생충
9.4 육류가 매개하는 기생충
9.5 기생충증 감염의 일반적인 예방원칙
9.6 위생동물과 해충
10장 식품첨가물
10.1 식품첨가물의 정의와 지정
10.2 식품첨가물의 안전성
10.3 식품첨가물의 사용기준
10.4 사용 목적에 따른 식품첨가물의 종류
10.5 용도에 따른 식품첨가물의 종류와 특징
11장 HACCP 제도
11.1 HACCP이란?
11.2 HACCP의 특징
11.3 HACCP의 역사
11.4 HACCP 적용의 필요성
11.5 HACCP 도입에 따른 기대효과
11.6 HACCP 인증제도
11.7 일반위생관리기준
11.8 HACCP 도입절차
11.9 단체급식에서의 HACCP 적용
12장 단체급식 및 식품영업의 위생관리대책
12.1 시설 및 설비의 구비조건
12.2 식품취급자의 개인위생 및 위생교육
12.3 구매 및 검수단계의 위생관리
12.4 식재료 및 식품 보관시의 위생관리
12.5 세척, 소독, 해동 등 전처리 단계의 위생관리
12.6 조리단계의 위생관리
12.7 조리 후 배식단계까지의 위생관리
12.8 세척, 청소 등 후처리 단계의 위생관리
13장 식품위생검사
13.1 식품위생검사 개론
13.2 식품의 미생물검사
13.3 식품의 물리적・이화학적 검사
13.4 식품의 독성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