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쉼이 있는 교육

쉼이 있는 교육

강영택, 김회권, 박상진, 유재봉, 함영주 (지은이),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 (기획)
쉼이있는교육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000원 -10% 2,500원
500원
11,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쉼이 있는 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쉼이 있는 교육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교육
· ISBN : 9791196969127
· 쪽수 : 198쪽
· 출판일 : 2020-06-30

책 소개

한국의 교육현실 속에서 쉼이있는교육의 방향과 과제는 무엇인가? 성경에서 말하는 ‘쉼과 안식’은 교육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가? ‘월화수목금금금’의 교육 속, 한국 청소년들의 쉼의 현실을 이야기한다.

목차

머리말•4

|1장| 쉼에 대한 성경적 의미
Ⅰ.들어가는 말•13
Ⅱ.안식일을 절정으로 기획되어 시작된 창조사역•15
1. 천지창조와 성막창조의 상응성
2. 안식과 재창조
Ⅲ.출애굽 구원의 목적도 하나님의 안식참여를 위함이다•25
Ⅳ.연약한 이웃을 해방하는 절기로서의 안식일 축성•28
Ⅴ.안식일 준수가 명령 된 까닭은 인간의 자기 착취적, 이웃 착취적 죄성을 억제하기 위함이다•31
Ⅵ.안식일을 박탈당한 <멋진 신세계>의 감마/델타/앱실론 계급을 위한 복음, 안식•33
Ⅶ.나가는 말•36

|2장| 한국 청소년의 쉼 실태
Ⅰ.들어가는 말•41
Ⅱ.연구방법•45
Ⅲ.연구결과•48
1. 학년 및 학교유형별 쉼 실태분석
2. 기독 청소년의 쉼 실태
3. 쉼의 현황에 따른 학업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자아존중감의 관계성
Ⅳ.연구결과 요약•69
1. 하루 평균 학습 시간
2. 하루 평균 사교육 시간
3. 시험기간 학습 시간
4. 하루 평균 여가 시간
5. 하루 평균 수면 시간
6. 학원휴일휴무제에 대한 의식
7. 학생들이 생각하는 진정한 쉼
8. 학교생활 피로도
9. 기독청소년들의 쉼 실태
10. 학업 스트레스
11. 삶의 만족도
Ⅴ.기독교교육적 제언•74
1. 성적과 대학입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의 필요성
2. 쉼의 의미와 건강한 쉼 프로그램의 개설 및 보급
3. 쉼에 대한 성경적 의미 교육과 교회 내 쉼 프로그램 보급
4. 사회적 합의에 의한 학원휴무제의 적극적 실시
5. 쉼이 있는 교육을 위한 기독교대안학교 모델의 적극적 활용
Ⅵ.나가는 말•77

|3장| 청소년 쉼을 위한 제도화
Ⅰ.들어가는 말:왜 쉼을 말하는가?•83
Ⅱ.청소년들의 쉼의 결핍과 제도화의 필요성•85
Ⅲ.쉼의 교육적 의미•88
1. 고대 그리스에서 쉼의 의미
2. Pieper의 쉼에 대한 교육적 의미
Ⅳ.청소년들의 쉼 향유 실태•96
1. 청소년 인생학교의 설립취지와 교육활동
2. 청소년들의 쉼에 대한 경험
Ⅴ.나가는 말:제도화를 위한 제언•109

|4장| 쉼과 탁월성을 위한 교육
Ⅰ.들어가는 말•117
Ⅱ.피로사회에서의 학교교육•118
1. 신자유주의와 피로사회
2. 학교에서의 피로사회 증상
Ⅲ.한국에서의 탁월성 교육의 문제점•123
Ⅳ.여가와 탁월성을 위한 교육•126
1. 통념적 여가의 개념과 교육
2. 여가의 재해석: 스콜레와 안식
3. 여가를 위한 교육에 대한 논의
Ⅴ.나가는 말•136

|5장| 쉼이 있는 교육을 위한 교육시민운동
Ⅰ.들어가는 말:쉼이 없는 교육•143
Ⅱ.쉼이 있는 교육이해•145
1. 쉼의 기독교적 의미
2. 쉼이 있는 교육 : 쉼의 교육적 이해
Ⅲ.쉼이 잇는 교육을 위한 기독교교육 생태계•149
Ⅳ.교육시민운동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156
1. 교육시민운동 이해
2. 기독교 교육시민운동
Ⅴ.쉼이 있는 교육을 위한 교육시민운동의 진단과 과제•163
Ⅵ.쉼이 있는 교육을 위한 기독교 교육시민운동의 진단과 과제•177
1. 쉼이 있는 교육
2. 입시·사교육 바로세우기 기독교운동
3. 기독학부모운동
4. 쉼이 있는 교육을 위한 기독교교육 시민운동의 향후 과제
Ⅶ.나가는 말•187

