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22 개정 교육과정과 초등 도덕과교육

2022 개정 교육과정과 초등 도덕과교육

이경원, 박병기, 김철호, 박영주, 김아영, 김완수, 강희원, 이혜진, 박의왕, 박상준 (지은이)
교육과학사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000원 -0% 0원
720원
23,280원 >
24,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400원
21,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22 개정 교육과정과 초등 도덕과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22 개정 교육과정과 초등 도덕과교육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사회/역사교육 전공
· ISBN : 9788925417608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3-01-30

책 소개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에 참여하면서 그때마다 해당 주제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여 관련 학회에 발표한 연구물을 모아 하나의 단행본으로 출판한 책이다. 각 장에서는 새로운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이 담고 있는 주제별 주장이 소개되고 있다.

목차

머리말 / 3

제1부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시작
제1장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이론적 토대 ························15
1. 브루너(J. Bruner) 지식의 구조론 ·················································16
가. 브루너(J. Bruner)의 지식의 구조 ···········································16
나. 역량 개발과 핵심 아이디어 ·················································19
다. 초등 도덕과 핵심 아이디어 ·················································21
2. 위긴스와 맥타이(Wiggins & McTighe)의 이해중심 교육과정 ····················23
가.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지식ㆍ이해 ············································23
나. 위긴스와 맥타이의 과정의 구조론과 과정ㆍ기능 ···························25
3. 듀이(J. Dewey)의 교변작용(transaction)과 역량 상승작용 ·······················29

제2장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35
1. 통합적 도덕성 ·····································································36
가. 개인적 도덕성과 사회구조적 도덕성 ········································37
나. 인지ㆍ정의ㆍ행동의 다중 중첩 도덕성 ······································38
2. 역량 함양 실효적 도덕함 ··························································40
3. 도덕적 인간과 정의로운 시민 ·····················································42

제3장 역량 중심의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47
1. 역량 중심 교육 관점에서의 2022 개정 교육과정 ·································49
가. 교육목표: 삶과 연계한 역량 교육 강화 ·····································49
나. 교육방향: 교육과정의 학습자 주도성 강화 ·································53
다.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변혁적 역량 ········································57
2.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함양 ·······························60
가. 가치관계확장법을 통한 영역 설정 ··········································60
나. 핵심 아이디어의 등장 ·······················································62
다. 화두형 질문(핵심 질문) ······················································65

제2부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방향
제4장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77
1.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개발의 중점 요구사항 ······································78
가. 학습자 주도성을 기초로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설계 ·····················78
나. 소수 핵심 아이디어 중심으로 학습 내용의 엄격성과 연결성 강화 ········83
다. 교과 고유의 사고와 탐구를 명료화하여 깊이 있는 학습 지원 ·············86
2. 도덕과 내용 체계의 구성 ··························································87
가. 지식ㆍ이해: 전이가 높은 지식과 수행으로 터득되는 이해 강조로 역량 함양 강화 ·····88
나. 과정ㆍ기능: 깊은 이해를 위한 과정ㆍ기능에 사고 과정도 포함됨에 주목 ···91
다. 가치ㆍ태도: 교과목표를 추구하게 만드는 동력으로서의 정서적 태도 ·····94
3. 내용 체계표의 개발 방향 ··························································97
가. 내용구성원리(가치관계확장법)의 수정 방향 ·································97
나. 내용 체계의 구성 방향 ·····················································100

제5장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ㆍ사회적 요구 ··············111
1. 기존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ㆍ사회적 요구 반영 실태 ···························113
가. 2011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113
나.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창의ㆍ융합형 인재 양성 ···················116
2.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ㆍ사회적 요구 분석 ···············117
가. 디지털 소양 교육 ···························································117
나. 생태전환교육 ································································120
다. 시민교육 ····································································121
3. 국가ㆍ사회적 요구 반영 방향 탐색 ··············································124
가. 인간 중심의 디지털 소양교육 ··············································124
나.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생태전환교육 ·····································127
다. 관계에서 시작하는 시민교육 ···············································129

제3부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제6장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핵심 아이디어 ···································137
1. 핵심 아이디어의 의미 ····························································139
가. ‘핵심 개념’을 보완하는 ‘핵심 아이디어’ ··································139
나. 핵심 아이디어의 도출 기준 ················································141
다. 도덕과 핵심 아이디어의 개발 방향 ········································142
2. 도덕과 영역별 핵심 아이디어 ····················································145
가. ‘자신과의 관계’ 영역 ·······················································145
나. ‘타인과의 관계’ 영역 ·······················································152
다. ‘사회ㆍ공동체와의 관계’ 영역 ··············································158
라. ‘자연과의 관계’ 영역 ·······················································161

