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91160232646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0-12-04
책 소개
목차
서장 일본의 모델, 유럽 근대는 무엇인가?
제1장 왜 정당정치가 성립했는가?
1. 정당정치 성립을 둘러싼 문제
2. 막번체제의 권력 억제 균형 메커니즘
3. ‘문예적 공공성’의 성립: 모리 오가이의 ‘사전’이 갖는 의미
4. 막말 위기 하 권력 분립론과 의회제론
5. 메이지 헌법 하 권력 분립제와 의회제의 정치적 귀결
6. 체제통합 주체로서 번벌과 정당
7. 미국과 비교해 본 일본의 정당정치
8. 정당정치의 붕괴와 ‘입헌적 독재’
제2장 왜 자본주의가 형성되었을까?
1. 자립적 자본주의로 가는 길
2. 자립적 자본주의의 네 가지 조건
(1) 정부주도 ‘식산흥업’ 정책의 실험
(2) 국가자본의 원천인 조세제도의 확립
(3) 자본주의를 담당할 노동력 육성
(4) 대외평화의 확보
3. 자립적 자본주의의 재정 노선
4. 청일전쟁과 자립적 자본주의로부터 전환
5. 러일전쟁과 국제적 자본주의로 가는 결정적 변화
6. 국제적 자본주의 지도자의 등장
7. 국제적 자본주의의 몰락
제3장 왜, 어떻게 식민지제국이 되었는가?
1. 식민지제국으로 발을 내딛은 일본
2. 일본은 왜 식민지제국이 되었는가?
3. 일본은 어떻게 식민지제국을 형성했는가?
(1) 러일전쟁 후: 조선과 관동주조차지 통치체제의 형성
(2) 타이쇼 전반기: 주도권 확립을 노리는 육군
(3) 타이쇼 후반기: 조선의 3?1독립운동과 그 대응
4. 새로운 국제질서 이데올로기로 등장한 ‘지역주의’
(1) 1930년대: ‘제국주의’를 대신할 ‘지역주의’의 대두
(2) 태평양전쟁 이후: 미국의 ‘지역주의’ 구상과 그 후
제4장 일본 근대에서 천황제는 무엇인가?
1. 일본 근대를 관통하는 기능주의적 사고양식
2. 기독교의 기능적 등가물로서 천황제
3. 독일 황제와 대일본제국 천황
4. 「교육칙어」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5. 다수자 논리와 소수자 논리
종장 근대의 경과로부터 일본의 장래를 생각하다
1. 일본 근대의 무엇을 문제로 삼을 것인가?
2. 일본 근대가 도달한 곳은 어디인가?
3. 다국 간 질서의 유산을 어떻게 살릴 것인가?
저자 후기/ 역자 해제/ 색인
리뷰
책속에서
일본의 근대는 19세기 후반의 최선진국으로 국민국가 건설에 착수한 유럽 열강을 모델로 형성되었습니다.
바지호트의 『자연학과 정치학』은 ... 정치학에서 ‘자연학’적 차원을 개시해, ‘정치적 자연’을 강화하고 발전시킬 동력으로 ‘자유’에 바탕을 둔 정치, 즉 ‘토의에 의한 통치’의 확립을 목적으로 두었습니다.
‘관습의 지배’에 인류의 자유가 구속되어, 독창성은 정체됩니다. 그러한 세계를 종결시켜 인류를 ‘관습의 지배’에서 해방시킨 것이 ‘근대’의 역사적 의미였습니다. 바지호트는 그것을 ‘토의에 의한 통치’의 확립이란 명제로 집약합니다.