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61261775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19-03-07
목차
제 1부 도덕교육 이론
제1장 교과교육으로서 도덕과 교육
제1절 도덕과 교육의 학문적 배경
1. 교과교육학의 의미와 조건
2. 도덕과 교육학의 의미와 구조
3. 도덕과 교육학의 학문적 근거
제2절 도덕과 교육학의 현실적 배경
1. 문화적 배경
2. 사회통합을 위한 이념적 배경
3. 세계화 속의 정체성
4. 통일된 민족공동체 건설
제3절 도덕교육 일반과 도덕과 교육
1. 도덕교육 일반과 도덕과 교육
2. 교과 교육과정으로서 도덕교육
3. 독립 교과로의 필요성과 미래 전망
제2장 도덕과 윤리 및 도덕성의 개념
제1절 도덕의 개념과 의미
1. 도덕의 개념
2. 도덕규범의 유형
제2절 도덕성의 개념
1. 도덕 판단과 합리적 추론 능력으로서 도덕성
2. 덕목과 규범의 내면화로서 도덕성
3. 죄책감의 형성으로서 도덕성
4. 인지 판단 능력으로서 도덕성
5. 통합적 도덕성
제3장 동양 윤리사상과 도덕교육
제1절 유학사상과 도덕교육
1. 유가, 유학, 유교
2. 기본 사상과 역사적 전개
3. 도덕교육적 관심
◆ 원전 산책: 유학(맹자, 순자, 주자)
제2절 불교사상과 도덕교육
1. 기본 성격
2. 사성제 팔정도
3. 도덕교육적 관심
◆ 원전 산책: 불교
제3절 도교사상과 도덕교육
1. 도교, 도가, 노장사상
2. 기본 사상과 역사적 전개
3. 도덕교육적 관심
◆ 원전 산책: 도가
제4장 서양 윤리사상과 도덕교육
제1절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와 도덕적 사고
1. 소크라테스와 도덕적 사고
2. 플라톤과 도덕적 사고
3. 아리스토텔레스와 도덕적 사고
◆ 원전 산책: 플라톤
제2절 윤리학적 사유와 윤리학의 주요 이론
1. 윤리학적 사고 유형
2. 윤리학의 주요 이론
◆ 원전 산책: 공리주의
◆ 원전 산책: 니체
제5장 현대 도덕교육 이론
제1절 뒤르껭의 도덕적 사회화 이론
제2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제3절 스키너의 행동주의와 반듀라의 사회학습 이론
제4절 매슬로우와 로저스의 인본주의 심리학
1. 실존주의의 현상학적 인간관
2. 매슬로우의 자아실현인
3. 로저스의 전인적 인간관
제5절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
제6절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론과 정의 공동체 접근
1. 도덕성 발달 이론
2. 정의 공동체 접근
제7절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윤리교육론
1.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의 성차와 도덕교육론
2. 나딩스의 배려윤리교육론
제8절 리코나의 통합적 인격교육론
1. 도덕성의 구성 요소
2. 도덕적 추론의 발달 단계
3. 통합적 도덕교육론
제9절 덕교육론
1. 덕 윤리학의 등장
2. 덕 윤리학의 행위윤리학에 대한 비판
3. 현대 덕 윤리학의 동향과 특징
4. 덕 윤리학과 도덕교육
5. 덕교육의 주요 특징
제10절 레스트의 도덕발달이론
제 2부 도덕교육 실제
제6장 도덕과 교육과정
제1절 도덕과 교육과정의 변천
1. 미군정기
2. 정부 수립 후
3. 제1차 교육과정기
4. 제2차 교육과정기
5. 제3차 교육과정기
6. 제4차 교육과정기
7. 제5차 교육과정기
8. 제6차 교육과정기
9. 제7차 교육과정기
10. 2007 개정 교육과정기
11. 2009(2012) 개정 교육과정기
제2절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1. 성격
2. 목표
3.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4. 교수 ․ 학습 및 평가의 방향
제7장 도덕과의 수업 설계와 수업 분석
제1절 최적의 수업 모형을 적용한 수업 설계
제2절 수업 설계의 시스템과 전체론적 시각
제3절 수업 설계 체크리스트
제4절 수업의 분석: 멘토링과 컨설팅
1. 수업 장학과 멘토링 및 컨설팅
2. 수업 멘토링/컨설팅의 절차와 수업 분석의 틀
제8장 도덕과 교수-학습 절차 및 방법
제1절 도덕과 교수-학습 절차
제2절 도덕과 교수-학습 모형
1. 6수업 과정 ․ 절차
2. 개념 분석 모형
3. 가치 갈등 모형
4. 가치 분석 모형
5. 합리적 의사결정 수업 모형
6. 도덕적 토론 수업 모형
7. 배려 모형
8. 도덕 이야기하기 모형
9. 경험학습 수업 모형
10. 역할 놀이 모형
11. 가치 명료화 모형
12. 집단탐구 수업 모형
제3절 에듀테인먼트와 ICT를 활용한 수업
1. 교육정보화 패러다임과 수업 개선
2. 에듀테인먼트 수업 설계
3. ICT 활용 수업
제4절 도덕과 교육 매체론
1. 매체 선정의 중요성
2. 효율적인 예화 제시 방법의 설계 원칙
제9장 도덕과 교육의 평가
제1절 도덕과 평가의 특징
1. 도덕과 평가의 문제점
2. 도덕과 평가의 방향과 준거
제2절 도덕과 수행 평가의 이론과 특징
1. 수행 평가의 이론적 기초
2. 수행 평가의 특징
제3절 도덕과 수행 평가 유형
1. 서술형 검사
2. 논술형 검사
3. 찬 · 반 토론법
4. 면접법
5. 관찰법
6. 연구 보고서법
7. 포트폴리오법
8. 자기 평가 및 동료 평가 보고서법
제10장 주제별 도덕교육
제1절 통일을 위한 평화 · 통일교육의 방향
1. 평화 · 통일교육의 개념 정의
2. 평화 · 통일교육의 의의
3. 도덕과 평화 · 통일교육의 방향
제2절 정보윤리교육
1. 정보의 중요성과 가치
2. 정보윤리교육의 중요성
3. 정보윤리교육의 목표와 방법
제3절 인권교육
1. 인권 사상의 이론적 발전
2. 인권 보장을 위한 국제적 노력
3. 인권교육의 단계와 목표: 인권적 감수성의 함양
제4절 정서교육
1. 정서 조절의 중요성
2. 정서 조절 이론
3. 정서교육의 방향
제5절 공감교육
1. 공감의 의미
2. 공감의 구성 요소
3. 공감교육의 프로그램
4. 공감능력 증진을 위한 일반 수업 모형
제6절 환경윤리교육
1. 환경문제의 중요성
2. 환경윤리이론
3. 환경윤리교육의 방향
제7절 다문화교육과 도덕교육
1. 도덕과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의 위상
2.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도덕과 교육
3. 다문화교육의 내용과 도덕과 교육
4. 다문화교육의 방법과 도덕과 교육
제8절 효의 교육적 의미
1. 효의 필요성
2. 원시유학에서 효의 특성과 지평
3. 유학사상과 교육목적으로서 효
4. 효의 가치는 여전히 유효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