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고려시대
· ISBN : 9791159257681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3-05-04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 / 프롤로그: 밀어붙여, 우린 할 수 있어!
제1장 왕좌를 향하여
흔들리는 신라와 발해 / 거란의 태조 야율아보기 / 북진하라! 왕건의 북진정책 / 발해의 멸망(926년)과 발해인들의 귀순 / 거란을 공격하라! / 만부교 사건 / 뜬구름 같은 인생 / 왕건의 훈요10조 / 거란이 고려에 눈을 돌리다 / 정종과 광종의 북방개척 / 거란의 이원적 통치체제와 거란 황제들의 비극 / 후주(後周)의 2대 황제 시영(柴榮)의 북벌 / 송나라의 건국(960년) / 송나라가 북벌에 나서다 / 거란의 여걸, 승천황태후 / 고량하 전투(979년) / 이 시기 고려와 거란, 송나라의 관계 / 고려인 강전 , 거란의 심장부를 타격하다
/ 고려 성종의 즉위 / 한국의 선비 1호, 유교 문화의 기틀을 만들다 / 모자의 나라를 만든 성종 / 송나라 태종의 2차 북벌과 원군 요청 / 거란, 폭발적으로 팽창하다
제2장 1차 고려거란전쟁
불어오는 바람 / 짐이 직접 군대를 이끌 것이다 / 서희, 봉산군을 구하러 출전하다 / 소손녕의 위협과 서희의 판단 / 항복론과 할지론 / 승부는 적의 빈틈을 보아 기동하는 데 있습니다 / 소손녕 / 안융진 / 신이 불민하나, 감히 명령을 받들겠나이다 / 요나라 동경은 원래 우리 땅이다 / 두루뭉술하게 회담을 마무리하다 / 거란에 보복하라! / 고려와 거란의 축성 / 서희의 전략 ‘방패와 창’ / 고려 성종, 거란 공주와 결혼하다 / 성종과 서희의 사망 / 뛰어난 신하와 훌륭한 왕 /소손녕의 죽음 / 전연의 맹
제3장 영웅들이 나타나다
왕순(王詢), 사생아의 탄생 / 아빠, 아빠! / 내 시신을 엎어 묻어라 / 출가 / 생명의 위협 / 급박한 정세 / 강조(康兆)의 정변 / 현종의 즉위와 목종의 운명 / 강조의 권력 집중과 현종의 혼인 / 거란 조정 / 송나라 조정 / 거란, 40만 대군으로 고려를 침공하다(1010년 11월) / 무성(武成) 양규(楊規), 흥화진에 주둔하다 / 너희 처자식들까지 모조리 죽일 것이다 / 무적의 검차진 / 거란군은 입안에 들어 온 음식과 같으니 / 완항령(緩項嶺) / 나는 고려인이다! / 강조의 명을 거부한 양규 / 파죽지세 거란에 맞선 고려의 마지막 작전 / 지채문, 연이어 승전을 거두다! / 마탄 전투, 그리고 탁사정의 배신 / 위기에 빠진 고려에 두 명장이 등장하다 / 흥화진 대장대 / 큰 유성(流星)이 곽주에 떨어지다 / 불가능한 작전 / 서경 서쪽 절 야율융서의 진영 / 조원과 강민첨의 걱정 / 고려 조정 / 서서히 이길 방법 / 현종의 결단 / 고난의 시작 / 하공진과 유종 / 눈물의 피난 / 불타는 개경, 그리고 거란군의 회군 / 기러기 / 공주절도사 김은부 / 너희들이 어찌 이처럼 할 수 있느냐 / 드디어 나주에 이르다 / 반격의 시작 / 구주 협곡 전투와 무로대 기습 / 백성들을 구하라! / 현종의 개경으로 가는 길 / 하루에 세 번 싸워 세 번 모두 이기다 / 압록강이 거란군을 삼키다 / 삼한후벽상공신(三韓後壁上功臣)
제4장 계속되는 위기
강은천이 장원급제하다 / 만년 부장 강감찬 / 강감찬과 관련된 설화들 / 한림학사승지 / 현종, 다시 찾은 개경에서 전후 수습에 매진하다 / 전쟁에 대비하는 고려 / 영일만 / 굳세고 과감한 의기(志氣)의 소유자 / 하공진의 절개 / 강동6주를 반환하라! / 1012년 5월 2일 영일만 / 동북면병마사 강감찬 / 거란의 전쟁 준비 / 부교 / 송나라와의 외교 / 발뒤꿈치를 잘라서 신발에 맞게 한다면 / 서경 장락궁 / 야율자충 / 거란의 명장 야율세량 / 야율세량의 침공 / 송나라의 도움을 요청하다 / 두 번째 대회전 / 현종, 강경책을 쓰다 / 다시 전쟁을 대비하다 / 거란의 어려움 / 소합탁이 거란의 쇠퇴기를 열다 / 소합탁의 고려 침공
제5장 구주대첩