제7장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과정ㆍ기능 ·······································169
1. 과정ㆍ기능의 등장 배경 ··························································171
가.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대한 비판적 논의 ·····················171
나. 2022 개정 교육과정 내용 체계안의 특징 ·································173
다. 내용 체계 내 과정ㆍ기능의 구체화 ········································178
2. 과정ㆍ기능 탐색을 위한 기초 연구 ··············································179
가. 초등학교 관련 교과 시안의 과정ㆍ기능 탐색 및 시사점 ·················179
나. 중학교 도덕 및 고등학교 도덕과 선택과목 시안의 과정ㆍ기능 탐색 및 시사점 ·······195
3. 도덕과 과정ㆍ기능 구체화를 위한 매트릭스 ······································197
가. 기초 연구의 시사점 ························································197
나. 도덕과 과정ㆍ기능 매트릭스 ···············································200

제8장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자신과의 관계’ 영역 내용 구성 ············207
1. ‘자신과의 관계’ 영역의 의미 ·····················································208
2. ‘자신과의 관계’ 영역의 내용 ·····················································210
가. ‘나는 왜 소중한 사람인가?’ ················································210
나. ‘어떤 사람을 정직한 사람이라고 하는가?’ ································213
다. ‘성실하게 살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216
라. ‘왜 도덕적 행동을 해야 하는가?’ ··········································220
마. ‘자주적으로 살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224
바. ‘자신의 생활을 반성하는 일은 왜 중요할까?’ ·····························227
사. <진로 연계 주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선택할 때 어떤 것을 고려해야 할까?’ ··231
3. ‘자신과의 관계’ 영역 통합성 ·····················································231
가. 내용 간의 통합성 ···························································231
나. 학습자 발달 수준 고려한 내용 조직 ·······································233

제4부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교수ㆍ학습 및 평가
제9장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수ㆍ학습 ·······································245
1.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교수ㆍ학습의 의미 ·······················247
가. 2022 개정 교육과정 교수ㆍ학습의 지향: 역량 함양을 위한 주도적인 인간상 형성 ··248
나. 2022 개정 교육과정 교수ㆍ학습의 범주: 3차원 내용 체계 구현 ········250
다. 평가와 연계될 수 있는 교수ㆍ학습 ········································253
2.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1차연구 시안의 교수ㆍ학습 특징 ·························255
가. 학습자 주도성 강화를 위한 교수ㆍ학습 ···································255
나. 역량 강화 실효적 도덕함 교수ㆍ학습 ······································259
다. 도덕성 형성을 위한 다중 중첩의 교수ㆍ학습 ·····························260
3. 초등 도덕과 교수ㆍ학습 탐색을 위한 기초 ·······································262
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관점에서 검토 ·································263
나. 초등학교 관련 교과와의 비교ㆍ검토 ·······································265
다. 중학교 도덕 및 고등학교 도덕과 선택과목과의 비교ㆍ검토 ··············266
4.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1차연구 시안의 교수ㆍ학습 분석 ·············268
가. 학습자 주도성 강화 교수ㆍ학습 차원 ······································268
나. 역량 강화 실효적 도덕함 교수ㆍ학습 차원 ································270
다. 도덕성 형성을 위한 다중 중첩의 교수ㆍ학습 차원 ·······················272

제10장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평가 ···············································277
1.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평가 ········································279
가. 3차원 내용 체계 구현을 위한 평가 ·······································280
나. 교수ㆍ학습을 강화하는 평가 ···············································282
2. 평가 분석을 위한 기초 ···························································283
가. 초등학교 관련 교과 평가 분석 ············································283
나. 중학교 도덕 및 고등학교 도덕과 선택과목 평가 분석 ····················285
3.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평가 분석 ··································286
가. 학습자의 주도성 강화를 위한 평가 ········································287
나. 역량 강화를 위한 실효적인 도덕함 중심의 수행평가 ·····················289
다. 도덕성 형성을 위한 다중 중첩의 평가 ····································291
4. 1차연구 시안의 초등 도덕과 평가에 대한 분석 ··································293
가. 학습자의 주도성이 강화되는 평가 ·········································294
나. 역량 강화 실효적 도덕함 중심의 수행 평가 ······························298
다. 도덕성 형성을 위한 다중 중첩의 평가 ····································301

