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삼국지연의 세트 - 전10권

삼국지연의 세트 - 전10권

나관중 (지은이), 김구용 (옮긴이)
솔출판사
1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0원 -10% 0원
7,500원
127,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8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삼국지연의 세트 - 전10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삼국지연의 세트 - 전10권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역사소설 > 외국 역사소설
· ISBN : 9791160200164
· 쪽수 : 2870쪽
· 출판일 : 2017-03-20

책 소개

명나라 초 나관중이 완성한 「삼국지연의」를 개정하고 일신한 정본인, 청나라 때의 모종강(毛宗崗)본을 저본으로 완역하여, 그 정통을 온전히 이어받아 '제대로 된' 삼국지의 면모와 가치를 지니고 있다.

목차

1권
삼국지三國志, 연의演義,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이인호
〈삼국지연의〉를 다시 펴내면서 - 김구용

제1회|호걸 세 사람은 도원에서 잔치하여 의형제를 맺고 영웅은 황건적을 죽여서 처음으로 공을 세우다
제2회|분노한 장비는 독우를 매질하고 국구 하진은 계책을 써서 환관들을 죽이기로 작정하다
제3회|온명원에서 회의하던 동탁은 정원을 꾸짖고 이숙은 황금과 구슬을 뇌물로 주며 여포를 유혹하다
제4회|한제를 폐위하여 진류왕을 황제로 삼고 조맹덕은 역적 동탁을 죽이려다가 칼을 바치다
제5회|조조가 거짓 조서를 천하에 뿌리니, 모든 제후들은 호응하고 세 영웅은 관소의 군사를 격파하고 여포와 싸우다
제6회 동탁은 찬란한 궁궐을 불지르는 극악한 짓을 하고 손견은 옥새를 감추어 맹약을 저버리다
제7회 원소는 반하에서 공손찬과 싸우고 손견은 강을 건너가서 유표를 치다
제8회|왕사도는 교모히 연환계를 쓰고 동태사는 봉의정을 소란케 하다
제9회|여포는 흉악한 자를 없애려 왕윤을 돕고 이각은 장안을 침범하려 가후의 말을 듣다
제10회|마등은 왕실을 위하여 의병을 일으키고 조조는 부친의 원수를 갚으려 군사를 일으키다
제11회|유현덕은 북해에서 공융을 구출하고 여포는 복양에서 조조를 격파하다

해설 1|원래 모습을 가장 잘 보여주는 정통 〈삼국지연의〉 - 서경호

2권
제12회|도겸은 세 번이나 서주를 양도하려 하고 조조는 여포와 크게 싸우다
제13회|이각과 곽사의 군사는 서로 크게 싸우고 양봉과 동승은 함께 천자를 구하다
제14회|조조는 어가를 모셔 허도로 가고 여포는 밤을 이용하여 서주성을 습격하다
제15회|태사자는 힘껏 소패왕과 싸우고 손책은 엄백호와 크게 싸우다
제16회|여포는 원문轅門 밖의 창을 쏘고 조조는 육수에서 패하다
제17회|원술은 크게 칠로군을 일으키고 조조는 세 장군을 한곳에 모으다
제18회|가후는 적군을 역이용해서 승리하고 하후돈은 화살을 뽑아 눈알을 씹어 먹다
제19회|조조는 하비성 아래서 군사를 몰살하고 여포는 백문루에서 목숨을 잃다
제20회|조조는 허전에서 사냥하고 동승은 비밀리에 조서를 받다
제21회|조조는 술을 데우며 영웅을 논하고 관운장은 계책을 써서 차주를 참하여 성을 탈환하다
제22회|원소와 조조는 각기 기병과 보병 등 삼군을 일으키고 관운장과 장비는 왕충과 유대 두 장수를 사로잡다

3권
제23회|예형은 옷을 벌어 역적을 꾸짖고 의원 길평은 독약을 쓰려다가 형을 당하다
제24회|역적은 흉측하게 귀비를 죽이고 유황숙은 패하여 원소에게로 가다
제25회|관운장은 흙산에 주둔하여 세 가지 조건을 내세우고 백마현에서 조조를 도와 싸움을 풀어주다
제26회|원소는 싸움에 패하여 장수를 잃고 관운장은 인印을 걸어둔 뒤에 황금을 봉封하다
제27회|미염공은 필마단기로 천리를 달리며 한수정후는 다섯 관문에서 장수 여섯을 참하다
제28회|채양을 참하여 형제간에 의심을 풀고 고성古城에서 주인과 신하는 다시 의義로써 모이다
제29회|소패왕은 노하여 우길을 참하고 벽안아碧眼兒는 앉아서 강동을 통솔하다
제30회|원소는 관도 땅에서 싸우다 패하고 조조는 오소 땅을 습격하여 곡식을 불지르다
제31회|조조는 창정에서 원소를 격파하고 유현덕은 형주 유표에게 몸을 의탁하다
제32회|기주를 차지한 원상은 칼로 겨루고 허유는 장하를 끌어들이도록 계책을 바치다
제33회|조비는 전란을 틈타서 진씨를 아내로 삼고 곽가는 계책을 남겨 요동 땅을 평정하다
제34회|채부인은 병풍 뒤에서 비밀을 엿듣고 유황숙은 말을 날려 단계를 건너다

