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묘

신묘

(한국 차 전통 제다·수양 다도의 핵심 원리)

최성민 (지은이)
책과나무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묘 (한국 차 전통 제다·수양 다도의 핵심 원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57769858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20-12-30

책 소개

20년 동안의 생생한 야생다원 현장 제다체험과 연구를 통해 선현들이 남겨준 한국 전통 녹차와 수양다도의 우수성을 발굴하여 엮은 것이다. 한국 전통 녹차와 차문화가 쇠퇴 상황에 처하게 된 원인에 대한 분석과 신랄한 비판 및 다산이 ‘다산차병’ 제다원리와 실제’ 등 창의적 대안이 실려있다.

목차

|서문| 선현들이 제다와 다도를 ‘신묘(神妙)’로써 연결해 놓은 까닭은

Ⅰ 한국 차 제다론

1. 한국 차 제다의 문제 진단과 제언
1) 제다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과 한국 차의 위기 상황
2) ‘초의차’ 환타지(fantasy)와 한국 전통 제다의 혼란
3) 옛 차 복원 “코끼리 만지기”라는 무지 또는 현혹
4) ‘구증구포’의 망상·‘차 명인’ 제도의 오지랖

2. 한국 차 제다의 철학·과학적 맥락
1) 차의 3대 요소·3대 성분, 한국 차 제다의 방향
2) 한국 차 제다와 다도의 각별한 관계

3. 한국 차 제다의 자취와 선현의 가르침
1) 제다의 원리와 한국 제다사
2) 한국 차 제다의 첫걸음 생배법(生焙法), 「부풍향차보」의 사료적 가치
3) 이덕리의 한국 차에 대한 긍지와 『동다기』의 증배법(蒸焙法)
4) 다산의 차론(茶論)과 ‘다산차병(茶山茶餠)’ 제다의 한국 차문화사적 의의
5) 『동다송』의 ‘다도(茶道)’ 규정과 ‘초의 제다’의 철학적 의미
6) 산절로야생다원 전통 제다·다도 복원 운동

Ⅱ 한국 차 제다와 다도의 관계

1. 신묘(神妙), 한국 차 제다와 다도의 핵심 원리
2. 한국 차 제다에 담아야 할 다신(茶神)의 수양원리
1) 향기(香氣), 차향의 수양론적 이해
2) 기색(氣色), 차색의 수양론적 이해
3) 기미(氣味), 차맛의 수양론적 이해

Ⅲ 한국 다도 수양론

1. 한국 차계의 다도(茶道) 이해 혼란과 다도의 수양론적 의미
2. 동양사상(道·儒·佛)의 도(道)와 다도(茶道)
3. 기론(氣論), 동양 사상 수양론의 현철(賢哲)한 기반
4. 명상(冥想)과 다도, 다도 명상(茶道 冥想)
5. 한국 다도 수양론 탐구
1) 한국 다도의 수양론적 연원과 전개
2) 『다부(茶賦)』의 ‘경지의 다도’
3) 『동다송(東茶頌)』의 ‘과정(행위)의 다도’
4) 한국 ‘수양다도’의 완성과 생활화
5) 한국 수양다도와 일본 다도의 수양론

|참고 문헌|

저자소개

최성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교육학). 성균관대대학원 동양철학과(한국철학 전공) 철학박사. 성균관대유학대학원 예절·다도학전공과정 초빙교수(현). 한겨레신문 창간발의인(1/50). 문화부기자, 여론매체부장, 논설위원 등 역임. 2003년 전통차문화 복원운동용 산절로야생다원 조성. 2018년 사)남도정통제다·다도보존연구소 설립. 2019년 일반인 차생활(제다/다도) 보급 프로그램 <힐링곡성 야생차포레스트> 개발, ‘야생차 제다/차와 수양/수양다도 음악’ 강좌 운영. 2023년 문화재청 지원 ‘전승공동체 활성화 지원사업’(<다산의 다정 다감>) 수행(연구보고서 『녹차, 다산에게 묻다』 출간). 한국 차(학)계의 차문화 왜곡, 차상업지상주의에 맞서 현장 학술연구와 실습 위주로 차문화 본질 탐구에 매진함. 2018년부터 서울자유시민대학, 종로구평생학습원, 관악문화원도서관 등지에서 ‘차와 수양’, ‘나를 찾는 한 잔의 차’, ‘장자의 찻잔’ 등 강의.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지원으로 강진, 장흥, 해남 등지에서 ‘남도 차문화와 마음공부법’ 강의.
펼치기

책속에서

최근 우리 녹차 가운데 커피와 보이차의 강하고 특색 있는 향을 제압할 만한 차향을 내는 녹차를 찾아보기 어렵다. 달리 말하자면 녹차의 향이 갖는 특색은 강한 자극성이 아니라 은은한 자연성이다. 선대 차인들의 단편적인 차시나 『다부(茶賦)』와 같은 본격 다도론적 차시에서는 차향을 말하되 말초적 오감을 자극하는 기호(嗜好) 요소로서가 아니라 한결같이 우주의 정기를 전해주는 ‘다신(茶神)’으로서 의미부여하고 있다. 즉 향(香)을 기준으로 구별하자면 커피와 보이차류의 정체성은 기호음료수이고 녹차의 정체성은 ‘수양의 매질(媒質)’이라고 할 수 있다.


차에는 카테킨, 테아닌, 카페인, 향기성분, 비타민, 당류 등 다양한 성분이 있지만 차계와 학계에서는 차의 3대 성분으로 카테킨(티폴리페놀)·테아닌(아미노산)·카페인을 꼽는다. 따라서 제다 과정에서 이 3대 성분을 어느 정도 어떤 양상으로 보전 또는 변화시키느냐가 제다의 관건이자 완제된 차의 종류를 가름하는 기준이 된다.
차의 3대 성분 중 카테킨(티폴리페놀)은 건강증진·면역력강화·노화방지 등의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티폴리페놀은 산화력이 강해서 몸 안의 활성산소를 제거해 주는 항산화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즉 차를 ‘건강음료’이게 하는 성분이 티폴리페놀, 곧 카테킨이다.


이덕리는 당시 사원의 증배법 제다를 일반 대중에게 가르쳐 다산이나 초의보다 먼저 산차 제다로써 국부를 창출할 규모의 차생산 체제 수립안을 마련하였다. 이후에 다산이 1830년 강진 제자 이시헌에게 보낸 편지에서 ‘차떡’ 제다와 관련하여 ‘삼증삼쇄(三蒸三?)’를 지시한 것도 이덕리가 소개한 이 ‘증배법’과 같은 제다법적 맥락에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