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세계패권과 국제질서
· ISBN : 9791157061686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19-08-26
책 소개
목차
해제: 동아시아 패권전쟁사를 통해 한국의 생존 전략을 모색하다
머리말
들어가며
1부 전후: 변화의 조짐
1장 중국, 빨간색이거나 초록색이거나
2부 1970년대: 관계의 재정립
2장 일본에 맞서기
3장 울퉁불퉁한 다섯 개의 섬
3부 1980년대: 적과 친구 사이
4장 황금기
5장 일본의 거부
4부 1990년대: 갈등의 증폭
6장 아시아적 가치
7장 사과와 불만족
5부 21세기: 동아시아 패권의 향방은?
8장 야스쿠니 참배
9장 역사의 가마솥
10장 ‘암포安保 마피아’
11장 강대국들의 흥망성쇠
12장 중국이 법칙을 정하다
13장 국유화
14장 신화 창조
15장 빙점
나가며
감사의 말
미주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불행하게도 역사의 인질로 잡혀 있는 동아시아가 반목과 대립을 극복하고 평화의 길로 가는 길은 요원해 보인다. 사실 중국이나 일본 모두 근대화·세계화 과정을 거치면서 과거사와 민족주의 문제는 청산된 것으로 보았다. 전후 일본은 과거사에 대해 중국과 한국에게 충분히 사과했다고 믿었고 사과를 받은 양국 또한 경제적 지원을 얻기 위해 이를 표면적으로 받아들였다. 게다가 일본은 히로시마, 나가사키 원폭 피해를 내세워 ‘피해자’ 이미지를 부각시키려고 노력해왔다. 그러나 저자는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적나라하게 밝히고 있다. 청일전쟁과 일본의 대만 점유, 만주사변과 일본 군국주의의 잔재, 중일전쟁과 난징대학살, 그리고 태평양전쟁 중에 벌어진 일본의 비인도적 만행 등을 중국의 지도자들과 인민들이 집단기억을 통해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지금까지 아시아 국가들이 평화와 번영을 누린 것은 미국의 패권적 지도력 때문이라고 본다. 특히 미 해군이 이 지역의 해상통로 안전을 담보하면서 평화와 번영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미래에는 강한 의구심을 제기한다. 중국의 부상에 대한 우려, 일본의 재무장과 군국주의 정서 부활 등이 미국의 패권적 리더십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뿐만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이 전개하고 있는 일련의 ‘아메리카 퍼스트’ 식의 고립주의 정책이 ‘팍스 아메리카나’의 쇠퇴를 재촉하고 ‘팍스 시니카’라는 중국 중심의 질서 출현을 가속화할 수도 있다는 우려를 표명한다. 단순히 국력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 지도자의 자질이 국제사회와 동아시아 패권의 향방을 좌우할 수 있다는 점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는 현재 아시아가 직면하고 있는 세력의 전환기적 불확실성에 대한 냉철한 진단이다. 이처럼 이 책은 흠잡을 데 없이 탁월한 동아시아 국제 관계의 현장 르포이자 외교사 문헌이다.
미국은 중국을 겨냥해 총을 겨누고 있다. 중국은 일본과 미국을 동시에 위협한다. 잘 드러나지는 않지만, 일본은 미국을 위협하는 것으로 이 삼각 구도를 완성한다. 일본이 미국을 저버리거나 미일 동맹을 격하한다면, 중국과 충돌할 때와 마찬가지로 전후체제는 뒤집힐 것이다. 이 삼각 치킨게임에서는 누군가 무기를 발사하는 순간 모두가 전쟁에 휘말리게 된다. 아시아 미래의 열쇠를 중국이 쥐고 있듯이 중국의 열쇠를 일본이, 일본의 열쇠를 미국이 쥐고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