4권
제35회|유현덕은 남장 땅에서 은사를 만나고 단복은 신야 땅에서 영특한 인물을 만나다
제36회|유현덕은 계책을 써서 번성을 엄습하고 서서는 말을 타고 떠나면서 제갈양을 천거하다
제37회|사마휘는 다시 명사를 천거하고 유현덕은 초려를 세 번 찾아가다
제38회|천하 삼분을 말하며 융중에서 계책을 정하는데 한편 손권은 장강에서 싸워 원수를 갚다
제39회|형주성의 공자公子는 세 번이나 계책을 묻고 공명은 박망파에서 처음으로 군사를 쓰다
제40회|채부인은 의논하여 형주를 바치고 제갈양은 불을 질러 산야를 태우다
제41회|유현덕은 백성들을 거느리고 강물을 건너고 조자룡은 혼자서 아두 아기를 구출하다
제42회|장비는 장판교에서 한바탕 설치고 유현덕은 패하여 한진 어귀로 달아나다
제43회|제갈양은 선비들과 토론을 벌이고 노숙은 모든 의견을 힘써 물리치다
제44회|공명은 지혜를 써서 주유를 격동시키고 손권은 조조와 싸우기로 계책을 정하다
제45회|조조의 군사는 삼강구에서 꺾잉고 장간은 군영회에서 계략에 빠지다
제46회|공명은 기이한 꾀를 써서 많은 화살을 얻고 황개는 은밀히 계책을 말하고 형벌을 받다

5권
제47회|감택은 몰래 거짓 항서를 바치고 방통은 교묘히 연환계를 일러주다
제48회|조조는 장강에서 잔치를 하며 시를 읊고 북쪽 군사는 전선을 한데 묶어놓고 무기를 사용하다
제49회|제갈양은 칠성단에서 바람을 빌고 주유는 삼강구에서 불을 지르다
제50회|제갈양은 지혜로써 화용도를 계산하고 관운장은 의리로써 조조를 놓아주다
제51회|조인은 동오의 군사와 크게 싸우고 공명은 첫번째로 주유를 기절시키다
제52회|제갈양은 지혜로써 노숙을 거절하고 조자룡은 계책을 써서 계양 땅을 점령하다
제53회|관운장은 의리로써 황충을 놓아주고 손권은 장요와 크게 싸우다
제54회|오국태부인은 절에서 신랑감을 보고 유황숙은 화촉동방에서 아름다운 연분을 맺다
제55회|유현덕은 지혜를 써서 손부인에게 충격을 주고 공명은 주유를 두번째 기절시키다
제56회|조조는 동작대에서 크게 잔치를 벌이고 공명은 세번째로 주유를 기절시키다
제57회|와룡선생은 시상군에서 주유를 조상하고 봉추는 뇌양현에서 고을을 다스리다
제58회|마초는 군사를 일으켜 원한을 씻으려 하고 조조는 수염을 자르고 전포를 벗어버리다
제59회|허저는 알몸으로 마초와 싸우고 조조는 편지 글씨를 뭉개어 한수를 이간시키다

6권
제60회|장송은 도리어 양수를 힐난하고 방통은 의논하고 서촉 땅을 뺏으려 하다
제61회|조자룡은 강에서 아두를 빼앗고 손권은 서신을 보내어 조조를 물리치다
제62회|부관을 쳐서 양회와 고패의 목을 날리고 황충과 위연은 낙성을 공격하는데 공로를 다투다
제63회|제갈양은 방통을 위해 통곡하고 장비는 엄안을 의로써 살려주다
제64회|공명은 계책을 써서 장임을 사로잡고 양부는 군사를 빌려 마초를 격파하다
제65회|마초는 가맹관에서 크게 싸우고 유현덕은 스스로 익주를 다스리다
제66회|관운장은 칼 한 자루만 가지고 회에 참석하고 복황후는 나라를 위해 목숨을 버리다
제67회|조조는 한줌 땅을 평정하고 장요는 소요진에서 위엄을 떨치다
제68회|감영은 기별 백여 기를 거느리고 위군 영채를 습격하고 좌자는 조조에게 술잔을 던지고 희롱하다
제69회|관노는 주역을 점쳐 기밀을 알고 다섯 신하는 한나라 역적을 치려다가 떼죽음을 당하다
제70회|사나운 장비는 지혜로 외구의 요충지를 차지하고 늙은 황충은 계책으로 천탕산을 빼앗다

