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교육
· ISBN : 9788983509734
· 쪽수 : 162쪽
· 출판일 : 2017-09-25
책 소개
목차
서 문
1장. 한국 기독교 대안학교의 재정 실태 분석
Ⅰ. 들어가는 말
Ⅱ. 교육재정의 의미
Ⅲ. 한국 초기 기독교학교의 쇠퇴 원인: 재정적인 문제
Ⅳ. 기독교 대안학교 재정 실태 분석
Ⅴ. 나가는 말
2장. 기독교 대안학교와 공적 재정 지원
Ⅰ. 들어가는 말
Ⅱ. 교육바우처 제도의 개념 및 유형
Ⅲ. 미국의 교육바우처 제도
Ⅳ. 한국의 교육바우처 제도
Ⅴ. 나가는 말: 기독교 대안학교에 대한 바우처 제도 실행 가능성 탐색
3장. 네덜란드 교육의 재정 정책에 관한 고찰: 역사적 접근
Ⅰ. 들어가는 말
Ⅱ. 네덜란드 교육의 재정 정책
Ⅲ. 나가는 말
4장. 기독교 대안학교의 재정 자립을 위한 방안 탐색
Ⅰ. 들어가는 말
Ⅱ. 기독교 대안학교의 재정 실태
Ⅲ. (기독교) 대안학교의 재정 자립 사례 분석
Ⅳ. 기독교 대안학교의 재정 자립 방안
Ⅴ. 나가는 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의 기독교 대안학교는 기독교적인 건학이념을 갖고 왜곡된 공교육에 대한 대안적 교육을 표방하며 많이 설립되고 있지만 재정적인 한계로 인해 폐교가 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런 점에서 기독교 대안학교의 교육에 있어서 교육이념이나 교육과정, 교육방법 등과 같은 주제 외에 교육재정이 중요한 연구주제가 아닐 수 없다. 대안학교는 정부의 지원을 받는 공교육과는 달리 기본적으로 열악한 상황 속에서 시행되는 교육이기 때문에 재정적인 이슈보다는 어떤 ‘대안성’을 추구할 것인가에 관심이 많지만 그 대안교육의 실현을 위해서는 재정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심도 기독교 대안학교 연구의 핵심적인 주제로 삼아야 한다. 이 연구는 한국의 기독교 대안학교의 재정 실태를 분석하는 연구로서, 먼저 교육재정의 개념 이해를 살펴보고, 한국교회 초창기의 기독교학교가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폐교하게 되는 과정을 재조명하며, 최근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가 조사한 기독교 대안학교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오늘날 기독교 대안학교의 재정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네덜란드 교육 제도의 근간을 이루는 헌법 23조에 대해 고찰하고 교육 제도의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 설명하겠다. 그 후 이러한 제도가 정착된 역사적 배경을 네 단계로 나누어 그 흐름을 고찰하면서 특히 네덜란드의 그리스도인들이 시대정신의 흐름에 대해 어떻게 대응했는지 살펴보겠다. 네덜란드 교육을 역사적으로 볼 때 크게 네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단계는 16-17세기에 네덜란드가 독립하면서 추구했던 교회가 중심이 되어 실시했던 칼빈주의적 교육이며 두 번째로는 18-19세기에 계몽주의 영향을 받았고 나중에 프랑스가 네덜란드를 지배하면서 정교분리가 이루어져 국가의 재정 지원 하에 이루어진 공립학교 중심적 교육이다. 세 번째 단계로는 이러한 계몽주의 사상에 대항하여 19세기부터 신칼빈주의자들이 일으킨 소위 ‘학교 투쟁(schoolstrijd)’ 및 사립 교육 시대이며 마지막으로 20세기 후반 이후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다원주의적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