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91159316067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21-03-1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
제2장 오늘날의 유대인과 기독교인이 자유롭게 될 능력
해제—오늘날 우리에게 유대인 문제란 무엇인가
1.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의 집필 배경
2. 종교적 해방, 정치적 해방, 그리고 인간적 해방
3. 누가 반反유대주의자인가?
4. 추상적 인권 개념에서 구체적 인권 담론으로
5. 오답들의 악순환을 멈추기 위해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책속에서
기독교 국가는 유대인이 지배적인 종교와 종교적으로 대립해 존립하는 만큼이나 강력하게 그들이 그러한 압제를 받아들이게 한다. 그러나 유대인 역시 유대인의 방식으로만 국가에 관계할 수 있을 뿐이다. 즉, 그들은 이방인과 같은 태도로 국가에 관계할 뿐이다. (중략) 또한 그들은 유대인이 다른 인류와 구별되는 특별한 민족이라는 생각을 정당한 것으로 착각하고, 역사적인 운동에 일절 참여하지 않음으로써, 인류의 보편적인 미래와 아무런 공통점이 없는 미래를 고대하며, 자신을 유대 민족의 구성원으로, 유대 민족을 선택된 민족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제1장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
시민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인간은 고유한 인간으로, 공민과 구별되는 인간으로 간주된다. 왜냐하면 정치적 인간이 오직 추상화된, 인위적인 인간, 알레고리적이고 도덕적인 인격으로서의 인간인 반면, 시민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그는 감각적이고 개별적으로 가장 가까이 있는 실존 안에서의 인간이기 때문이다. 현실적 인간은 이기적 개인의 형태를 통해서만 승인되고, 참다운 인간은 추상적 공민의 형태를 통해서만 승인된다.
-제1장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
유대인의 실질적 본질이 시민사회에서 보편적으로 현실화되고 세속화되었기 때문에, 시민사회는 유대인에게 실천적 욕구의 관념적 직관에 불과한 유대교의 종교적 본질의 비현실성을 납득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우리는 모세오경 혹은 탈무드 안에서만 유대인의 본질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오늘날의 사회에서도 유대인의 본질을 발견한다. 우리는 오늘날 유대인의 본질을 추상적 본질로서가 아니라 최고의 경험적 본질로서 발견하고, 유대인의 편협뿐만 아니라 사회의 유대교적 편협으로서도 발견하는 것이다.
-제2장 오늘날의 유대인과 기독교인이 자유롭게 될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