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59302855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4-06-20
책 소개
목차
● 추천사
부산교육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김대현
시대정신과 부산교육의 이정표/ 심성보
용기 있는 분들의 ‘말 걸기’, 성찰의 계기로/ 김용일
● 머리말
열린 창으로 들여다보는 부산교육/ 집필진 일동
1. 부산 혁신교육의 여정
1장 행복한 삶을 위한 혁신교육/ 조향미
2장 마을에서 ‘출발’하는 학교 변화/ 정미화
2. 부산교육 진단
3장 ‘수포자’ 문제 해결 방안/ 박철호
4장 IB 교육, 부산교육의 미래인가?/ 류영규
5장 부산 미래 교육엔 진짜 인공지능 교육이 없다/ 김형성
6장 부산의 지역 간 교육격차 실태와 개선 방안/ 강석봉
3. 부산교육 미래의 창
7장 부산의 학령인구 감소와 학교의 변화/ 이상철
8장 학생의 심리·정서적 지원에 관한 접근/ 윤형식
9장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부산교육 2030을 향하여/ 홍동희
10장 지방자치단체장의 교육공약 분석과 교육 현안 공약화 방안/ 이일권
저자소개
책속에서
2024년 현재 다행복교육지구와 마을교육공동체사업은 애초의 취지와 목적에서 벗어나는 경향을 보인다. 2022년 7월, 새로운 교육감과 바뀐 기초지자체장이 취임한 이래 다행복교육지구의 사업 내용이 달라지고, 지구별로 배치되어 있던 장학사 인력을 빼는 등의 조치로 추진동력이 약해졌다. 마을교육력 제고에 초점을 두고 마을교육활동가들의 활동력을 높이는 데 방점이 찍혔던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은 「마을돌봄」, 「마을방과후활동」 등으로 초점이 옮겨지면서 ‘교육부 늘봄정책의 마을 버전’으로 변질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마을에서 출발하는 학교 변화를 기대할 수 없다.
- 2장 “마을에서 ‘출발’하는 학교 변화"
따라서 IB 교육이 추구하는 교육적 이념과 인간상이 아니라도 부산교육 공동체가 갈망하는 교육적 가치와 이상을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에서 충분히 녹여 담아낼 수 있다. 그러기 위해 IB 교사와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교사들이 교육에 헌신하여 전념할 수 있도록 교육 외에 모든 행정업무는 없어야 하며, 교육과 보육이 구분되어 보육과 관련된 정책은 학교 밖 지자체가 전적으로 맡아야 한다. 대통령이나 교육감이나 교육을 정책적 수단으로 접근하면 학교교육의 본질적인 기능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 창의성? 문제해결력? 미래 역량? 인성? 이런 미래 교육의 가치를 학교에서 제대로 가르칠 수 없다면 대한민국의 앞날은 그리 밝지 않다.
- 4장 “IB교육, 부산교육의 미래인가?”
지금까지 부산광역시교육청은 부산의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일회성의 교육격차 연구를 실시했지만(성병창; 2013), 부산의 교육격차를 해소를 위한 지표 개발 연구, 지표 통계 조사, 시계열 및 종단연구는 아직 없었다. 특히 부산의 교육격차가 학생, 학부모, 학교 지역 사회 요인 중 어떤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고, 자치구(군)별 영향 요인이 무엇인지 지표를 수집, 분석, 관리하는 조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육지표 수집, 교육 Data 관리, 지표 분석 등을 위한 (가칭) ‘부산교육통계연구소’ 조직의 개설과 운영을 제안한다.
- 6장 “부산의 지역 간 교육격차 실태와 개선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