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57070312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4-12-20
책 소개
목차
1. 의주 소년 일본으로 떠나다
도쿄에 유학하다
일본의 한국 유학생 단체들
우리나라 역사에 눈뜨다
2. 조선광문회와 상동청년회
민족교육의 현장으로
상동청년회 토요강습소에서 강연하다
신민회 회원으로 활약하다
3. 상하이 망명
두 번째 일본 유학과 상하이행
독립운동가들을 만나다
동제사와 박달학원
중국에서 귀국하다
4. 3·1운동을 통해 일제에 항거하다
3·1운동의 발발
「애원서」를 낭독하다
5. 역사가로 첫발을 내딛다
이순신을 부활시키다
『신민공론』 동인과 단연동맹회 활동
애국청년들을 양성하다
6. 사회경제사관을 통한 한국사 해석
사회주의사상에 공명하다
신채호 민중사관과 이광수 민족개조론
세 번째 일본 유학
민중들을 위한 쉬운 글쓰기
7. 고려사에 숨결을 불어넣다
『고려개사』를 저술하다
『고려개사』의 사학사적 의미
고려사 및 한국사 강연
8. 신간회 활동과 물산장려운동
신간회 창립총회
물산장려운동을 이끌다
물산장려운동의 갈등과 변화
9. 대종교 관련 활동
민족의 뿌리를 일깨우다
김교헌과 조선광문회
대종교 잡지 『한빛』 간행
10. 신문사 생활
중외일보사 기자
조선일보사 시절
대조선정신의 회복을 주창하다
11. 조선심과 문화사에 주목하다
조선심의 대표자 세종대왕
후기 문화사학자 문일평
민족문화의 특수성과 세계 문화
라디오 한국사 강의
12. 마지막 조선일보사 시절
조선일보사에 편집고문으로
느린 글쓰기와 완고한 성품
가난 속에서 쓴 유머 소설
13. 실리·실용주의의 주창자
과학적 태도와 문화보존의식을 강조하다
유·불의 구문화에서 과학적 신문화로
실리외교에 초점을 맞춘 「대미관계오십년사」
조선인의 허례를 비판
조선문기사정리기성회·경보유지회 활동
14. 학회 활동과 역사 연구
진단학회 발기인
역사 서술의 과학화를 주장하다
성실한 인품을 지닌 뛰어난 역사가
15. 조선학운동
다산 정약용 기념 사설을 집필하다
조선이 낙오하게 된 두 가지 원인
『여유당전서』 출판 기념회
16. 갑작스러운 죽음과 추모
사망 원인과 장례식
유고집의 간행과 독립유공자 수훈
에필로그
문일평의 삶과 자취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