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60183979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4-08-30
책 소개
목차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란 무엇인가?
혼란: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
저자 머리말
역자 머리말
제1장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의 전제와 원칙
1.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를 위한 네 가지 구조적 전제
2. 뉴스와 저널리즘의 분리
3.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 동향
4. 책의 개요
제2장 정의: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 평가를 위한 현재의 논쟁과 구조
1.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 정의와 논쟁
2. 분석 구조: 사회, 영역 그리고 학문 분야
3. 디지털 저널리즘의 주제별 군집 살펴보기
제3장 기술: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의 주요 연구 대상 분석
1. 데이터 저널리즘
2. 분석 및 측정 지표
3. 알고리즘과 자동화
4. 마무리 논의
제4장 플랫폼: 디지털 저널리즘의 유통 및 기기
1. 디지털 저널리즘과 플랫폼
2. 디지털 저널리즘과 디지털 기기
3. 논의 및 결론
제5장 이론: 디지털 저널리즘의 이해 방식
1. 이론의 정의 및 중요성
2.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의 다양한 이론
3.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의 이론적 사각지대
제6장 가정: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의 근본적인 규범성
1.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의 규범적 미래 예측
2.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와 혁신 담론
3. 결 론
제7장 방법론: 디지털 저널리즘의 연구 방법
1. 디지털 저널리즘의 연구 방법
2. 숫자, 측정 지표 그리고 계산 방법
3. 디지털 민족지학
4. 수용자 연구
5. 결 론
제8장 미래: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의 해체와 방향
1.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 해당 영역을 위한 또는 그 영역에 대한 연구
2. 주요 시사점: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 분야의 지형
3. 2020년대를 위한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의 방향
선택된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뉴스는 언론사의 독점적인 플랫폼에서 벗어나고 있으며, 의례적 방식은 저널리즘의 생산, 유통, 소비를 넘어선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뉴스와 저널리즘의 분리는 1990년대 월드와이드 웹의 대중화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마노비치가 현대 기술 미디어의 발전에서 ‘글로벌 콘텐츠 제작 및 유통 네트워크로서의 웹’이라고 부르는 단계이기도 하다.
- 뉴스와 저널리즘의 분리
이 분야에서의 논쟁은 연구자와 연구 대상 간 관계의 본질로까지 확장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디지털 저널리즘의 진전을 이해하기 위해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와 비교하여 시각화하고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분석 구조를 개발했다. 이 구조에는 다음의 세 가지 핵심 차원을 포함한다: A) 사회(society), B) 영역(sector), C) 학문(scholarship).
- 분석 구조: 사회, 영역 그리고 학문 분야
분석은 수용자와 그들의 행동에 관한 측정 지표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술적 기반, 시스템과 도구를 가리킨다. 페이지 노출 수, 페이지 및 사이트 체류 시간, 기사 완독률 등의 데이터를 추적하는 이러한 지표는 언론인이 우선순위를 두는 리드 유형, 온라인 편집자 및 알고리즘이 다양한 뉴스 기사의 노출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 등 편집 과정과 결정을 이끄는 데 사용되고 있다.
- 디지털 저널리즘 연구의 주요 연구 대상 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