7권
제71회|황충은 맞은편 산에서 적이 지치기를 편안히 기다리며 한수에 웅거한 조자룡은 적은 수로 많은 적군을 이기다
제72회|제갈양은 지혜를 써서 한중을 차지하고 조조는 군사를 거느리고 사곡으로 후퇴하다
제73회|유현덕은 한중왕의 위에 오르고 관운장은 양양군을 쳐서 점령하다
제74회|방덕은 등에 관을 지고 분연히 싸우고 관운장은 강물을 밀어내어 7군을 휩쓸다
제75회|화타는 관운장의 뼈를 긁어 상처를 치료하고 여몽은 흰 옷을 입고 강을 건너다
제76회|서공명은 면수에서 크게 싸우고 관운장은 패하여 배성으로 달아나다
제77회|옥천산에 관운장의 영혼이 나타나고 낙양성에서 조조는 신을 느끼다
제78회|명의는 풍병을 치료하다가 죽고 간웅은 유언을 남기고서 끝나다
제79회|형은 동생에게 시를 짓도록 외협하고 한중왕은 양아들을 참하다
제80회|조비는 황제를 폐위하여 한나라 유씨 자리를 빼앗고 한중왕은 위를 바로잡아 대통을 계승하다
제81회|형의 원수를 갚으려고 서두르다가 장비는 살해되고 아우의 원한을 갚고자 선주는 군사를 일으키다
제82회|손권은 위에 항복하고 벼슬을 받는가 하면 선주는 오를 치고 6군에게 상을 주다
제83회|선주는 효정에서 싸워 원수를 잡고 강구를 지키던 서생은 대장이 되다

8권
제84회|육손은 7백 리에 뻗은 영채를 불태워버리고 공명은 교묘히 팔진도를 펴다
제85회|유선주는 조서를 남겨 외로운 아들을 부탁하고 제갈양은 편안히 앉아 다섯 방면을 평정하다
제86회|진밀은 장온을 비난하는 웅변을 토하고 서성은 불로 조비를 무찌르다
제87회|승상은 남쪽 오랑캐를 치려고 크게 군사를 일으키고 만왕은 천자의 군사에 항거하다가 처음 결박을 당하다
제88회|공명은 노수를 건너가 만왕을 다시 결박하고 거짓 항복함을 알고서 맹획을 세번째 사로잡다
제89회|무향후는 네번째 계책을 쓰고 남만왕은 다섯번째로 사로잡히다
제90회|큰 짐승을 몰아 만병을 여섯번째 격파하고 등갑을 불질러 맹획을 일곱번째 사로잡다
제91회|한나라 장수들은 노수에 제사지낸 후 회군하고 무후는 중원을 치려고 표문을 올리다
제92회|조자룡은 힘써 다섯 장수를 참하고 제갈양은 지혜로써 세 개의 성을 함락하다
제93회|강백양은 공명에게 귀항하고 공명은 왕낭을 꾸짖어 죽이다
제94회|제갈양은 눈을 타고 강병을 격파하고 사마의는 기한을 정하고 맹달을 사로잡다
제95회|마속은 말을 듣지 않다가 가정 땅을 잃고 무후는 거문고를 탄주하여 중달을 물리치다

9권
제96회|공명은 눈물을 씻으며 마속을 참하고 주방은 머리털을 잘라 조휴를 속이다
제97회|무후는 위나라를 치려고 다시 '출사표'를 올리고 강유는 조진의 군사를 격파하려고 거짓 항서를 바치다
제98회|왕쌍은 한군을 뒤쫓다가 죽음을 당하고 무후는 진창을 습격하여 승리하다
제99회|제갈양은 위군을 크게 격파하고 사마의는 서촉을 침범하다
제100회|촉한의 군사는 영채를 엄습하여 조진을 격파하고 제갈무후는 진법으로써 마사의를 꾸짖다
제101회|제갈양은 농상에 나와 신으로 가장하고 장합은 검각으로 달리다가 계책에 말려들다
제102회|사마의는 위수에서 촉군과 싸우고 제갈양은 목우와 유마를 만들다
제103회|사망의는 상방곡에서 곤경에 빠지고 제갈양은 오장원에서 별에 기도하다
제104회|큰 별이 떨어지자 제갈양은 하늘로 돌아가고 사마의는 나무로 만든 상을 보고 기겁하다
제105회|무후는 미리 비단주머니에 계책을 숨겨두고 위주는 승로반을 꺾어서 차지하다
제106회|공손연은 양평 땅에서 패하여 죽고 사마의는 병들었다 하여 조상을 속이다
제107회|위주의 정권은 사마씨에게로 돌아가고 강유의 군사는 우두산에서 패하다

