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화학 > 일반화학
· ISBN : 9791159714344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2-07-20
책 소개
목차
1. 얼룩, 때, 오염물이 발생하는 구조와 제거되는 구조
1.1. 물에 녹는 얼룩과 때, 녹지 않는 얼룩과 때
1.1.1. 수용성과 지용성
1.1.2. 수용성
1.1.3. 지용성
1.1.4. 일상생활에서의 더러움(얼룩, 때, 오염물)의 종류
1.2. 세탁과 드라이클리닝
1.2.1. 세탁
1.2.2. 드라이클리닝
1.3. 비누와 중성 세제
1.3.1. 양친매성 분자-계면 활성제
1.3.2. 비누
1.3.3. 중성 세제
1.3.4. 산성 때·얼룩과 염기성 때·얼룩
1.4. 탄산수소 나트륨과 구연산
1.4.1. 탄산수소 나트륨
1.4.2. 구연산
1.5. 특수 세제
1.5.1. 업무용 강력 세제
1.5.2. 주방용 세제
1.5.3. 역성 비누
2. 의류의 얼룩, 때
2.1. 의류의 얼룩, 때의 구조와 제거
2.1.1. 땀 얼룩은 수용성
2.1.2. 주스 얼룩은 산성
2.1.3. 간장, 소스, 와인, 케첩 얼룩
2.1.4. 카레, 미트 소스 얼룩은 수용성과 지용성의 혼합물
2.1.5. 혈액, 달걀, 단백질 얼룩은 디아스타아제로 분해
2.1.6. 화장품 얼룩은 전용 리무버를 사용
2.1.7. 넥타이에 묻은 얼룩은 벤제능로
2.1.8. 잉크는 수용성인지 지용성인지를 판단
2.1.9. 기름때는 염기성 세제로
2.1.10. 흙탕물은 물리적인 얼룩
2.1.11. 꽃가루에 물세탁음 엄금
2.1.12. 쇳녹은 산으로 녹인다
2.1.13. 덜 마른 옷의 냄새는 잡균 탓
2.2. 의류용 세제의 원리
2.2.1. 분자막
2.2.2. 미셀
2.2.3. 비눗방울
2.3. 세탁과 드라이클리닝의 구조
2.3.1. 세탁의 원리
2.3.2. 드라이클리닝의 구조
2.4. 표백
2.4.1. 표백의 원리
2.4.2. 이중 결합과 색의 관계
2.4.3. 표백제의 종류
2.4.4. 표백제의 위험성
2.5. 형광 염료
3. 물 주위의 얼룩과 때
3.1. 기름때
3.1.1. 기름의 구조
3.1.2. 기름의 휘발
3.1.3. 기름때 생성
3.1.4. 기름때 제거
3.1.5. 환기팬, 그릴의 기름때
3.1.6. 기름때 예방
3.2. 물 때
3.2.1. 세면대, 욕실의 물 때
3.2.2. 플라스틱, 인공 대리석의 물 때
3.2.3. 스테인리스의 녹은 산성 세제로
3.3. 싱크대 배수구의 오염
3.3.1. 싱크대 배수구에 생기는 점액 성분의 오염물질은 전용 세제·탄산수소 나트륨으로 제거하고, 알루미늄 포일로 방지
3.3.2. 배수구의 오염, 막힘
3.4. 식기 세척
3.4.1. 유리, 도기류의 세척
3.4.2. 옻칠기 세척
3.4.3. 유리의 뿌연 얼룩
3.4.4. 부엌칼의 녹과 얼룩
3.4.5. 생선을 사용한 도마, 손 소독
3.5. 화장실 오염
3.5.1. 화장실 오염과 세제
3.5.2. 변기의 누런 때, 요석
3.5.3. 벽과 바닥에 소변이 튀었을 때
3.6. 욕실 오염
3.6.1. 욕조의 물 때
3.6.2. 샤워기 막힘, 욕실 거울의 김 서림 방지는 구연산
3.6.3. 벽, 바닥의 얼룩과 때
3.6.4. 염색약이 묻었을 때
3.6.5. 타일 줄눈에 낀 곰팡이
4. 생활용품의 얼룩과 때
4.1. 자동차·자전거
4.1.1. 자동차 오염-외장
4.1.2. 자동차 오염-내장
4.1.3. 자전거 오염
4.2. 패션, 소품
4.2.1. 가죽 신발의 얼룩
4.2.2. 가방의 얼룩
4.2.3. 우산의 얼룩
4.2.4. 안경의 먼지, 오염물
4.2.5. 은 제품의 변색
4.2.6. 액세서리
4.2.7. 화장용 스펀지, 솔
4.3. 가전제품
4.3.1. 외장 얼룩
4.3.2. 정전기에 의한 먼지 흡착
4.3.3. 스마트폰의 얼룩
4.3.4. 컴퓨터 등의 키보드의 먼지
4.4. 취미·악기·미술
4.4.1. 카메라의 먼지와 얼룩
4.4.2. 악기의 얼룩
4.4.3. 그림, 골동품의 얼룩과 오염물
5. 집 안과 밖의 더러움
5.1. 집 안의 더러움
5.1.1. 바닥의 얼룩
5.1.2. 특정 얼룩
5.1.3. 정전기로 인한 벽면 변색
5.1.4. 일상 생활용품의 얼룩·유리 테이블
5.1.5. 카펫의 얼룩
5.2. 더러움 예방
5.2.1. 방수
5.2.2. 곰팡이 방지
5.2.3. 벽지 보호
5.3. 집 외장의 더러움
5.3.1. 외벽을 감싼 담쟁이넝쿨
5.3.2. 스프레이 낙서
5.3.3. 황사 오염
5.3.4. 꽃가루 오염
5.3.5. 화산재 오염
5.3.6. 녹
5.4. 정원의 더러움
5.4.1. 잡초
5.4.2. 낙엽
5.4.3. 해충
5.4.4. 야생 동물
6. 인체의 노폐물
6.1. 우리 몸의 노폐물
6.1.1. 피부
6.1.2. 손톱
6.1.3. 모발
6.1.4. 치아
6.1.5. 눈
6.2. 우리 몸의 냄새
6.2.1. 체취
6.2.2. 입 냄새
6.2.3. 배설물 냄새
6.2.4. 담배 냄새
6.2.5. 나이 냄새(가령취)
6.3. 몸 세정제의 구조와 건강
6.3.1. 비누
6.3.2. 샴푸·린스
6.3.3. 치약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