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출근길 부자 수업 : 트렌드 편

출근길 부자 수업 : 트렌드 편

백상경제연구원, 김연하, 김정곤, 노희영, 민병권, 성필규, 이연선, 이혜진, 정영현 (지은이)
한빛비즈
18,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920원 -10% 0원
940원
15,980원 >
16,920원 -10% 3,000원
카드할인 10%
1,692원
18,228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160원 -10% 650원 11,190원 >

책 이미지

출근길 부자 수업 : 트렌드 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출근길 부자 수업 : 트렌드 편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57844616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20-11-30

책 소개

《출근길 부자 수업》 시리즈 첫 번째의 책의 주제는 ‘트렌드’다. 자본과 경제의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숲 밖에서 지도를 펼쳐야 한다. 흐름을 읽어야 한다. 누가 돈을 움직이는지, 그 돈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그 돈이 어디로 흐르고 있는지 큰 그림을 봐야 한다.

목차

프롤로그│내 인생의 머니플랜, 지도를 펼쳐라

PART1│라이프스타일이 바뀐다
제1강 언택트 사회
월요일 | 사무실 근무는 옛말: 원격근무 시대
화요일 | 치료도 집에서: 원격의료
수요일 | 학생이 사라진 교실: 원격교육
목요일 | 아직도 마트에 가세요? 온라인쇼핑
금요일 | 사람이 없다, 무인의 일상화

제2강 이동의 새바람, 비히클 4.0
월요일 | 자율주행 전성시대
화요일 | 교통체증이여, 안녕: 도심항공택시 UAM
수요일 | 씽씽이의 이동혁명: 마이크로모빌리티
목요일 | 서울에서 부산까지 10분, 진공열차 캡슐트레인
금요일 | 사람이 없다, 무인의 일상화

제3강 가상과 현실의 경계가 사라진다, 사이버퓨전
월요일 | 실제보다 생생하다: 가상-증강현실 쇼크
화요일 | 촉각의 신세계: 초감각을 여는 햅틱기술
수요일 | 생각으로 움직인다; 텔레파시 혁명
목요일 | 인공지능이 질병을 막는다: 스마트 헬스케어
금요일 | 아바타 경제를 부른다: 언택트 빅뱅

제4강 오래된 미래: 공유경제
월요일 | 구닥다리 경제 모형의 부활
화요일 | 공유, 어디까지 가능할까
수요일 | 소유에서 경험으로, 오너십에서 멤버십으로
목요일 | 코로나 시대의 공유경제
금요일 | 공유경제의 지속가능한 미래

PART2│경제구조가 바뀐다
제5강 기본소득인가, 보편복지인가
월요일 | 소득의 역사, 다시 변곡점
화요일 | 달콤한 복지의 꿈에서 깨다
수요일 | 뜨거운 기본소득 실험실
목요일 | 디지털 경제의 도래
금요일 | 기본소득 계산서는 누구 몫인가

제6강 경제성장률을 견인할 다크호스, AI
월요일 | 왜 지금 AI인가?
화요일 | 생산성을 높이는 알고리즘
수요일 | 알고리즘의 차이가 AI의 차이
목요일 | 그래서, 인공지능이 돈을 벌 수 있나요?
금요일 | AI, 산업지도를 새로 그리다

제7강 비트코인에서 혁명의 기술로, 블록체인의 도전
월요일 | 탈중앙화 솔루션, 블록체인
화요일 | 토큰이코노미, 찬성 혹은 반대
수요일 | 가상자산 투자 전에 알아야 할 팁
목요일 | 생활에서의 블록체인 활용
금요일 | 비대면 시대와 블록체인의 가능성

PART3│세계경제가 바뀐다
제8강 불확실성의 시대, 경제를 움직이는 요소
월요일 | 돈의 흐름을 알려주는 금리
화요일 | 마이너스 금리의 서막
수요일 | 달러가 지배하는 세상
목요일 | 실물자산으로 보는 경기
금요일 | 투기와 광기의 역사