10권
제108회|정봉은 눈 속에서 단병을 이끌고 싸우며 손준은 은밀히 계책을 쓰다
제109회|사마사가 곤경에 빠지자 한나라 장수가 기이한 꾀를 쓰고 조방은 폐위당하고 위나라 집안은 인과응보를 받는다
제110회|문앙은 필마단기로 씩씩한 군사를 물리치고 강유는 강물을 등지고 대군을 격파하다
제111회|등애는 지혜로 강유를 격파하고 제갈탄은 의리로 사마소를 치다
제112회|우전은 수춘 땅을 돕다가 절개에 죽고 백약은 장성을 포위하고 등충과 겨루다
제113회|정봉은 계책을 세워 손침을 참하고 강유는 진을 벌이고 싸워 등애를 격파하다
제114회|조모는 수레를 날려 남궐에서 죽고 강유는 곡식을 버리고 위군을 이기다
제115회|회군하라 명령하며 후주는 모략하는 말을 믿고 강유는 둔전을 핑계 대고 불행을 피하다
제116회|종회는 군사를 한중의 길에 나누고 무후의 신령이 정군산에 나타나다
제117회|등애는 몰래 음평 길을 통과하고 제갈첨은 싸우다가 면죽 당에서 죽다
제118회|유심은 조상 묘에 통고곡한 후 효도로써 죽고 서천으로 들어온 두 장수는 공로를 다투다
제119회|거지 항복하여 교묘한 계책으로 일을 꾸미고 제위를 빼앗고 만사는 되풀이되다
제120회|노장은 두예를 천거하여 새로운 계책을 바치고 손호는 항복하여 삼분 천하를 하나로 통일하다

해설 2|〈삼국지연의〉 깊이 들여다보기

저자소개

나관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원나라 말기, 명나라 초기의 연의 작가로서 중국 4재 기서 중 하나인 ≪삼국지연의≫를 썼다. 이름은 본(本)이고, 자가 관중이다. 호는 호해산인(湖海散人). 지금의 산시성에 속하는 태원(太原) 출신으로 과거에 거듭 낙방하고 아버지를 따라 소금 장사를 했으나 장사엔 뜻이 없고 집 근처의 찻집에 드나들며 한량으로 살았다. 당시 찻집에서 매일같이 공연하던 삼국희곡(三國戲曲)을 즐겨 듣고 달달 외우는 수준까지 이르렀는데, 이것이 ≪삼국지연의≫ 집필의 밑거름이 되었다. 정사 ≪삼국지≫와 민간 설화 등을 재료로 자신의 창작력을 더해 동아시아 최고의 고전 걸작이라고 할 수 있는 ≪삼국지연의≫를 썼다. ≪수호전≫의 편저에도 관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 ≪수당지전≫, ≪잔당 오대지 연의≫, ≪송 태조 용호 풍운회≫, ≪평요전≫ 등의 희곡과 통속 소설이 전한다.
펼치기
김구용 (옮긴이)    정보 더보기
본명 김영탁金永卓. 1922년 경상북도 상주에서 출생했다. 시인이자 문사文士인 그는 전통 시서화詩書畵에 조예가 깊고, 특히 추사秋史 김정희 예술에 대해 독보적인 해석을 지닌 한학자이며 서예가이기도 하다. 유장한 우리말로 다수의 동양 고전들을 번역한 번역 문학가로서 육군사관학교, 서라벌예술대학, 건국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강사를 역임했으며, 1956년부터 1987년 정년 퇴임할 때까지 성균관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저서로 시집 『시詩』 『구곡九曲』 『송頌 백팔百八』 『구거九居』와 산문집 『인연因緣』 『구용 일기丘庸日記』가 있고, 역서로 『삼국지연의』 『동주 열국지』 『충의 수호전』 『옥루몽』 『노자』 『채근담』과 편서 『구운몽』이 있다. 2000년 6월에 『김구용 문학 전집』(전6권)을 출간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