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88949949130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20-11-0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조선후기 성리학 이념과 실학의 제 문제 | 정구복
Ⅰ. 머리말
Ⅱ. 조선후기 성리학 이념 사회의 성격
Ⅲ. 실학의 제 문제
Ⅳ. 글을 맺으면서
<반계수록> <고설>을 통해 본 유형원의 실학적 경세사관 | 박인호
Ⅰ. 머리말
Ⅱ. 유형원의 역사관에 관련된 자료 검토
조선후기 성리학 이념과 실학의 제 문제 | 정구복
Ⅰ. 머리말
Ⅱ. 조선후기 성리학 이념 사회의 성격
Ⅲ. 실학의 제 문제
Ⅳ. 글을 맺으면서
<반계수록> <고설>을 통해 본 유형원의 실학적 경세사관 | 박인호
Ⅰ. 머리말
Ⅱ. 유형원의 역사관에 관련된 자료 검토
Ⅲ. <고설>에 나타난 실학적 경세사관
Ⅳ. 맺음말 - 사학사적인 의의
하곡 정제두의 현실 인식 | 이남옥
Ⅰ. 머리말
Ⅱ. 현실적 대청 인식
Ⅲ. 서인 - 소론계 경향의 정치 현실 인식
Ⅳ. 맺음말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역사 만들기 | 김문식
- 이맹휴(李孟休) 저작의 소개와 활용 -
Ⅰ. 머리말
Ⅱ. 이맹휴에 대한 기대와 실망
Ⅲ. 이맹휴 저작의 소개
Ⅳ. 이맹휴 저작의 활용
Ⅴ. 맺음말
서명응의 역사학과 역사비평 | 김남일
- <자치통감강목삼편>의 편찬배경과 정통론의 시대적 의미 -
Ⅰ. 머리말
Ⅱ. 조선후기 역사 현안 - 중국 측 역사기록 개정 노력
Ⅲ. 서명응의 <강목삼편> 편찬과 정통론
Ⅳ. 정통론의 시각에서 본 조선중화주의
Ⅴ. 맺음말
정약용의 역사의식과 개혁사상 | 조성을
Ⅰ. 서언
Ⅱ. 역사관과 개혁사상
Ⅲ. 역대 제도의 인식과 개혁사상
Ⅳ. 결어
연암 박지원의 세계관에 나타난 역사의식 | 김인규
- <열하일기>를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박지원의 세계관
Ⅲ. 박지원의 역사의식
Ⅳ. 맺음말
「뇌뢰낙락서」를 통해 본 이덕무의 역사인식 | 손혜리
Ⅰ. 머리말
Ⅱ. 명청 교체와 명 유민에 대한 기록
Ⅲ. 대청인식과 변화의 추이
Ⅳ. 맺음말
박제가(朴齊家)의 세계관과 역사관 | 박성순
Ⅰ. 머리말
Ⅱ. 중화주의적 세계관의 내용 변화
Ⅲ. 새로운 역사를 위한 도전과 좌절
Ⅳ. 맺음말
서유구의 학문세계와 학문자세, 그리고 실사구시 | 정수환
- <임원경제지> 「본리지」를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실사(實事)’와 전거, 지식 구분
Ⅲ. ‘구시(求是)’와 안설(按說), 경험의 지식
Ⅳ. 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