제5부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제11장 2022 개정 초등 도덕과의 다중 중첩성 수업 ····························313
1. 도덕성 형성을 위한 통합적 노력 ·················································316
가. 통합적 도덕성 도입 ························································316
나. 단순 통합 개선 ·····························································318
다. 체화된 지식과 역량 강조 ··················································320
2.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다중 중첩성 ································322
가. 하나의 동인에 의한 도덕성 형성의 편협성 ································322
나. 도덕성 형성의 다중 중첩적 통합 ··········································324
다. 3차원 내용 체계의 입체적 다중 중첩성 ···································326
3.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수ㆍ학습 과정의 구체화 수업안 예시 ················328
가.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한계 ·······································328
나. 도덕성 형성을 위한 다중 중첩의 4차시 교수ㆍ학습 과정안 예시 ········332
다. 성취기준의 다중 중첩성 ····················································345

제12장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평가를 위한 수행과제 ·························351
1. 이해중심 교육과정에서 평가의 특징 ··············································353
가. 이해의 증거로서 평가의 의미 ··············································353
나.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을 활용한 평가 방향 ······························358
2.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평가를 위한 수행과제 개발 ·····························365
가. GRASPS 모델을 바탕으로 한 수행과제의 특징 ···························365
나. 영역별 도덕과 수행과제의 실제 ···········································367

제13장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편찬 방향과 단원 개발 방안 ·383
1. 현행 도덕과 교과서의 편찬 특징 ·················································384
가. 현행 교과서 편찬 방향 분석 ···············································387
2. 현행 초등 도덕과 교과서 단원 구성의 현황과 한계 ······························390
가. 현행 교과서 단원 구성 현황 및 특징 ·····································390
나. 현행 교과서 단원 구성의 한계 ············································394
3.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편찬 방향 ·····················395
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 확보 ·········································396
나. 단원 및 차시 구성의 유연함 ···············································396
다. 교사의 자율성 확대 ························································397
라.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학생 실생활과의 연계성 강화 ····················398
4.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단원 개발 예시 ···············398
가. 역량 기반 도덕 교과서 단원 구성 방안 ···································399
나. 단원 및 차시 구성 방안 예시 ··············································405
5. 교과서 단원 개발 예시: 생명존중 관련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407

에필로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인간상과 초등 도덕 교과의 역할 ········419
1. 서론 ··············································································419
2.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인간상에 관한 논의 ······································421
가. 인재(人才)인가, 사람인가? ··················································421
나. 포용성과 창의성, 자기 주도성 사이 ·······································424
3.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인간상 구현을 위한 초등 도덕 교과의 역할과 책임 ·427
가. ‘2022 도덕과 교육과정’의 인간상과 도덕함 ······························427
나. 초등 도덕 교과의 위상과 역할 ············································431
4. 맺음말 ···········································································432

찾아보기 ·············································································436

