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59099892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0-07-1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지금 언박싱하라
1장. 자기 생각에 갇힌 사람들
1. 생각을 제약하는 박스
2. 생각 위에서 생각하기
2장. 리더의 박스 사고
1. 리더의 박스 사고와 함정
2. 리더의 박스 사고가 불러오는 조직 현상
2부. 생각을 언박싱하라
3장. 생각 다양성 확보하기
1. 이질적 집단 만들기
2. 생각 열어주기
4장. 생각 섞어 전체 보기
1. 생각을 섞는 이유
2. 다름은 왜 틀림이 되었나
3. 다름이 옳음임을 안 세종
4. 세종의 방법①: 생각 집합 확장
5. 세종의 방법②: 검증
5장. 생각 증폭하고 통합하기
1. 찬성과 반대를 통한 정보 증폭
2. 세종의 방법: 견광지
3. 허조와 변계량의 견광과 세종의 지
4. 통합의 달인, 황희
6장. 생각 몰지 않기
1. 선택적 점화
2. 세종의 생각 몰지 않기
3. 리더의 분노와 선택적 점화
4. 리더의 분노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
5. 세종의 분노 조절
7장. 생각의 목적 상위에 두기
1. 생각의 목적이 중요한 이유
2. 세종의 생각 목적
3. 리더의 생각 목적
3부. 리더십을 언박싱하라
8장. 의사결정 상황과 생각 위에서 생각하기
1. 의사결정 상황
2. 비즈니스에서의 의사결정 상황
3. 세종의 상황 판단 착오
9장. 인재를 보는 눈
1. 세종은 아랫사람을 어떻게 인식했을까?
2. 세종은 아랫사람을 어떻게 변화시켰을까?
3. 세종의 인재관
10장. 리더 세종 다시 보기
1. 오나라 부차와 세종의 차이
2. 세종과 선조의 차이
3. 세종은 항상 생각 위에서 생각하는 데 집중했을까?
맺는말
주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사람들은 자신만의 생각 박스 안에서 생각한다. 박스의 정체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경험이다. 이 경험이 매우 좁고 딱딱할 때 문제가 일어난다. 개인이 이런 사고에 빠지면 자신만 피해를 보니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리더가 이 사고에 갇히면 문제가 커진다. 자신은 물론이고 함께 일하는 다른 사람들에게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리더가 좁고 딱딱한 사고를 하면 조직원들도 함께 이 사고에 빠지게 되는데, 이것을 ‘조직 사고의 석회화’라고 한다. 리더의 생각 박스 속에 조직원들의 생각을 가둠에 따라 이들의 생각도 좁고 단단하게 변하는 현상이다. 똑똑하고 유능한 리더들에게도 이런 일이 종종 일어난다. 리더는 박스 사고에 왜 갇히게 될까?
왜 군사 작전을 토론하는 자리에 비전문가들이 참여했을까? 군사 전문가들이 경직된 사고에 빠지는 것을 경계했기 때문이다. 비록 비전문가들이 군사 작전의 이치와는 거리가 있는 말을 할지 모르지만 전문가들이 생각하지 못하는 전혀 다른 생각을 할 수 있다고 세종은 생각했다. 그는 이런 생각을 찾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 이야기를 들으면서 말 뒤에 숨어 있는 가정을 살펴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