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59714412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2-09-0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제1장 독에 관한 기본 지식
사람들은 독을 어떻게 대했을까? | 왜 독성을 만드는 생물이 있을까? | 증상이 바로 나타나는 독, 천천히 나타나는 독 | 치사량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세계에서 가장 강한 독 | 보툴리눔 독소와 보톡스―독과 약은 동전의 양면 | 4대 공해병의 교훈 | 탈리도마이드, 에이즈―약에 의한 큰 피해 | PCB의 독―가네미 유증 사건 | 3·11의 교훈
제2장 독이란 무엇인가?
기원에 따른 독의 분류 | 침입 경로에 따른 독의 분류 | 작용에 따른 독의 분류 | 증상에 따른 독의 분류 | 법규에 따른 독의 분류 | 사용 목적에 따른 독의 분류 | 화학적 성질에 따른 독의 분류 | 알칼로이드란 무엇인가? | 직장인의 하루와 알칼로이드 | 짐독은 전설이 아니었다 | 두꺼비 독과 ‘두꺼비 기름’
제3장 역사의 한 장면을 장식한 독
불로불사―중국 황제들의 꿈 | 소크라테스의 최후 | 클레오파트라의 죽음 | 네로 황제의 ‘광기’의 이유는 납 중독? | 대불의 도금에 사용된 수은 | ‘야갈’의 정체 | 성 안토니오의 불 | 파라켈수스와 연금술 시대 | 마녀 전설과 맨드레이크 | 우파스독에 의한 사형 집행 | 하나오카 세이슈와 통선산 | ‘지볼트 사건’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 병원 미생물학의 발흥과 항생 물질의 발견 | 항생 물질 페니실린의 등장 | 화학 무기·나치·731부대 | 오쿠노에서의 독가스 제조 | 제국은행 사건 | 각성제의 출현 | 고엽제 작전과 다이옥신 | 독에 의한 사형 집행
제4장 음식과 독
독버섯에 의한 중독 | 가부키 배우의 죽음과 복어 독 | 떫은맛과 고사리, 머위의 꽃대 | 은행의 독성 | 차와 카페인류의 독성 | 담배도 위험하다 | 인간의 미각과 독 | 약과 음식―좋지 않은 조합 | 한약이 모두 안전하지는 않다
제5장 독으로 인한 사고
겨자 연근 사건 | 벌과 아나필락시스 쇼크 | 독사 | 흰독말풀에 의한 중독 | 만년청, 은방울꽃, 복수초, 디기탈리스 | 가려운 독 | 수선화에 의한 중독 | 수국의 독 성분 | 나팔꽃, 계요등―기타 식물의 독 | 산기슭의 가스 구멍 | 일산화 탄소 중독은 왜 일어날까? | 모리나가 비소 분유 사건 | 석면과 중피종 | 표백제와 염소 가스 | 황화 수소에 의한 자살과 사고
제6장 독과 관련한 범죄
바꽃 보험금 살인 사건 | 혼조시 보험금 살인 사건 | 두 건의 애견인 살인 사건 | 귀부 와인 사건 | 분유 멜라민 혼입 사건 | 독이 든 만두 사건 | 청산 칼륨과 닥터 기리코 사건 | 와카야마 독극물 카레 사건 | 불가리아 작가 독살 사건 | 아세트산 탈륨과 아자이드화 나트륨에 의한 사건 | 폴로늄에 의한 암살 | 옴 진리교의 범죄
제7장 마약과 관련 물질
마약이란 무엇인가? | 아편과 아편전쟁, 모르핀, 헤로인 | 코카인―‘무력감’의 공포 | LSD는 어떤 환각이 나타날까? | 메스칼린―멕시코 종교 의식에서 사용 | 각성제는 마황의 연구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 대마―대마 단속법에 의한 규제 대상 | 펜시클리딘 및 케타민 | MDMA―합성 마약의 대표적인 예 | 다이어트 약 사건 | 메틸페니데이트―우울증 처방에는 금지 | 도핑
책을 마치며
문고판을 개정하며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독은 생명과 관련된 것부터 단순히 가려움증이나 불쾌감, 재채기를 일으키는 독까지 다양합니다. 계요등이라는 식물은 잎을 비비거나 열매를 짜면 냄새가 나는데,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기 때문에 이것 역시 독이라면 독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도 모두 화학 물질입니다. 따라서 화학 물질을 이해하면 독을 더욱 쉽고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제1장 독에 관한 기본 지식)
흔히 독이라고 알고 있지만 어떤 상황에서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것도 있습니다.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등은 해충이나 균, 잡초에는 ‘독’일 뿐입니다. 하지만 사람에게 도움을 주기 때문에 ‘농약’이라고 부릅니다. 사실은 해충이나 세균, 잡초라는 이름도 사람이 붙인 것입니다. 사람의 관점에서 이런 이름을 붙이고 병충해를 방제한다고 말하는 것도 좀 억지스러운 것 같습니다. 화살 독이나 어독처럼 사냥이나 물고기를 잡을 때 사용하는 독도 있습니다. 사냥에 사용되는 화살 독 중에는 강력한 근육 이완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어서 근대 의약에서 수술 등에 이용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상황에 따라서 독이 되기도 하고 약이 되기도 하는데, 사실 이들은 서로가 꽤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
(제2장 독이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