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일반문학론
· ISBN : 9791158483951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18-08-31
책 소개
목차
Ⅰ. 탈북트라우마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
1. 통일을 사유하는 인문학적 방식
(1) 인문학에 통일의 길을 묻다
(2) 통일인문학의 실천 과제: 소통·치유·통합의 패러다임
2. 탈북민을 위한 인문학적 ‘치유’
(1) 탈북민 현황과 문제
(2) 인문학적 관점의 탈북 트라우마
(3) 살아온 삶에 근거한 인문학적 치유 방법
3. 탈북민과 문학치료
(1) 문학치료란?
(2) 탈북민 대상 문학치료
Ⅱ. 자기서사진단도구와 탈북민 문학치료
1. 문학치료 진행 과정
(1) 기초서사영역의 구비설화를 활용한 자기서사진단도구
(2) 자기서사진단도구 기반의 문학치료 프로그램
2. 사례 1: 부모밀치기서사와 죄의식
(1) 가족 부양과 자아실현 사이에서 고민하는 탈북여성B
(2) 자녀서사에 대한 탈북여성B의 이해 방식
(3) 부모밀치기서사 성향과 실제 삶, 그리고 죄의식
(4) 죄의식에 대한 치유 문제
3. 사례 2: 탈북과 적응이 남긴 문제
(1) 적응에 성공했다는 탈북여성D
(2) 여전히 남겨진 탈북 과정에서의 공포와 울분
(3) 탈북민의 애환으로 전치된 부모에 대한 불만
(4) 부모와 자기 삶의 분리·독립을 위한 길
Ⅲ. ‘이주와 성공’의 고전서사와 탈북민 문학치료
1. 문학치료의 진행 과정
(1) 탈북민의 살아온 이야기와 닮은 고전의 영웅서사
(2) ‘이주와 성공’의 고전서사 기반의 문학치료 프로그램
2. 사례 3: 기존 공간과의 심리적 분리와 독립을 위하여
(1) 여전히 고향이 그리운 탈북여성E
(2) 낯선 공간에 대한 두려움과 막연한 조력자에 대한 기대
(3) 1차 창작물: 나를 데려온 엄마에 대한 기대
(4) 2차 창작물: 고향으로 회귀의 소망을 담아
3. 사례 4: (집단상담) 탈북이 끝나지 않은 사람들의 자아실현 문제
(1) ‘이주와 성공’의 고전서사를 활용한 문학치료 집단 상담
(2)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대한 탈북민의 반응과 문학치료 효과
①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대한 반응으로 본 탈북 트라우마
② ‘내 삶의 동아줄’에 대한 탈북민들의 생각과 문학치료 효과
(3) 이주와 성공의 고전서사와 자아실현의 문제
① 고전서사 감상 활동에서 드러난 탈북 트라우마
② 창작 활동을 통해 본 자아실현의 문제
Ⅳ. 탈북민들의 신화(神話)를 위하여
1. 탈북민들의 창작 활동
(1) 옛이야기를 활용한 동화 창작 활동
(2) 이주와 성공의 고전서사 재창작 활동
(3) ‘살아온 이야기’를 담은 창작 활동
2. 탈북민 문학치료의 성과와 과제
(1) 탈북민을 위한 문학치료의 성과와 기대효과
(2) 탈북 신화(神話)의 남은 과제들
∙【부록】 탈북민에게 제공된 고전서사 줄거리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