제9강 에너지 독립국의 패권
월요일 | 일곱 자매의 시대: 제1, 2차 세계대전~1969년
화요일 | OPEC의 시대와 두 차례의 오일쇼크: 1970~1980년대 초
수요일 | 시장 상품이 된 석유: 1980년대 중반~1999년
목요일 | 셰일혁명이 부른 변화: 1990년대~현재
금요일 | 석유와 에너지 패권의 미래: 2020년~

제10강 미중 관계의 역할: 패권의 역사
월요일 | 만리장성에 선 닉슨
화요일 | 덩샤오핑의 흑묘백묘론
수요일 | 실크로드의 영광을 꿈꾸는 중국
목요일 | 열광하는 Z세대, 분노한 트럼프
금요일 | 예정된 전쟁

PART4│한국경제가 바뀐다
제11강 길을 잃은 한국경제
월요일 | 식어가는 성장 엔진: 잠재성장률, 인구 쇼크
화요일 | 저성장보다 무서운 저물가
수요일 | 무너지는 경제 허리, 중산층
목요일 | 재정은 화수분인가
금요일 | 성장이 먼저냐, 복지가 먼저냐

제12강 포스트코로나, 생존의 법칙
월요일 | 수축사회의 도래
화요일 | 산업을 바꾸는 기술
수요일 | 신노동계급의 출현, 긱워커
목요일 | 미래 먹거리, 신 3대 산업에서 찾자
금요일 | 코로나19 이후 한국경제

저자소개

이연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경제신문 경제부, 금융부, 증권부, 건설부동산부 등 경제 분야를 주로 취재했다. 이화여대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자산관리경영학(MAM)을 공부했다. SEN TV, 블록체인 전문미디어 디센터 등 다양한 매체를 경험하고 현재 디지털편집부장으로 뉴노멀 시대의 신문이 나아갈 방향을 고민하고 있다. 저서로 《고령화쇼크(공저)》가 있다. 시티 대한민국 언론인상(금융부문 으뜸상/공동)을 수상하기도 했다.
펼치기
백상경제연구원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경제신문의 부설 연구기관으로 2002년 설립됐다. 종합적인 사고력과 창의력 향상을 위한 인문과학 융합교육이 주력사업이다. 기업 대상의 교육과 지역역량 강화를 위한 컨설팅 사업, NIE(신문활용교육) 사업 등을 펼치고 있다. 『교실밖 인문학 콘서트』는 백상경제연구원이 서울시교육청과 진행하고 있는 인문학 아카데미 ‘고인돌2.0(고전 인문학 돌아오다)’을 바탕으로 기획했다. 고인돌2.0은 2013년부터 지금까지 10만여 명의 중 고등학생과 시민이 수강한 인기 강연 프로그램으로, 서울시교육청 산하 공공도서관과 학교에서 성황리에 진행 중이다. www.beri.re.kr
펼치기
김연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경제신문 사회부 교육팀과 법조팀, 증권부, 성장기업부를 거치며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쌓았다. 중앙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여행이 삶의 낙인 여행덕후이지만, 코로나19로 발이 묶이면서 마음만이라도 여행을 떠나고자 현재는 국제부에서 근무하며 글로벌 뉴스를 전하고 있다. 스페인어를 독학하면서 남미 여행과 취재를 목표로 열공 중이다.
펼치기
김정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경제신문에 입사했다. 경제부 세종팀장, 시그널팀장, 논설위원, 탐사기획팀장을 거쳐 사회부장으로 근무 중이다. 사람과 세상 돌아가는 일에 관심이 많다. 팩트(fact)의 힘과 팩트보다 더 강력한 스토리의 힘을 믿는다.
펼치기
노희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경제신문 금융부, 증권부, 산업부, 부동산부 등 경제 관련 부서를 비롯해 사회부, 정치부를 거쳐 국제부에서 다양한 국제 뉴스를 다루고 있다. 고려대학교 독문과를 졸업하고 KDI국제정책대학원에서 MBA를 이수했다. 중국 푸단대에서 중국경제를, 미국 듀크대 방문학자로 남북대화와 한미관계를 연구했다. 세계 각국의 역학관계 변화 속 한국의 대응 방안과 코로나19가 가져올 ‘뉴노멀’에 관심이 많다.
펼치기
민병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경제신문 경제부, 정치부, 사회부, 산업부, 정보산업부, 바이오IT부, 금융부, 국제부, 부동산부 등을 거쳐 현재 사회부 교육취재팀장을 맡고 있다. 경제부 정책팀장, 정치부 국회취재팀 반장, 대선 취재팀장, 청와대 취재팀장을 맡았다. 한양대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경제와 정치, 산업, 금융, 과학기술, 교육 분야 등을 두루 섭렵한 경험을 살려 사회현상을 입체적으로 통찰하는 저널리스트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2012년 백상기자상 대상, 2015년 백상기자상 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성필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금융투자분석사, 국제재무위험분석사 -한국과학기술원 테크노경영대학원 금융공학 MBA -前 미래에셋대우 돈암동 지점장 저서: 《출근길 부자 수업(공저)》
펼치기
이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대 독문과를 졸업하고 서울경제신문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해 부동산, 금융부, 국제부 등을 거쳐 증권부에서 근무하고 있다. 새로운 변화의 단초와 여기서 비롯되는 재테크 기회 포착에 관심이 많다. 회사를 다니며 KDI국제정책대학원에서 자산운용경영학 석사, 런던 시티대학교에서 금융저널리즘 석사 과정을 마쳤다.
펼치기
정영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경제신문에 입사해 국제부, 증권부, 금융부, 정치부 등을 거쳐 현재 문화부에서 일하고 있다. 뛰어난 후배들 덕분에 시티 대한민국 언론인상 대상을 받았다. 운이 좋아 취재차 세계 곳곳을 돌아다녔다. 가장 기억에 남는 도시는 북미정상회담이 열렸던 싱가포르와 베트남 하노이다. 그곳에서 역사의 한 장면을 기록했지만 아쉬움은 크다. 그날 이후 항상 소망한다. ‘우리 가야 할 길 멀고 험해도 깨치고 나가는’ 역사의 다음 장이 펼쳐지기를.
펼치기

