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둑맞은 이름들

도둑맞은 이름들

(한국 근대문학과 식민지 모더니즘)

최현희 (지은이)
소명출판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10% 0원
2,000원
3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도둑맞은 이름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둑맞은 이름들 (한국 근대문학과 식민지 모더니즘)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59057489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23-01-21

책 소개

식민지 시대 한국의 문학과 예술을 식민지 모더니즘이라는 틀로 다시 보는 책이다. 한국 근대문학의 식민지 모더니즘을, 미학 너머 정치적 가능성의 영역으로 모더니즘을 개방시키는 창으로 정립하고자 시도한다.

목차

책머리에 3

서론 한국 근대문학과 식민지 모더니즘 15
1. 식민지 모더니즘의 개념과 맥락 15
2. 한국 근대문학과 식민지 모더니즘 26
3. 신모더니즘론의 맥락에서 본 식민지 모더니즘 37
4. 글로벌global, 로컬local, 내셔널national 39
5. 한국이라는 이름의 근대적 생성, 한국 근대문학 61

제1부 ‘한국’의 모더니즘적 기원과 죽음
제1장 해석자의 과거, 편집자의 역사최남선의 『소년』과 ‘한국’의 기원 73
1. ‘문학’과 ‘근대’ 사이에서-『소년』의 역사성 73
2. 『소년』의 지도-기원으로서의 매체의 물질성 79
3. 『소년』의 사진-편집자로서의 ‘신대한 소년’ 88
4. 해석과 편집-『소년』의 현재성 97

제2장 인쇄물 「날개」와 모더니즘적 글쓰기이상李箱 문학에 나타난 내재적 초월 99
1. 작가 이상의 출판 이력-‘소설’ 「날개」 해석의 방법론 99
2. 인쇄물 「날개」의 삶-모더니즘적 글쓰기의 내재성 105
3. 「날개」의 잔혹한 낙관주의-외재적 해석의 불가능성 113
4. 작품과 해석의 내재적 겹침-모더니즘의 잔혹한 글쓰기 125

제3장 이상의 죽음과 식민지성의 초극아방가르드의 순간, 도래하는 전체주의 130
1. 모더니즘의 시간과 아방가르드의 순간 130
2. ‘이상’이라는 흔적 139
3. ‘이상’ 만들기 혹은 이상과 함께 머물기 167
4. ‘저 너머’의 현실화와 전체주의의 도래 189

제2부 식민지 모더니즘의 양극단미학화와 극화(劇化)
제4장 식민지성의 이론화와 정치의 미학화최재서의 국민문학론과 모더니즘 195
1. 최재서의 모더니즘적 리얼리즘 195
2. 지성과 모럴-모더니즘과 미학의 정치화 198
3. ‘한국’이라는 이름과 식민지성-국민문학론 212
4. “이론화”에 대한 저항-전체주의에서의 정치의 미학화 226
5. 국민문학론의 이론성에의 투신 238

제5장 이중의 식민지성과 보편주의아메리카니즘의 근대와 그 식민지적 초극 244
1. 아메리카니즘, 식민주의, 보편주의 244
2. ‘아메리카=물질’과 ‘일본=정신’의 사이에서 248
3. 이중으로 식민화된 한국과 보편주의 255
4. 아메리니카니즘으로부터 역사성을 구출하기 260

제6장 식민자의 미학과 식민지인의 문학전체화하는 자본, 식민지 모더니즘의 문학주의 265
1. 제국과 민족 사이-일제 말기와 자본주의 265
2. 자본의 전체화와 제국의 미학-미키 기요시의 협동주의 271
3. 내파하는 자본, 식민지인의 문학-최명익의 문학주의 279
4. 자본주의의 초월성과 문학주의의 내재성 290

제3부 식민지도 근대도 아닌……‘한국’이라는 이름
제7장 문학주의적 주체론과 역사의 이념임화의 신문학사론에 나타난 ‘한국’이라는 민족 295
1. 임화의 현대주의 295
2. 문학주의적 주체론 300
3. 비평가와 역사, 비평가의 역사 305
4. 문학과 민족 사이-신문학사의 이론 312

제8장 간도적 글쓰기에 나타난 여성성강경애 문학에 나타난 식민지성과 그 전유의 양상들 318
1. 간도적 글쓰기 318
2. 여성의 침묵 325
3. 먹칠과 인쇄 사이 331
4. 간도적ㆍ여성적 글쓰기의 문제성 339

제9장 스타 문예봉의 도둑맞은 이름전체주의와 영화, 그리고 식민지 대중 341
1. 전체주의 체제와 영화법 341
2. 영화법과 조선영화령-전체주의 제국에서 영화의 위치 345
3. ‘조선’과 ‘영화’ 혹은 조선영화라는 물질성 359
4. ‘문예봉’이라는 도둑맞은 이름 384


에필로그 408참고문헌 414간행사 423

저자소개

최현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현대문학 전공으로 석사를,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학 동아시아어문학과에서 일제 말기 한국 모더니즘 문학과 전체주의 문화론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도쿄외국어대학 총합국제학연구원 외국인연구자, 카이스트 인문사회과학부 초빙교수, 서울대 대학원 비교문학 전공 강사 등을 지냈다. 『동아시아 예술 담론의 계보』 등을 공저했고, 『미래가 사라져갈 때』 등을 공역했으며, 한국 근대문학에 관한 논문을 다수 발표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모더니즘을 논할 때 우리가 주목할 것은 20세기 초 서양적 근대성의 세계적 전파 과정이 아니라 모더니즘을 통해 20세기의 서양 중심적 근대성이 그 무한한 복잡성을 억압하면서 글로벌한 헤게모니를 장악해간 과정[이다.] 20세기의 어느 시점에 일어났다가 멈춘 단선적 전파와 수용이 아니라, 무한한 “차용(borrowing)의 장기 지속”으로 모더니즘을 보아야 하는 것이다.


식민지 모더니즘은 식민지 현실의 부정성과 그것에 대립하며 또 초극하는 이념적 근거로서의 이상적(理想的) 근대성이 식민지 현실과 동시적으로 공존하는 상태를 포착한다.


식민지 모더니즘은 식민지를 근대성이 완전히 전개된 장소로 재구(再構)함으로써 식민지성의 역설적 중심성을 부각시키고, 그리하여 식민지성과 근대성의 상극이라는 틀 자체를 의문에 부치는 효과를 낳을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