부록•191

저자소개

김회권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학사(B.A.), 장로회신학대학교 석사(M.Div.), 프린스턴신학원에서 성서학을 연구했다(Ph.D.). 현재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하나님 나라 신학 강해 시리즈(『모세오경』,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사무엘상,하』, 『이사야 40-66장』, 『다니엘서』, 『요한복음』, 『사도행전 1, 2』), 『하나님의 도성, 그 빛과 그림자』, 『성서주석 21: 이사야 I | 대한기독교서회 100주년 기념 성서주석』, 『현대인과 성서』, 『인문고전으로서의 구약성서 읽기』 등이 있다.
펼치기
박상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와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장로회신학대학교와 미국의 버지니아 유니온신학교에서 신학과 기독교교육학을 공부하였고, 현재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장, 대학원장, 한국기독교교육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지금은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 소장, 쉼이있는교육 공동대표, 기독교학교정상화추진위원회 운영위원장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저서로는 『유바디교육목회』, 『기독교교육과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기독교학교교육론』, 『한국 기독교학교교육 운동』, 『기독교교육과정 탐구』, 『교사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교회교육현장론』, 『기독교교육과 사회』, 『은혜가문세우기』, 『성경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학습법』, 『교회교육현장론』, 『장로회신학대학교 110년 교육과정 백서』 등이 있다.
펼치기
강영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필자를 키운 건 팔 할이 바람도, 대학도 아닌 이름 없는 작은 공부 모임이었다. 필자가 오랜 시간 교육받은 고려대(학사), 연세대 (석사), 미시간주립대(박사)에 고마운 마음을 갖긴 하지만, 이 대학들이 진정으로 학생의 학문적, 인격적 성장에 깊은 관심을 가졌는지에는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 돌이켜 보면 이 대형 대학들은 자신들의 높은 위상을 홍보하고 관리하느라 분주한 듯했다. 결핍이 많은 필자가 그나마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형식적 교육기관이 아니라 간판도, 체계적인 교육과정도, 뛰어난 교수도 없는 무형식의 작은 공부 모임에서 얻은 배움의 결과다. 서울로 유학 온 대학 시절 어두컴컴한 지하 교회당 대학부실에서 선배와 함께했던 공부모임을 통해 신앙과 세계에 눈을 떴고, 고등학교 교사 시절 힘들게 다니던 대학원에서 채워지지 않던 우리 시대 교육에 대한 가슴앓이를 교내외 교사 공부 모임을 하면서 해소하였다. 늦은 나이에 미국 유학을 마치고 우석대학교에서 교수로 근무하면서 다양한 전공의 교수들과 공부 모임을 결성하여 부족한 지식과 인격을 채우고 있다. 몇 년 전부터는 급격히 늘어난 중국 대학 원생들과 함께 성찰과 대화를 통해 전인적 배움을 경험하는 공부 모임을 시도하였다. 최근에는 교회에서 공동체 공부 모임을 만들어 머리, 가슴, 손발로 하는 전인적 공부를 배우며 서로의 다름을 수용하는 훈련을 하고 있다. 유학 이후 지금까지 함께하는 한연구소(CSERC)는 필자가 전인적 지식을 즐거운 마음으로 배울 수 있는 귀중한 배움의 공동체다. 우리가 살아가는 마을에서 다양한 타자와의 만남과 대화를 통해 모두의 배움과 성장이 일어나는 열린 배움의 공동체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하며 살고 있다. 저서 『고통의 교육에서 희망의 교육으로』, 『마을교육공동체 운동: 세계적 동향과 전망』(공저), 『쉼이 있는 교육』(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함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총신대학교에서 학사(B.A.), 목회학 석사(M.Div), 신학 석사(Th.M.)를 마치고 미국 바이올라 대학교(Biola University)의 탈봇 신학대학원(Talbot School of Theology)에서 기독교교육방법으로 박사학위(Ph.D.)을 취득하였다. 현재 총신대학교에서 기독교교육과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변하지 않는 하나님의 말씀을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어떻게 전달하지 고민하며 성경교수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복음주의 기독교교육학회장을 역임하였다. 대표저서로는 「기독교세계관: 성경으로 다리놓기, 2020」, 「기독교교육 핸드북, 2024」(공저), 「AI의 파도를 분별하라, 2024」(공저), 「나는 기독교대안학교 교사다, 2020]」공저), 「온세대 교육목회 이야기, 2025」(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 (기획)    정보 더보기
교육의 본질과 방향을 제시하며, 현장의 필요에 응답하는 연구, 나눔과 성장이 있는 연수, 왜곡된 교육을 변혁하는 운동을 통해 하나님의 교육이 가득한 세상을 이루어갑니다. 이를 위해 기독교대안학교의 성장과 성숙, 기독교 사립학교의 회복과 갱신, 공교육에 기독교적 대안 제시, 교육 회복의 주체인 기독학부모 세우기, 가정과 학교를 연계하는 교회교육의 모색 등의 사역을 감당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