책속에서

코로나19는 콜드체인 등의 새로운 기술이 있는데도 온라인쇼핑을 꺼리던 이들까지 끌어들이는 계기가 됐다. 브릭미츠클릭에 따르면, 지난 3월 미국 내 약 4천만 가구(31%)가 온라인 식료품 배달이나 픽업서비스를 이용했는데, 이는 2019년 8월보다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이 기간 온라인으로 식료품을 구입한 사람의 28%는 코로나19 때문에 처음으로 온라인 식료품 주문을 했다고 응답했다. - 〈언택트 사회〉


한국의 캡슐트레인이 미국 하이퍼루프에 대해 갖는 혁신적 차별점은 진공튜브열차에 자기부상기술을 적용했다는 것이다. 핵심 기술인 초전도전자석 및 제어시스템, 선형동기 모터추진시스템 등도 개발에 성공했다. 특히 캡슐트레인의 엔진 역할을 할 초전도전자석은 냉동기 없이도 장시간 운영할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독보적인 수준의 장치다. 초전도전자석은 작은 전력으로 강한 힘을 낸다. 저소비 전력이나 초고속 활동이 필요한 발전기, 슈퍼컴퓨터, 초고속 자기부상열차에 사용된다. - 〈이동의 새바람, 비히클 4.0〉


보기에 따라서는 다소 끔찍해 보일 수 있는 브레인칩 뇌이식 기술을 왜 개발하는 것일까? 일론 머스크는 인간의 두뇌 능력을 향상시켜 AI와 공생하기 위해 BCI 기술이 필요하다는 신념을 갖고 있다. 그는 2019년 뉴럴링크의 기술을 소개하는 한 강연에서 “매우 온건한 시나리오에서조차 우리는 AI에 뒤처질 것”이라며 “(뇌와 컴퓨터 사이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입출력할 수 있는) 광대역 주파수의 BMI를 사용한다면 AI와 효율적으로 융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가상과 현실의 경계가 사라진다, 사이버퓨전〉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57844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