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1582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0-09-29
목차
머리말
1장
왜 프레네 실천교육학에 주목하는가
제1부 프레네 실천교육학의 형성
2장 프레네의 삶과 교육실천 전개
3장 이론 토대(1): 생명
4장 이론 토대(2): 일 제2부 프레네 실천교육학의 실제
5장 학교교육 실천이론
6장 학교 공간과 시설
7장 일(학습활동)의 도구와 기술
8장 교사론 제3부 프레네 실천교육학의 현재성
9장 교육적 놀이로서 '놀이-일'
10장 자유 글쓰기의 의미
11장 비판적 문해교육 방법론: 프레이리와 관련하여
12장 배움 욕구의 되살림
13장 자율적 주체성 형성
14장 학교 협동체: 협동과 민주주의
15장 시민교육
16장 맺는말 참고 문헌 셀레스탱 프레네의 생애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가 민주주의와 협동을 중시하면서도 개인의 자발성과 학습 리듬에 기초한 교 육의 가능성을 찾아내고 실천한 점, 삶과 소통하는 교육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한 점은 최근의 혁신학교들이 중시하는 가치들이다.
프레네 실천교육학이 대표하는 ‘자유 글쓰기’, ‘학교신문(학급문집) 만들기’, ‘학교 간 통신교류’, ‘전체회의’, ‘나들이(산책 수업)’, ‘주간 학습활동 계획’, ‘자가수정카드’, ‘학습활동총서’ 같은 여러 기술과 도구들은 우리 학교현장에서 당연해 보이지만 쉽게 실천되지 않거나 형식적인 실천에 머물러 온 것들이다.
프레네 실천교육학은 이러한 관례적 실천이 어떤 점에서 아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의미가 있는지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러한 실천들이 생명력을 갖도록 하는 데 일말의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_「머리말」에서
프레네의 실천교육학을 다룬 이 책이 아동을 어떻게 보고 대할 것인지, 아이들의 배움은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 것인지, 학교에서 주로 권위와 자유 간의 문제로 대두되는 규율과 질서 그리고 학교 운영의 문제를 어떻게 풀 것인지, 평가 방식은 어떠해야 하는지 등 우리가 학교교육 전반에 걸쳐 한 번쯤 고민해야 하는 주제들에 대해 논의하고 검토하면서 자신의 교육실천이론이나 교육에 대한 관점을 정리하는 기회가 되었기를 기대한다.
우리가 갖고 있던 사고방식을 근본 부터 재검토하는 하나의 계기였으면 한다는 말이다.
그래야만 주로 다양한 교수 학습의 기술들에 초점이 맞춰 소개되는 프레네 실천교육학이 여타의 교육사상가들이 간혹 우리 사회에서 소비되는 것처럼 “낡은 목적을 위한 새로운 교육방법”으로 빠지게 되는 오류를 최소한 범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