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수학문명사

한국 수학문명사

김영욱, 이장주, 장혜원 (지은이)
들녘
4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700원 -10% 0원
2,150원
36,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수학문명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수학문명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59257216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22-05-27

책 소개

모든 문명의 중심에 수학이 있다. 수학의 힘 없이 문명의 발전도 이룰 수 없다는 것은 세계 4대 문명이 증명한다. 수학이 우리 문명에 기여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인 만큼, 이 책은 그 내용에 따라 총 7개의 장으로 분리, 구성되었다.

목차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1장 한국의 고대 수학문명 개관

1절 고대 수학문명에 대한 간략한 이야기
1. 우리 수학의 뿌리
2. 우리 민족의 고대 수학문명의 발자취
2절 고구려, 백제, 신라, 발해의 수학문명
1. 고구려의 수학, 천문역량(歷算)의 본보기: 고구려 첨성대와 하늘 관측
2. 고구려 건축의 수학적 사고
3. 백제의 수학적 사고
4. 백제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5. 백제 쌍북리 직각삼각형 구구단목간
6. 대칭 속의 미학: 백제 공주 무령왕릉 장신구
3절 신라, 통일신라와 발해
1. 나무를 깎아 만든 정밀한 14면체 주사위: 목제 주령구
2. 신라의 산학제도: 국학
4절 고려의 수학문명
1. 고려의 산학제도
2. 산학관직의 변천

2장 한국의 수학문명

1절 평민 속에 스며든 수학: 수(數)를 통해 본 우리 문화
1. 수로 문화 보기
2. 수를 중심으로 본 전통사상
3. 문명 속 상징으로서의 수
4. 삼(三): 한국인의 정체성을 담지한 수
2절 선기옥형과 해시계
1. 조선시대의 천문의기
2. 선기옥형(璇璣玉衡)
3. 해시계
4. 그 밖의 천문 시계
5. 결론
3절 역학(易學)과 수학
1. 역학과 수의 관계
2. 조선의 성리학과 최석정의 수학
3. 전투의 진법
4. 최석정 이론의 기본이 된 방진
5. 낙서사구도와 궁의 변화
4절 『임원경제지』 「유예지 권2 산법」
1. 흙으로 끓인 국이나 종이로 만든 떡이 아닌 『임원경제지』
2. 「유예지 권2 산법」의 실학적 배경
3. 「유예지 권2 산법」에 들어 있는 실용적인 수학
5절 건축, 문양 그리고 놀이
1. 건축
2. 문양
3. 수학과 놀이
6절 상업에 쓰인 수학
1. 구구단과 구귀제법
2. 두행곡(斗行斛)
3. 근하유법
4. 해부법
5. 전세강가식(田稅江價式)과 입경가식(入京價式)
6. 선가식(船價式)
7. 정신지법(定身之法)과 환입송(還入訟)
8. 부기법(簿記法)

3장 국가의 바탕을 이룬 수학

1절 양을 재다: 도량형
1. 황종관: 도량형의 기준
2. 양전으로 토지를 측량하다
2절 하늘을 읽는다: 계몽산법과 『칠정산내편』
1. 『칠정산내편』의 성립
2. 역법에서 본 조선의 방정식론
3절 조선의 산학제도
1. 조선 전기 산학의 진흥
2. 산학제도의 정비
3. 세종의 산학 장려책
4. 조선 산학관리의 선발제도와 그 내용

4장 전통산학의 발전

1절 조선의 전문 인력 중인
1. 산학자의 신분 변천
2. 산학자 집단이 생겨나다
3. 조선의 산원의 지위
4. 양반 산학과 중인 산학이 나뉘다
5. 중인 산학자 가문의 혼인 관계
2절 조선 산학의 사회적 특징
1. 양반과 중인
2. 산원과 관상감원의 산학
3. 양반의 산학
3절 조선의 산서
1. 『묵사집산법(黙思集算法)』
2. 『산학원본(算學原本)』
3. 『구수략(九數略)』
4. 『주서관견(籌書管見)』
5. 『동산초(東算抄)』
6. 『구일집(九一集)』
7. 『산학입문(算學入門)』
8. 『산학본원(算學本源)』
9. 『주해수용(籌解需用)』
10. 『서계쇄록(書計瑣錄)』
11. 『차근방몽구(借根方蒙求)』
12. 『집고연단(緝古演段)』
13. 『산술관견(算術管見)』
14. 『무이해(無異解)』
15. 『구장술해(九章術解)』
16. 『측량도해(測量圖解)』
17. 『유씨구고술요도해(劉氏勾股述要圖解)』
18. 『해경세초해(海鏡細草解)』
19. 『산학정의(算學正義)』
20. 『익산(翼算)』
21. 『산학습유(算學拾遺)』
22. 『주학실용(籌學實用)』