현종과 강감찬 / 거란 황제 야율융서와 소배압 / 강감찬, 상원수로 임명되다 / 1018년 고려의 방어선 / 방어선을 끌어 올리다 / 파격적인 전술 / 달리는 소배압 / 고려군도 달린다 / 마탄, 마탄, 마탄이다! / 거란군의 전략 / 강감찬 진영 / 승부사 소배압 / 청야전술 / 소배압, 선봉대를 개경으로 보내다 / 금교역 / 소배압의 결정 / 구주로 집결하라 / 거란군의 작전회의 / 고려군 진영과 거란군 진영 / 구주대첩의 시작 / 바람을 몰고 온 남자 / 총공격 / 흥의역 / 구주대첩 후 고려와 거란 / 1030년 11월 팔관회 / 고려 현종, 관용의 정신과 용기를 갖춘 위대한 왕
에필로그: 현종 이후 / 주 /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시기 거란과 후진은 점차 분열의 조짐을 보이고 있었다. 942년 6월 석경당이 사망하고 석경당의 조카 석중귀(石重貴)가 제위를 잇는다. 석중귀는 거란에 대해서 독립을 선언했다. 그러자 거란 태종은 후진을 공격할 생각을 한다. 후진을 정벌할 계획을 세운 거란 태종은 후방의 안정을 위해 고려와 우호 관계를 맺고자 했다. 왕건은 이 상황에서 관망하지 않고 참전을 택했다. 다음과 같이 말하며 거란에 대해서 선전포고와 다름없는 조치를 한다. “거란이 일찍이 발해와 화목하게 지내오다가 갑자기 의심을 일으켜 맹약을 어기고 멸망시켜버렸으니, 이는 매우 무도한 나라로서 화친을 맺어 이웃으로 삼을 수 없다.” 왕건은 이렇게 선언한 후, 거란 사신 30명을 섬으로 유배 보냈으며 낙타는 만부교 아래에 매어두어 굶어 죽게 했다. 거란을 적대하겠다는 뜻을 만방에 선포한 것이다. 왕건의 의도는 명백했다. 거란과 전쟁을 통해서라도 옛 고구려 영토를 되찾겠다고 천명한 것이다._<만부교 사건> 중에서
서로 간의 대치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소손녕이 먼저 서희에게 말을 전한다. “우리나라가 이미 고구려의 옛 땅을 모두 차지하였는데, 이제 너희 나라가 우리의 국경을 침범했기에 내가 와서 토벌한다. 그저 위협에 지나지 않는 말이라 서희는 따로 답장을 보내지 않았다. 서희가 반응이 없자, 소손녕은 다시 편지를 보냈다.
“우리나라가 천하를 통일하였는데도 너희가 아직 귀순하지 아니하니 소탕하기로 결정하였다. 지체하지 말고 빨리 항복하라!” 서희는 소손녕의 말을 접하고 이상함을 느꼈다. 더는 남하하지 않으면서 말로만 구구절절 위협하고 있는 것이었다. 서희는 전반적인 정세에 대해서 생각했다. 거란과 송나라는 대치 중이었고, 거란이 아직 요동을 모두 평정한 것은 아니었다. 그런데도 압록강을 넘어 고려 땅까지 온 것이다. 서희는 드디어 판단을 내렸다. “거란군은 남하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그렇다면···.” 서희는 다시 안북부로 돌아와서 서경에 있던 성종에게 즉시 편지를 보내 보고했다. “화친이 가능한 상황입니다.”_<소손녕의 위협과 서희의 판단> 중에서
따라서 김치양과 사이에 아이가 태어나자, 천추태후는 과감한 생각을 한다. 자신과 김치양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를 목종의 후계자로 삼아서 다음 왕으로 만드는 것이었다. 역성혁명이라고 할 수 있는 엄청난 생각이었으나 반드시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었다. 천추태후는 섭정을 하고 있으니 사실상 왕이었고 김치양은 가장 강력한 권력자이다. 둘이 하려고 한다면 못 할 일은 없었다. 사실상의 역성혁명은 강력한 반발에 부딪힐 것이다. 그런데 반발을 현저하게 줄이는 길이 있다. 왕위에 오를 왕씨가 없다면 반발은 확연히 줄 것이다.
당시 태조 왕건의 피를 이어받은 왕씨 남자는 몇 명 되지 않았다. 기록에 의하면 왕순 외에 왕림(王琳)과 왕정(王禎)이라는 태조 왕건의 손자들이 있었다. 그런데 왕림과 왕정의 아버지 동양군(東陽君)은 광종 때 반역죄로 처형된다. 따라서 이들은 역적의 자식이란 굴레를 쓰고 민간에 숨어 살았다. 그렇다면 목종 이후에 왕위에 오를 수 있는 왕씨는 단 한 명, 왕순뿐이었다. 천추태후는 이런 이유로 왕순을 꺼리기 시작한다._<출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