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60070200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6-07-1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4차 산업혁명보다 무서운 제4의 실업시대
감수의 글
1장 제4의 실업시대, 악어 입속의 한국
01 뱀 입속의 미국, 악어 입속의 한국
02 이미 소리 없이 진행 중인 기술실업
03 2025년 대한민국, 로봇의 인력 대체가 가장 심한 나라
04 그러나 기술 발전이 경제 발전을 주도하는 나라
2장 기술의 발전은 일자리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01 기술 발전에 따른 직업의 변화 패턴
02 우리나라의 직업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03 한국과 미국, 서로 다른 모습의 기술 발전과 직업 변화
3장 로봇과 인공지능, 인간의 일자리를 위협하다
01 거부할 수 없는 로봇과 인공지능의 매력
- 과학과 기술은 왜 발전할까
- 자동화 기술 진화 최종 단계인 로봇과 인공지능
- 떨어지는 단가, 확장되는 시장
02 인간 일자리 비관론, 결국 로봇과 인공지능에 빼앗길 수밖에 없는가
- 4차 산업혁명으로 사라지는 510만 개 일자리
- 로봇 가설과 거부할 수 없는 일자리 양극화 심화
03 인간 일자리 낙관론, 증가하는 간접 일자리
- 기술 발전이 만들어낼 새로운 일자리
- 간접 일자리를 증가시키는 스마트 팩토리
-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일자리 논리
4장 사라지는 직업들, 로봇과 인공지능 만능시대
01 로봇과 인공지능의 만능시대
- 불 꺼진 검은 공장
- 가장 많은 인간 일자리가 사라질 물류와 운송업
02 종료된 제3의 실업시대-서비스 로봇의 등장
03 사라지는 신의 직업들-제4의 실업시대 진입
- 로봇이 인간을 진료하는 시대
- 금융업 : 사라지는 신의 일자리
- 로봇 저널리즘 : 미래 최악의 직업은 기자
04 인간의 고유 영역의 침범
- 창의성은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다
- 로보보스 : 로봇의 업무 지시를 받는 시대
- 연인을 대신하는 섹스봇
5장 기술 발전과 일자리, 무엇이 문제인가
01 삶의 공간의 변화-사이버 물리 시스템
02 빅뱅 혁신기술의 상용화
03 융합을 넘는 빅뱅블러, 초연결 시대 진입
04 로보틱스 디바이드의 화려한 등장
05 기술이 세대를 구분하는 시대-기술 세대 차이
6장 압축성장의 한계와 마주한 한국
01 적성을 무시한 진학과 닥치고 취업
02 고학력 집착증과 치킨버블
03 박사공장, 포스트닥으로 세계일주
04 혁신의 강박증과 절약의 패러독스
05 인문학에 대한 오해
06 인구절벽과 실패한 인구정책
7장 변화의 시대,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들
01 연구개발과 생산의 민주화-메이커 운동의 가능성
02 새로운 시대를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들
03 로봇과 인공지능과 인간, 공존을 위한 사회적 합의
에필로그 | 못다 옮긴 생각들
참고문헌
책속에서
많은 연구와 언론에서 외국의 사라진 직업들을 이야기하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적지 않은 직업들이 기술의 발전으로 소리 없이 사라지고 있다. 이미 대부분 비정규직으로 전환된 고속도로 통행료 징수원의 감축은 오래전부터 추진되어 왔다. 2000년 6월 설치가 시작되어 2007년 12월 전국 262개 모든 영업소에 개통된 하이패스 시스템은 차량 단말기 기술, IC 카드 기술, 단거리 전용 통신, 단말기 기술이 핵심이다. 이미 많은 톨게이트 징수원 일자리가 사라졌다. 톨게이트당 10명으로 계산해도 2,620명이 직업을 잃었다. - <1장 제4의 실업시대, 악어 입속의 한국>-<02 이미 소리 없이 진행 중인 기술실업> 중에서
우리나라는 2013년 대비 16%가 증가한 세계4위 산업용 로봇 소비국가다. 우리나라는 2014년 다용도 산업용 로봇 가동대수와 2018년 소요 예측 데이터를 봐도 산업용 로봇 소요는 끊임없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4년 대비 2018년 3.2배인 61만 4,200대의 로봇 소요가 예측되는 중국 다음으로 우리나라는 1.6배의 로봇이 필요한 세계2위 로봇 소비국으로 예상된다.
2025년 로봇에 의한 노동비용 감축이 33%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나라는 우리나라라는 것이다. 세계 평균 16%의 2배를 넘고, 2위인 일본의 25%와도 무려 8% 격차가 나는 독보적인 수치다. 보수적인 시나리오는 21%이지만 공격적인 시나리오는 47%로 노동비용 절반의 감축까지 예상이 가능하다. 그만큼 로봇에 의해 일자리가 감소될 수 있다는 이야기다 - <1장 제4의 실업시대, 악어 입속의 한국>-<03 2025년 대한민국, 로봇의 인력 대체가 가장 심한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