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주자학(성리학)
· ISBN : 9791158667207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3-11-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서언 선악을 생각하는 이유
1. 오늘날 선악을 생각하는 이유
2. 주희 선악론의 탐구 이유와 가능성
1장 선진유학의 선악 개념
1. 선악 개념의 출현
2. 공자:악은 선하지 않은 것[不善]이다
3. 맹자:악은 선으로부터 시작된다
4. 순자:이기심이 공동선을 만든다
2장 한당유학의 선악 개념
1. 동중서: 선은 아직 완전하지 않은 선[未善]을 완성하는 것이다
2. 양웅: 본성은 선이 될 수도 있고 악이 될 수도 있다
3. 한유: 선악은 타고난 본성의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
4. 이고:악은 본래 있던 것은 아니다[邪本無有]
3장 대립: 선악에 대한 주희의 문제의식
1. 대립의 두 양상: 상관대립과 모순대립
2. 대립의 실태: 악은 선보다 강하다
3. 대립의 해소: 통합적 이론을 향하여
4장 선의 근원: 리
1. 성즉리: 도덕형이상학의 건립
2. 성즉리의 의미
5장 선의 의미와 종류: 주희와 호남학파의 성선 논쟁
1. 논쟁의 배경
2. 호남학에서 ‘성선의 선’과 ‘선악의 선’
3. 주자학에서 ‘성선의 선’과 ‘선악의 선’
4. 주희와 호굉의 성선 해석 비교
6장 악의 근원: 기질
1. 악은 어디에서 오는가
2. 기질과 근본악
7장 선악 대립의 역설적 통합: 기질지성
1.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의 대립
2. 역설적 사유에 의한 통합
3. 기질지성의 재해석
8장 악의 위상: 악한 리도 있는가
1. 선악개천리: 악은 선으로부터 시작된다
2. 이유선악: 악한 리는 없다
9장 악의 의미와 존재 이유(리)
1. 악의 의미: 악은 선의 결핍이다
2. 악에도 존재 이유(리)가 있는가
10장 통합적 구도
1. 선진유학에서 한당유학에 이르는 선악 개념의 변화 양상
2. 구도의 통합: 이원론적 일원론
11장 아우구스티누스 선악론과의 비교
1. 이원론의 계보: 조로아스터교·마니교·기독교
2. 아우구스티누스의 이원론적 일원론
3. 주희와 아우구스티누스의 비교
결언 주희 선악론의 의미
1. 주희 철학의 현대적 의미를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2. 문제: 악으로부터 정의되는 현대 사회의 선
3. 노자의 해법: 선악을 잊어버리자
4. 주희의 해법:악은 선으로부터 정의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