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60028928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4-06-1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증권사 이코노미스트가 피크 코리아 리스크를 고민하게 된 이유
1장 세계 경제는 갈등 경제 국면으로
공존보다 갈등으로 치닫고 있는 세계
세상 사람들이 고민하는 진짜 갈등 리스크는 무엇인가
저금리 시대는 잊어라: 중물가-중금리 시대 도래
고금리가 부채 늪을 깊게 하고 있다
부를 둘러싼 세대갈등으로 사회와 정치의 양극화가 심화
팬데믹 이후 세상은 빠르게 변화중에도
너무 빨리 찾아온 ‘피크 코리아(Peak Korea)’
2장 세상을 둘로 쪼개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끝나지 않을 것 같은 미-중 갈등: 30년 전쟁에 대비
미국이 공급망 재편에 나설 수밖에 없는 이유
글로벌 공급망 재편 효과①: 미국 경제 및 산업 주도권 복원중
글로벌 공급망 재편 효과②: 피크 차이나 현실화
미국 대선이 있는 2024년은 공급망 재편과 미-중 전쟁의 또 다른 분수령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수혜자, 돈은 알고 있다
3장 과잉 유동성과 과잉 부채 간의 갈등
부채의 늪에 빠진 세계, 그러나 대안은 없다
저물가-저금리 시대에서 중물가-중금리 시대로
중물가-중금리 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중물가-중금리 시대, 가장 큰 회색 코뿔소는 중국
무질서한 신용위기보다 질서 있는 저성장 진입에 무게
회색 코뿔소와 흰색 코끼리 리스크가 동반해서 올 수 있다
중물가-중금리 패러다임에서 자유롭지 못한 미국
미국은 부채 리스크 방어력을 그나마 지니고 있다
마약과 같은 유동성, 부채와 공존하는 시대
4장 세대 간 갈등 및 부의 갈등도 격화된다
빚에 허덕이기 시작한 미국 MZ 세대
세대 간 부의 편중 심화와 부의 세습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선진국 초고령사회
중국 인구절벽 시나리오: 2100년 중국 인구 5억으로 급감
새로운 세대인 잘파세대의 등장
5장 갈등 경제 속 피크 코리아 리스크
왜 피크 코리아를 걱정해야 할까?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한국 경제의 득과 실
신(新)넛크래커 상황은 곧 피크 코리아 리스크
K-부채 리스크, 빚 청구서가 날아오고 있다
인구 사이클과 피크 코리아: 신생아 절벽 현상
인구 사이클과 피크 코리아: 압도적 속도인 한국의 고령화 속도
해외로 돈이 나간다: 낮아진 국내 투자 매력도
사회적 갈등 심화도 성장 잠재력을 깎아먹는다
피크 코리아, 회피할 문제가 아니다 224
6장 갈등 경제와 테크노믹스
갈등 리스크 패러다임 속 경제 및 사회의 특징
기술 중심의 생산함수와 신보급률 사이클을 주목
증시를 통해 글로벌 판도 변화를 읽자
‘피크 코리아’의 해답도 기술혁신에서 찾자
선택과 집중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투자 시대
에필로그 - 갈등 경제와 테크노믹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한국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 경제의 상황 변화도 한국 경제에는 긍정적이지 않다. 과도한 부채로 흔들리는 중국 경제는 한국 경제에는 차이나 쇼크로 작용하고 있는 반면, 일본 경제의 부활은 또 다른 의미에서 한국에 재팬 쇼크를 주고 있다. 특히 미-일 간 정치 및 경제적 밀월관계는 미국 주도의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한국이 후순위로 밀려나는 요인으로 작용할 위험을 높이고 있다. 공급망 재편뿐만 아니라 한국 경제에는 다양한 구조적 리스크가 쓰나미처럼 몰려오고 있는 중이다.
갈등(葛藤)은 칡을 뜻하는 ‘갈(葛)’과 등나무를 뜻하는 ‘등(藤)’이 합쳐진 단어다. 즉 갈등은 칡덩굴과 등나무 덩굴처럼 어떤 일이 엉망으로 뒤엉켜서 풀기 어려운 상태를 가리킨다. 역사적으로 갈등이 없던 시기는 없었다. 그러나 작금의 세계 경제를 보면 갈등 요인이 넘쳐나고 있다. 경제적 측면만이 아니라 사회적 및 정치적으로 갈등이 분출하고 있는 시대다.
고물가 현상이 촉발된 원인은 다양하다. 팬데믹 기간 중 풀린 막대한 유동성, 코로나19로 인한 생산과 유통망 혼란에서 비롯된 공급망 차질, 급격한 기후변화 여파 그리고 팬데믹 종식 선언 이후 폭발적으로 늘어난 보복소비 등을 들 수 있다. 경제학에서 얘기하는 비용상승(Cost-push inflation) 인플레이션과 수요견인 인플레이션(Demand pull inflation)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전통적 이론으로 설명하기 힘든 갈등 경제도 새롭게 물가압력을 자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