5장 수학의 부활

1절 폐허에서 새로운 황금시대로
1. 경선징
2. 박율
3. 최석정
4. 조태구: 『기하원본』을 책에 담다
2절 동양 수학의 절정: 홍정하
3절 다독과 기록의 양반 수학: 황윤석
4절 실용적 수학 연구: 홍대용, 정약용
1. 홍대용
2. 정약용
5절 대를 이은 수학 사랑: 달성 서씨 집안과 홍길주
6절 한국 전통수학의 마지막 열매: 이상혁과 남병길, 남병철
1. 이상혁과 남병길의 공동 연구
2. 남병길
3. 남병철

6장 한국 전통수학과 근대 서양 수학의 만남까지

1절 새로운 역법의 출현
1. 시헌력의 배경
2. 중국에 전래된 서양 수학
3. 조선의 『수리정온』과 『적수유진』
4. 조선 후기의 천문학과 수학
2절 서양 수학을 바라본 두 가지 관점
1. 최석정과 성리학
2. 최석정이 본 계산 도구
3. 조태구가 본 서양 수학
4. 동서양 수학의 융합
3절 삼각함수의 등장
1. 『주해수용』 서문
4절 천원술과 차근방
1. 개방술에서 발명된 천원술
2.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된 천원술
3. 전통 방정식의 발전
4. 천원술과 사원술 표기
5. 서양 수학을 만난 조선의 방정식론
5절 구고술과 구면삼각법
1. 전통 구고술 발전의 역사
2. 조선의 전통 구고술
3. 18세기부터의 구고술과 정약용
4. 홍길주
5. 이상혁
6. 조희순
6절 본격적인 서양 수학의 등장과 개화기
1. 국가의 위기와 수학 교육
2. 개화기 수학 교과서를 쓴 사람들
3. 민영환이 세운 사립학교에서 근대화를 위해 쓰였던 수학책: 『정선산학』
4. 대표적 독립운동가 이상설의 수학책: 『산술신서』
5. 제대로 된 교육과정에 맞춘 교과서: 『신정산술』
6. 한글 가로쓰기로 된 최초의 수학책: 『산술신편』
7. 독립운동가의 수학책: 『(초등)근세산술』
8. 결론

7장 한국 전통수학 방법론

1절 산대 계산법
1. 산대
2. 덧셈과 뺄셈
3. 곱셈(승산, 乘算): 보승법(步乘法)
4. 신외가법
5. 나눗셈(제산, 除算): 상제법(商除法)
6. 나눗셈(제산, 除算): 귀제법(歸除法)
2절 천원술
1. 박율
2. 홍정하
3절 개방술과 증승개방법
1. 조선 산학에서 개방술(開方術)과 증승개방법(增乘開方法)
4절 구고술
1. 우리나라의 구고술
2. 전통 구고술의 발전
3. 서양 수학 도입기의 구고술
4. 구고술의 본격적 발전
5절 구면삼각법
1. 구면삼각형의 차형
2. 홍길주의 『호각연례』
3. 이상혁과 불분선삼률법의 해설
4. 조희순의 구면삼각법 총정리

부록 중국과 일본의 수학

1절 중국 수학과 그 영향
1. 고대 중국 수학의 전파
2. 동양의 전통수학
3. 서양 수학의 전래
2절 일본의 수학
3절 삼국의 교류

주석
표 및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저자소개

장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수학 학습에서 표현 및 표상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수학사학회의 조선시대 산학서 번역 연구 이후로 조선 산학 및 수학사의 수학교육적 활용 연구를 이어 오고 있다. 대표 논저로, 『산학서로 보는 조선 수학』, 『수학박물관』, 『한국수학문명사』, 『구일집』, 『산학입문』, 『클레로의 기하학 원론』,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의 내용 분석 및 교육적 활용 방안 탐구」 등이 있다.
펼치기
이장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수학교육과를 졸업하고 서강대와 단국대에서 수학교육 석사학위와 담헌 홍대용의 “주해수용(籌解需用)의 이해와 수학교육적 의의”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국민대학교에서 수학사와 수학교육 분야를 가르치고 있고, 전국 교육청의 교사 연수에서 우리의 수학문명을 주제로 강연하였다. 대한수학회와 한국수학사학회에서 활동 중이며, 한국고전번역원과 한국연구재단에서 각종 정책연구에 참여하였다. 저서로는 일반인을 위한 『우리 역사속 수학이야기』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영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하고 UCLA에서 기하학으로 이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미분기하학을 연구하며, 대한수학회와 한국수학사학회에서 활동한다. 수학사 분야에서는 동양의 방정식 이론을 연구하였고 조선의 기하학 발전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이론에도 관심을 두고 공부 중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