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프리드리히 니체
· ISBN : 9791159821561
· 쪽수 : 354쪽
· 출판일 : 2016-05-31
책 소개
목차
들어가기에 앞서
책머리에
1. 현대인은 니체에게서 자유로운 영혼을 봅니다
우리는 때로 니체의 어름을 바라봅니다.
니체의 사유는 현대사상의 단초가 되었습니다.
2. 니체의 사유는 허무주의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니체는 허무주의의 요인을 이원론에서 찾았습니다.
허무주의에 대한 대안으로 니체는 “가치 전환”을 기획합니다.
3. 허무주의 극복의 단초를 니체는 고대 그리스 비극에서 찾았습니다
니체는 그리스 정신에서 순수한 영혼을 보았습니다.
허무주의를 극복할 실마리를 니체는 디오니소스에서 찾았습니다.
4. 니체에게 예술은 존재의 근원을 해명할 철학적 사유였습니다
디오니소스적 충동에 대한 아폴론적 형상화로써 니체는 예술을 설명합니다.
니체는 디오니소스와 아폴론의 관계로 예술의 기능성을 설명합니다.
5. 인간과 예술의 관계로 니체는 신의 세계를 유추 설명하고자 하였습니다
니체는 예술적 가상세계에 대한 심리적 요구에 주목합니다.
니체는 예술의 기능성으로써 종교의 출현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습니다.
6. 청년 니체는 반낭만주의자였고 동시에 낭만주의자였습니다
니체의 사유는 낭만주의적 경향과 친족관계를 보입니다.
니체는 낭만적 성향을 보이는 반낭만주의자였습니다.
7. 니체는 그 시대의 아들이었고 그 시대는 유럽의 19세기였습니다
유럽의 19세기는 사실들을 숭배한 위대한 시대였습니다.
니체에게서 우리는 실증주의적 사유를 볼 수 있습니다.
8.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하였다』를 통하여 우리는 니체의 꿈을 봅니다
차라투스트라는 대지의 원리로써 니체의 이상을 실현할 존재였습니다.
위버맨쉬는 대지의 원리만으로 실현될 수 있는 존재는 아니었습니다.
9. 니체는 인간 존재의 보편적 원리를 힘에의 의지로 설명하고자 하였습니다
육체와 정신을 하나의 차원에서 설명하는 새로운 존재 문법을 니체는 기획합니다.
니체의 ‘신인성’으로 가는 다리는 설계도가 없는 것이었습니다.
10. 니체의 사유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된 것은 그리스도교에 대한 문제였습니다
니체의 사유는 한결같이 그리스도교에 대한 비판과 연관됩니다.
니체는 낭만적 초월세계와 종교적 초월세계를 같은 것으로 인식할 때가 있었습니다.
11. 니체에게 “시대를 극복”한다는 것은 “자기 안에서 시대를 초월”하는 것이었습니다
니체는 시대적 문제를 소크라테스로써 사유합니다.
니체와 소크라테스는 존재에 대한 “인식”의 문제로 묶이어 있었습니다.
12. 니체는 존재의 문법을 넘어서 존재하고자 하였습니다
니체에게는 존재의 통합성만이 삶의 충만함이 구현되는 길이었습니다.
니체의 ‘힘’은 통합을 실현하는 열쇠가 되지 못하였습니다.
13. 니체는 자기 안에서 양극을 통합하여 제 이의 천성을 창조하고자 합니다
니체는 자기 안에 “다른 것이 되려 하는” 열망을 품고 있었습니다.
“십자가에 못 박힌 자 대 디오니소스”라고 니체는 서명합니다.
14. 니체가 추구했던 것과 다다른 곳은 다른 곳이었습니다
니체가 알고 있었던 충일감은 보편성과 만날 수 있는 길이 아니었습니다.
니체의 자유의 날개는 이카루스의 것과 같은 것이었습니다.
15. “나는 이제 나의 주소를 모른다.”라고 니체는 말합니다
자기 자신으로 돌아오는 것, 그것이 니체 사유의 귀결이었습니다.
우리에게는 “아들의 비밀”이 있습니다.
16.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오는 길
“어떤 길은 사람이 보기에는 옳으나 필경은 사망에 이르는 길”이라고 잠언기자는 썼습니다.
사람은 하나님 안에서 그분과의 정확한 관계 속에서만 참 자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17. 아들의 비밀
작은 아들은 집으로 돌아오지 않았으면 아버지의 심정을 알 수 없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