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57074129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0-10-21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고종시대를 어떻게 볼 것인가
화려하게 호명된 두 인물
유약하고 어리석은 군주
망국의 군주, 개혁군주의 이중성
1. 고종이 구상한 국가
유년시절과 국왕 즉위
잠저에서의 소양교육과 갑작스러운 즉위
역사서를 좋아했던 고종
고종의 롤모델, 동치제와 정조
수양의 길, 성군의 길
선의의 경쟁관계, 동치제
통치의 모범, 정조
동·서양 문명의 이상적 절충
친정체제를 구축하다
새롭게 눈뜨기 시작한 국제정세
동·서양 문명의 이상적 절충을 도모하다
2. 고종의 인재 발탁과 경영
집권 초기, 순수무인 세력과 민씨척족
순수무인 세력의 등장과 활용
권력기반의 배후세력, 민씨척족
집권 중기, 개화파와의 제휴와 민씨척족
개화파와의 제휴
개화자강 정책의 실무 세력, 민씨척족
집권 후기, 근왕세력의 발탁과 민씨척족
근왕세력의 발탁과 갈등
고락을 함께한 운명공동체, 민씨척족
고종의 인사정책과 불안정한 리더십
3. 내아문 중심의 국정 운영 방식
내아문 체제를 통한 국정 운영
내아문 1기, 통리기무아문 시기
내아문 2기, 통리군국사무아문 시기
내아문 3기, 내무부 시기
내아문과 의정부의 역할 구분
이중적 행정체제에 따른 결과와 영향
의정부와 내아문의 혼란 속 공조관계
원세개의 전횡과 내아문의 위축
4. 왕권 약화 위기에 따른 대응 방식
임오군란기, 인내와 참회
대원군에게 온 두 번째 기회
국정 수습보다 시급했던 왕후의 안위
대원군의 오만과 돌이킬 수 없는 실수
고종의 인내와 참회
갑신정변기, 방관과 회피
정변으로 가는 길
긴박했던 3일간의 행로
고종의 방관과 회피
갑오개혁기, 관망과 반격
안일한 현실 인식과 농민항쟁의 확산
왕권 위기와 대원군에게 온 세 번째 기회
군주권 수호를 위한 반격
대한제국기, 개혁과 저항
광무개혁의 장으로 나아가다
러일전쟁의 위기와 소극적 대응
침묵의 저항과 리더십의 약화
글을 맺으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