저자소개

박병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윤리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를 한 후에 불교원전전문학림 삼학원에서 불교철학과 윤리를 공부했다. 전주교육대학교 교수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장, 교육부 민주시민교육자문위원장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학과 교수이자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유전자 전문위원이기도 하다. 『종교와 똥, 뒷간의 미학』, 『청소년을 위한 두 글자 인문학』, 『딸과 함께 철학자의 길을 걷다』, 『우리 시민교육의 새로운 좌표』 등의 저서와 『철학은 시가 될 수 있을까』 등의 역서가 있다.
펼치기
김철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성리학의 도덕추론과 선악론을 주제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9년부터 경인교육대학교에 재직하며 성리학의 경(敬)과 불교의 마음챙김 등 동양윤리 가운데 교육 현장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분야로 연구를 확대해왔다. ‘철학과 심리학을 통해 보는 우리시대 선과 악’의 문제에 관심이 많아 이를 주제로 한 강좌와 집필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대표 논저는 『도덕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공저), 「악의 리는 없다-정호의 리유선악에 대한 주희의 해석」, 「혐오사회에서 노자철학의 의미」, 「도덕적 명상으로서의 경(敬)」 등이며, 역서로는 『마음챙김명상교육』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교육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동탄국제고등학교에 재직 중이다. 학문적 관심 분야는 도덕교육, 도덕심리학, 시민교육, 인성교육이다.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현대사회와 윤리를 집필하였으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서·논술형 평가도구 자료집』 개발 연구에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인성함양을 위한 고전 읽기 활동 운영 방안」, 「도덕과를 통한 다문화 교육과정 설계방안」 등이 있다.
펼치기
박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윤리교육과에서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울산 소재 초등학교에서 22년째 초등학생을 가르치면서, 한국교원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 대구교육대학교 등에서 초등도덕교육과 관련된 강좌를 운영하였다. 최근에는 초등학교 현장 도덕과 교육 연구에 주력하며, 초등학생의 도덕성 발달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질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연구진으로 활동하며 교과용 도서 개발의 집필진으로 활동하였고, 이번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작업에 참여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초등학생의 인간성 성장과 교육], [초등학교 인성교육 살리기(도덕수업을 활용하여)](공저)가 있으며 도덕 교육과 도덕과 교육 분야의 연구 논문을 20편 이상 발표하였다.
펼치기
이경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를 1986년에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윤리교육과에서 석ㆍ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 소재 중학교에서 도덕교사로 5년여 중학생을 가르치다 1994년 이후 진주교육대학교 도덕교육과에서 [도덕과 교육의 이론과 실제] 등의 강좌를 맡아 가르치며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에 연구의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에는 국제개발협력과 세계시민교육에 대하여 열정을 가지고 진주교대 다문화교육 사업, 몽골 기초교육역량강화 사업, 키르기즈공화국 기초역량강화 사업 등을 이끌었다. 뿐만 아니라, 1997년 제7차 교육과정 때부터 도덕과 교육과정 개발 및 교과용 도서 개발에 참여하는 것을 시작으로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년 창의ㆍ인성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등등 교육과정 개정때마다 초등 도덕과 교과용도서 집필위원으로 활약하였으며, 이번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작업에서 초등팀을 이끌며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틀을 정립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윤리학과 도덕교육](공저), [옴니버스 시민교육], [세계의 시민교육] 등이 있다.
펼치기
김아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석ㆍ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등교사로 근무했으며, 현재는 한국교원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교육부, 경기도 교육청, 충청북도 교육청 등에서 인성 교육, 민주시민 교육, 다문화교육 등을 주제로 연수 및 자문을 수행했다. 교육부 주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현장 안착을 위한 범교과 교수학습 주제 활성화 자료 개발 연구」(2018), 「교과 수업 연계 범교과 학습 주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2019), 「초등학교 놀이 활동 중심 수업 지원 자료 개발 연구」(2020), 「정보윤리 주제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보급 연구」(2021), 「2022 교과교육과정 개발 연구」(2022) 등에 참여했으며, 주요 연구 주제는 도덕교육을 비롯하여, 배려교육, 다문화교육, 인성교육, 정보윤리교육 등이다. 주저 및 역서로는 『사이버 미학 01, 02』, 『비판적 사고의 전환』 등이 있다.
펼치기
박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 현직 초등교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강사(2020~2024) • 2022 개정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부 정책연구 다수 수행 • 2023 경기도교육과정 총론 개정 위원 • <교실 속으로 간 이해중심 통합교육과정> 공저
펼치기
김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윤리교육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전라북도 소재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고 전주교대, 한국교원대 등지에서 초등 도덕과 교육의 이론 및 실제 등에 관해 강좌를 맡으며 학생들과 만나고 있다. 도덕감정과 초등 도덕과 교수ㆍ학습 방법 등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으며 이번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1, 2차 연구에 모두 참여하여 초등학생의 일상에서 비롯되는 학생 친화적인 도덕과 교육과정을 만들고자 노력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아이들은 자꾸 어려운 질문을 한다](공저)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배럿(L. F. Barrett)의 구성된 감정이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흄의 ‘성찰’ 개념에 기초한 감정의 적절성 문제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강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주교육대학교를 졸업하였고 광주광역시에서 초등교사로 근무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초등도덕교육 전공 석사 학위 취득 후, 동 대학원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최종안 개발 연구에 공동연구진으로서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연구에 참여하였다. 시민교육 역량 사업 현장 교사 멘토, 교원대 KOICA 글로벌교육 리더 멘토링 프로그램에 교사 멘토로 참여한 경험이 있다. ‘경제배움e와 함께하는 생애주기별 교수ㆍ학습 자료’, ‘인성을 갖춘 학교 시민 기르기’ 원격 연수 개발에 참여하였다. 시민교육, 생태교육, 어린이철학교육, 교사 교육과정 등에 관심이 있으며 배움을 실천하는 교육 연구자로 성장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디지털 정체성의 도덕교육적 함의],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교수ㆍ학습 탐색] 등이 있다.
펼치기
박의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초등특수교육과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대구 소재 초등학교에서 17여 년간 아이들과 행복한 동행을 이어 오고 있다. 도덕 시간이면 눈빛이 흐려지고 따분해하는 아이들을 보며 학생과 교사가 모두 행복할 수 있는 도덕 수업이 무얼까 고민하다 수업 연구를 시작했다. 최근에는 대구광역시교육청 도덕과 연구교사로 올바른 인성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분야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