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2312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2-08-26
목차
추천사o마을과 시대를 품는 교육이 나라를 살린다
머리말
1 부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과 역사적 개관
1장 들어가는 글
2장 마을교육공동체란 무엇인가?
1. 학교, 마을, 교육 공동체
2. 학교와 마을의 관계 맺기
3. 학교공동체와 마을공동체의 상생
3 장 왜 마을교육공동체인가?
1. 현대 학교체제의 한계에 대한 대안
2. 교육 불평등 해소 방안
3. 미래핵심역량 교육을 위한 장
4. 마을 활성화의 원천
4 장 마을교육공동체의 역사적 개관
1. 우리나라 마을교육공동체의 역사
2. 서구 마을교육공동체의 역사
2부 마을교육공동체의 과거
5장 일제강점기 교육정책과 학교 실태
1. 일제강점기 교육정책
2. 일제강점기 학교 실태
6 장 오산학교와 평북의 용동마을
1. 오산학교의 설립 배경
2. 주요 인물: 이승훈과 이찬갑
3. 오산학교의 설립 이념과 교육활동
4. 오산학교와 용동마을의 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특성
7 장 명동학교와 북간도의 명동촌
1. 명동학교의 설립 배경
2. 주요 인물: 김약연과 김하규
3. 명동학교의 설립 이념과 교육활동
4. 명동학교와 명동촌의 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특성
8 장 송산고등농사학원과 평남의 송산마을
1. 송산학원의 설립 배경
2. 주요 인물: 김두 혁과 함석헌
3. 송산학원의 설립 이념과 교육활동
4. 송산학원과 송산마을의 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특성
9 장 사례 학교들 간의 비교 논의
3부 마을교육공동체의 현재
10장 마을교육공동체 논의의 현황과 방향
1. 교육개혁의 방편과 목표로서의 마을교육공동체
2. 평생교육의 장으로서의 마을교육공동체
3. 협력적 교육 거버넌스로서의 마을교육공동체
4. 이상적인 마을공동체 형성을 위한 마을교육공동체
11장 마을교육공동체의 최근 국내 사례
1. 시흥시의 평생학습마을
2. W대학교와 지역사회의 네트워크
12장 마을교육공동체의 최근 해외 사례
1. 미국의 오클랜드연합교육구 커뮤니티 스쿨
2. 미국의 칼빈대학교와 그랜드래피즈시의 파트너십
4부 마을교육공동체의 미래
13장 학생의 미래역량과 마을교육공동체
1.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와 미래교육
2. 코로나19와 교육의 미래 그리고 미래역량
3. 미래교육과 마을교육공동체
14장 학교와 마을이 상생하는 마을교육공동체
1. 학교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개혁과 마을교육공동체
2. 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과 마을교육공동체
나가는 글
표, 그림,사진 차례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 사회에서 유행처럼 번지는 공동체, 교육공동체, 학교공동체, 마을공동체라는 용어는 그 의미가 정확하게 이해된 채 일관성 있게 사용되고 있나?
이러한 다양한 공 동체를 형성하고 구현하려는 노력은 과연 교육과 학교와 마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 키고자 하는 의도와 의지를 지니고 있나?
이에 답하고자 나는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논의를 종합해서 그 개념과 필요성과 함께 마을교육공동체의 역사를 개괄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일제강점기의 학 교 실태를 알아보고, 당시 마을학교라 할 수 있는 오산학교, 명동학교, 송산고등농사 학원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또한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논의를 범주화하여 앞으로 의 방향을 가늠해 보고, 국내외 사례를 소개할 것이다.
무엇보다 ‘학교와 마을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려면 마을교육공동체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그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